• Title/Summary/Keyword: 하천변

Search Result 43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tudies on β-diversity for high plant community turnover in flood plain restoration (수변 복원 시 식물종 다양성 증진을 위한 β-diversity 연구)

  • Han, Young-Sub;Kim, Hae-Ran;Han, Seung-Ju;Jeong, Jung-Kyu;Lee, Seung-Hyuk;Jang, Rae-Ha;Cho, Kyu-Tae;Kang, Tay-Gyoon;You, Young-H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4
    • /
    • pp.501-508
    • /
    • 2013
  • We have researched heterogeneity of naturalized river plant community by ${\beta}$-diversity for restoration of river community which has high diversity plant species. As a result the average of heterogeneity was 0.32(range 0.23~0.37) from the river to the inland. This value shows community turnover of species composition of plant communities 6 times. The ${\beta}$-diversity was no difference among water system of Seomjin river, Han river, Nakdong river and Geum river. The upper-river valley(0.36) was higher than lower-river valley(0.23) in each water system(p level<0.05). Multiple regressing analysis was used for look the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as a result, it shows ${\beta}$-diversity significant on a slope. River mimetic diagram with dominant species that appear through Belt-transect painted. Dominant plant species turned 6 time in upper-river and turned about 5 time in lower-river.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basis of planting species and planting pattern. To improve species diversity of river plant community, slope degree raise is the most important.

Spatial Assessment of Effects of Near-Stream Groundwater Pumping on Streamflow Depletion (하천변 지하수 양수로 인한 하천수 감소 영향의 공간적 평가 - 죽산천 유역을 중심으로 -)

  • Lee, Jeongwoo;Kim, Nam Won;Chung, Il Moon;Lee, Min 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7
    • /
    • pp.545-552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patially assess the streamflow depletion due to groundwater pumping near the main stream of Juksanchoen watershed. The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integrated model, SWAT-MODFLOW, in this study, was used to simulate streamflow responses to each groundwater pumping from wells located within 500m from the stream. The simulated results showed that the streamflow depletion rate divided by the pumping rate for each well location ranges from 20% to 96%. In particular, the streamflow depletion exceeds 60% of pumping rate if the distance between stream and well is lower than 100 m, hydraulic diffusivity is higher than $500m^2/d$, and streambed hydraulic conductance is above 25m/d. The simulated results were also presented in the form of spatial distribution maps that indicate the fraction of the well pumping rate in order to show the effect of a single well more comprehensively and easily. From the developed areal distribution of stream depletion, higher and more rapid responses to pumping occur near middle-downstream reach, and the spatially averaged percent depletion is about 66.7% for five years of pumping. The streamflow depletion map can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for the near-stream groundwater permission and management.

경안천변 충적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연구: 하천변에서의 양수에 수반된 지하수 유동 및 수질 변화

  • Jeon Jong-Uk;Yun Seong-Taek;Gwon Jang-Sun;Yun Seong-Mun;Gang Jeong-Ok;Han 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332-335
    • /
    • 2005
  • 경안천변의 충적층 지하수를 대상으로 농업활동 및 양수에 수반된 지하수 오염과 수리적 변동에 따른 수리지구화학 변화를 연구하였다. 사행하는 경안천에 의해 넓게 형성된 충적층 지역에서는 사계절 비닐하우스 농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강변에 설치된 대형 관정을 통하여 지하수를 대량 양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여러모로 강변여과 현장과 흡사하다. 지하수 내 주요 용존 이온의 공간적 분포는 양수에 수반된 수리적 변동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대단위 양수에 의하여 충적 지하수계로의 하천수 유입이 가속화되며, 이에 따른 희석 효과에 의해 충적 지하수의 질산염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 PDF

Improvement of stream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하천정보 표출시스템 개선)

  • Han, Myoung-sun;Hwang, Seo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96-196
    • /
    • 2019
  • 국토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하천인근 토지이용이 늘어나고 있다. 하천변 공원이나 하천을 가로지르는 도로 등 다양한 시설이 운영되고 있고, 이를 이용하는 사람 및 차량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과거하천정보 시스템을 16개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나, 시대에 변화함에 따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설치현황 및 표출내용을 분석한 후, 시스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활용도가 높은 지역에 설치지역을 선정하고 설치 위치에 맞는 시인성 높은 표출내용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urban riverfront characteristics of major tributary rivers in Seoul City (서울시 주요 지류하천 수변 특성 분석)

  • Sung Eun Kim;Hyeonjung Nam;Won-Sam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48-448
    • /
    • 2023
  • 도심 속 하천과 그 주변 지역(이하 수변)은 물과 자연환경이 주는 정서적 안정감과 쾌적함, 그리고 건강성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도심 속 쉼터이자 힐링의 장소이다. 최근 수변이 도시경관의 질향상, 휴식 및 여가 공간 제공의 기능뿐만 아니라 열섬효과 완화 등 기후변화 대응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도 재조명되면서, 수변이 도시의 발전과 활성화를 이끌어낼 새로운 동력이자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4대 권역하천인 중랑천, 탄천, 안양천, 홍제천을 대상으로 하천과 하천 주변 500m 이내 구역을 하천공간과 수변공간으로 구분하고, 그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하천(제방)으로부터 50m 이내 수변공간에 위치한 도로면적의 비율은 탄천이 40%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도 중랑천은 31%, 홍제천과 안양천은 28%로 하천변 도로면적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중랑천은 하천공간 내 도로면적이 하천변 50m 이내에 위치한 도로의 면적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안양천, 중랑천, 탄천 대부분의 구간에서는 친수활동을 하기엔 다소 수심이 낮고(0.3m 이하) 유속이 느린 것(0.3m/s 이하)으로 분석되었고, 수질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대장균 군수가 기준치를 수십에서 수백 배 초과하고 있어, 최상류 일부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에서 수영·물놀이 등 수상활동이 부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울시민들은 주로 금요일과 토요일, 오후 12시에서 18시 사이에 하천을 가장 많이 방문하며 평균 2시간 정도를 머물렀으며, 대부분 걷기와 산책 활동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보, 대중교통 등 교통수단에 따른 하천진출입로 인근평균인구 대비 접근 가능 인구비율을 산출하여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중랑천과 홍제천에서는 수변지역 내 평균인구의 20~30%가 도보 및 대중교통으로 20~30분 이내에 도달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어 접근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안양천은 수변지역 내 평균인구의 15~20%가 30분 이내 도달가능하였으며, 탄천은 수변지역 내 평균인구의 10%미만이 30분 내에 도달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어 탄천의 접근성이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