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모형

Search Result 2,49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Water Quality Level Model Using the Discriminant Analysis for the Small Streams of Rural Area in the Han River Watersheds (판별분석을 이용한 한강권역 농업용 하천수의 수질등급모형)

  • Choi, Chul-Mann;Lee, Jong-Sik;Cho, Nam-Jun;Ryu, Hui-Yong;Park, Seong-Jin;Kim, Jin-Ho;Yun, Sun-Gang;Lee, Jeong-Tae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7 no.2
    • /
    • pp.105-110
    • /
    • 2008
  •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he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level model using the data such as DO, EC, BOD, $COD_{Cr},\;NH_3-N,\;NO_3-N,\;PO_4-P$, T-N, T-P, and SS in 88 agricultural streams of the Han river watersheds. To grant water quality level for each parameters, it divided into 20%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water quality level. On the basis of the lowest water quality level, water quality of streams was assigned. As the result, number of stream corresponding to Level Ⅰ was 0, Level II was 1 stream, Level III was 3 streams, Level IV was 22 streams, and Level V was 62 streams. By standardized canonical discriminant function coefficient, $NO_3-N$ was the highest in 0.427 at the discriminant power. According to discriminant function for water quality level, it was equal to $-4.648+3.246{\times}[NO_3-N],\;-5.084+3.456{\times}[NO_3-N],\;-4.298+3.067{\times}[NO_3-N],\;and\;-7.369+4.396{\times}[NO_3-N]$ from Level II to Level V,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est at real data of the Han river watersheds in 2007, the suitability of water quality level model was high to 88.4%.

Analysis of Runoff Impact by Land Use Change - Using Grid 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KIMSTORM) - (토지이용의 변화가 홍수유출에 미치는 영향분석)

  • Kim, Seong-Joon;Park, Geun-Ae;Chun, Moo-Kab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4 s.153
    • /
    • pp.301-31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quantitative effect of stream discharge due to land use changes. The upstream watershed of Pyeongtaek gauging station of Anseong-cheon ($592.6\;km^2$) was adopted. To accomplish the purpose, firstly, trace land use changes for the selected watershed which have some changes of land use by using Landsat images of 1986 and 1999 of the watershed and secondly, analyse the quantitative effect of stream discharge due to land use changes by applying GIS- base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KIMSTORM.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at 2 locations (Pyeongtaek and Gongdo) by comparing observed with simulated discharge results for 7 storm events from 1998 to 2003. Model output was designed to provide information of land use impact on runoff components in the watershed and the sensitivity of impact level of each land use category on storm runoff. Land use impact was evaluated with the land use data sets for 1986 and 1999 for the same rainfall condition (160.5 mm). Area decrease of 4.8 percent of forest and 4.0 percent of paddy field during 13 years (1986 - 1999) within the watershed caused a 30.3 percent increase of peak runoff and a 9.3 percent increase of runoff volume.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Flood Plain Using Two-Dimensional Unsteady Model (2차원 부정류 모형을 이용한 둔치의 수리특성 분석)

  • Ku, Young Hun;Song, Chang Geun;Kim, Young Do;Seo, Il W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3
    • /
    • pp.997-1005
    • /
    • 2013
  •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Nakdong river is compound type, the water stage rises up to the top of the flood plane, as the flow discharge increases during the extreme rain storm in summer. The recent increase of rainfall intensity and flood frequency results in the immersions of parks and hydrophilic facilities located in the flood pl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evolved by the extreme rain storm in the flood plain. The study reach ranging from the Gangjeong Goryeong Weir and the Dalseong Weir, where several hydraulic facilities are located along the channel, was selected and numeric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for 42 hours including the peak flood of the typhoon Sanba. The 2-D transient model, FaSTMECH was employed and the accuracy of the model was assessed by comparing the water level between the simulation results and the measured ones at a gauging station. It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R^2$ of 0.990, AME of 0.195, and RMSE of 0.252. In addition, the inundation time, the inundation depth, the inundation velocity, and the shear stress variation in the flood plain facilities were analyzed.

Evaluating the Trapping Efficiency of Vegetative Buffer Systems on Sediment Reduction Using SWAT model (SWAT 모델을 이용한 수변 완충지역에서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평가)

  • Kim, Ik-Jae;Son, Kyong-Ho;Kim, Jeo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19-1823
    • /
    • 2007
  • 유역에서 상류 유역 또는 수변을 따라 자연 자원을 이용하여 조성되어야 할 완충지대는 비점오염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최적 관리공법이다. 교란된 토지 피복과 수변 완충지대를 관리 및 복원할 때 같은 지형조건이라도 식생 종류, 발달정도, 토양조건에 따라 오염물 제거효과가 다를 수 있으며, 최소 완충지대 길이도 제거 오염물질 대상별로 적합하게 설계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용담댐 유역에서 SWAT 모델을 이용하여 식생 완충지대의 비점오염원 저감 모의 재현성을 평가하는 것이였다. 소유역의 관측값과 모델 예측값에 대한 모델의 검 보정이 선행되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높은 모델 효율을 가지는 소유역에서 three zone concept의 90m 수변완충지대를 지방하천을 경계로 하여 토지 피복도를 변화시켜 SWAT 모델에 적용하였다. 이 때 교목으로는 포플러 (Populus, 30m)을 적용하였고, 포플러의 높이 및 Leaf area index를 조정하여 관목 지대(30m)에 입력하였다. 잔디 지대(30m)는 자연초지를 선택하였다. 또한 지형변수(average slope)와 Manning's coefficient을 수변완충지대의 조건에 고려하여 변화를 주었고 이에 따른 유출량 및 유사량, T-N, T-P의 변화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5, 10, 30m의 식생 여과대를 밭 지역에만 적용하여 오염물의 저감 효율을 평가하였다. SWAT 모델은 각 소유역에서 발생된 전반적인 유출량과 수질변수의 추세를 잘 예측하였으며 정자천 소유역이 선택되었다. 모의된 완충지대에서는 연평균 940 m3/ha의 유출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유사농도는 28.7 %의 저감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T-N, T-P의 농도는 오히려 증가되었는데 본 연구에서 고려된 보다 수변완충지대를 조성할 때 지하수 수위, 식생 성장변화 등과 같은 보다 정확한 설계 인자 산출 및 모델 DB 개발이 유역모델에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한 해결책을 얻어내는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추구한다. 그가 디자인하는 작품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내포하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기존의 가치와 이념적인 것은 배제하고, 창의적인 개념을 도출하였다.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약제재의 변비약 수준으로 변비 개선 효능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재료 배합비의 개선이나 대장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 유효성분의 보강 등이 필요하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더불어 산화물질 해독에 관

  • PDF

Estimation Technique of Computationally Variable Distance Step in 1-D Numerical Model (1차원 수치모형의 가변 계산거리간격 추정 기법)

  • Kim, Keuk-Soo;Kim, Ji-Sung;Kim, 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5
    • /
    • pp.363-376
    • /
    • 2011
  • 1-D hydrodynamic numerical models have been most widely used in the field of flood analysis. The model's input data are upstream/downstream boundaries, roughness coefficients, cross-sections, and so on, and computational distance step and time step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order to guarantee the computational accuracy, stability, and efficiency. In this study, a theoretical explanation is presented for the basis of the previous empirical selection criteria of cross-section's location; also, the estimation technique of computationally variable distance step is proposed to reflect the properties of flow at every computational time step. Combining this technique with 1-D unsteady numerical model, it was applied to two events of Teton dam failure flood and the Han River flood. The numerical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ccuracy and stability is increased when used more interpolated cross-sections and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of computationally variable distance step has the same order of accuracy with smaller numbers of cross-section than previous empirical selection criteria. The practical use of this technique will be possible to analyze the river floods with high efficiency as well as accuracy and stability.

Analyzing the effect of LID(Low Impact Development) using the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CAT을 이용한 LID(Low Impact Development) 효과 분석)

  • Jang, Cheol-Hee;Kim, H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78-278
    • /
    • 2012
  • 최근 녹색도시를 지향하면서 도시 내에서의 물의 순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도시계획 단계에서부터 물의 순환을 고려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토해양부, 환경부, 소방방재청 및 지방자치단체들은 법령, 기준, 지침 및 조례 등을 제정하여 물순환을 도시개발 이전의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시설 설치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시설들의 조합이 유역규모의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 평가는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종래에는 홍수저감을 목적으로 홍수저류지와 침투시설에 대하여 설계하고 시공을 하였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LID 시설의 효과를 평가하여 도시 계획 단계에서 반영하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이들 개별 LID 시설(침투, 저류 등)에 대한 단위 시설의 규모 설계에 그치고 있어 개선 시설이 다중으로 조합되어 분산 계획되었을 경우, 유역 규모에서 물순환의 긍정적인 변화를 판단하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도시지역에서의 LID(Low Impact Development) 효과 분석과 연계된 유역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독일, 호주 및 미국에서는 STORM, Urban Developer, SUSTAIN(System for Urban Stromwater Treatment, and Analysis INtegratration) 및 SWMM LID(Storm Wastewater Management Model LID) 등의 모형을 출시하고 실무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에서 개발된 기술은 국내의 유역 환경을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다. 저수지 혹은 하천에서의 취수 등과 같이 국내의 복잡한 물순환 형태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기존의 물순환 해석모형에 의한 LID 시설을 계획하는 방법은 홍수저감에 국한되어 있고, 하천 유량이나 지하수위 측정 자료가 부족한 대상지역에 대한 장기적인 유역 물순환 및 도시 개발과 같은 토지이용 변화가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는데 있어 제한이 있고, 개별적으로 설치된 LID 시설들이 유역의 물순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종합적, 정량적으로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개발 지역의 장기간에 걸친 물순환의 변화를 예측하고 물순환을 개선시키는 대안 시설의 효과를 사전에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김현준 등(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1)이 개발한 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인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였다. 특히, CAT은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물순환 개선시설(침투시설, 저류지, 습지, 빗물저장 시설, 리사이클 및 외부급수 등)의 구현 및 모의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대상유역으로는 경기도 Y지구를 선정하였으며 도시개발 시나리오(전원도시 및 산업도시 등)에 따른 LID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지역에 대한 도시유형별 개발계획에 따른 개발 전 후 물순환 변화량 분석 및 LID 시설 계획에 의한 물순환 개선효과를 살펴보면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평균 강우량을 1,271mm라고 할 때 산업도시의 경우 도시 개발 전의 증발산, 직접유출 및 기저유출은 각각 53%, 29%, 19%로 나타났으며 도시 개발 후 35%, 54%, 12%로 직접유출이 개발 전에 비해 86%나 증가하여 개발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개발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LID 시설을 계획하여 효과를 분석한 결과 증발산, 직접유출, 기저유출이 44%, 34%, 13%로 나타나 도시 개발 후의 왜곡된 물순환 체계가 개발전의 수준과 근접하게 나타나 LID 시설의 긍정적인 효과를 검토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CAT 모형을 사용하여 도시유역의 물순환 체계를 진단하고, LID 시설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향후 도시유역에 대한 물순환 정상화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설계 실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Riverbed Change Prediction by River-Crossing Structure -Focused on the Major River Reaches of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하천 횡단구조물에 의한 하상변동 예측 - 행정중심복합도시 주요 하천구간을 중심으로 -)

  • Yeon, Kyu-Sung;Jeong, Sang-Man;Yun, Chan-Young;Lee, Joo-Heon;Shin, Kwang-Seo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1
    • /
    • pp.107-113
    • /
    • 2009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the long-term riverbed change prediction on Geum River and Miho Stream surrounding the planned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and the neighboring regions by the construction of a small dam. Based on the analysis of vertical riverbed changes of the cross-sectional data for the years 1988, 2002 and 2007, minimum bed elev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Geum River and Miho Stream in 2007 as compared to 1988. Compared to 2002, however, a slight elevation change was observed. To make a long-term prediction on riverbed changes by the construction of a small dam, a one dimensional HEC-RAS 4.0 model has been used. By the fixed bed model test, the water levels were calibrated. By using the cross-sectional data of 1988 and 2002, verification was conducted under a movable bed model. According to the prediction of riverbed changes for each scenario with varying height of small dam, minor impact is expected around Miho Stream while major impact is expected around Geum River by 2017, as the small dam height increases. If the small dam is 7m-high, for example, it's been simulated that 1.59m deposition would be expected around the upper stream of Miho Stream Confluence while 1.98m scour would be expected around the downstream of the small dam.

Analysis of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Pier-Scour Depth Formula Using Hydraulic Experiment Data (수리모형실험 자료를 이용한 교각 세굴심 산정공식의 통계적 특성 분석)

  • Kim, Jong-Sub;Chang, Hyung-J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6
    • /
    • pp.349-356
    • /
    • 2021
  • Since the 1960s, traffic infrastructure, such as bridges, has increased rapidly in Korea as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rogressed due to economic growth. As the scale of the bridge becomes larger, stability analysis of the superstructure of the bridge is being conducted actively, but scour stability analysis for the substructure of the bridge has not been conducted sufficiently. This study is a basic investigation to prevent large-scale disasters caused by scouring in bridge piers. A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scour depth calculated through seventeen scour depth calculation formulae, and the scour depth measured through hydraulic model experiments. As a result, the Coleman (1971) formula was the best method among the scour depth calculation formulae, and the Froehlich (1987) formula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calculating the scour depth. In addition, a review using a simple regression model confirmed that the scour depth calculation formulae of CSU (1993), Coleman (1971), and Froehlich (1987) can predict a similar scour depth by reflecting domestic stream characteristics. This study can calculate the scour depth reflect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Korea in future stream design.

Investigation for flow characteristics of ice-harbor type fishway installed at mid-sized streams in Korea (국내 중소하천에 설치된 아이스하버 어도 내부 흐름 특성 규명)

  • Baek, Kyong Oh;Min, Byong J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
    • /
    • pp.33-42
    • /
    • 2022
  • In this study, flow patterns in the ice-harbor fishway were analyzed according to fluctuations of the upstream water level, an increase of weir interval,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orifices using a three-dimensional commercial numerical model, Flow-3D. In order to prove the suitability of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the flow velocity and flow rate at the exit of the fishway were observed using a 3D ultrasonic velocimetry on an actual ice-harbor fishway installed downstream of the Daegok bridge in Gyeongan-Cheon. Four types of turbulence modules can be selected for the Flow-3D model. As a result of verification with observation data, the RNG model best described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he ice-harbor fishway. The velocity structure in the fishway according to fluctuations of the upstream water level was simul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lunging flow and the streaming flow were mixed at the lowest water level. When the water level increased about 10 cm or more from the lowest water level, the plunging flow disappeared in all pools and only the streaming flow occurred. Contrary to expectations, even when the water level is rose a little, the flow simply occurred mainly on the streaming flow. If the interval between the weirs is increased, both the plunging flow and the streaming flow are showed continued even if the water level rises. In addi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re are no orifices at the bottom of the weirs, the plunging flow tends to be generated in several pools. It is necessary to prevent blocking orifices through active management so that various flow patterns in the fishway can be generated in multiple pools.

Modeling of Dam collapse using PMF and MCE conditions (PMF 및 MCE조건을 적용한 댐 붕괴 모델링)

  • Lee, Dong Hyeok;Jun, Kye Won;Lee, Byu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68-368
    • /
    • 2020
  • 최근 초대형화 되어 나타나고 있는 이상홍수와 지진 등에 의한 저수지 붕괴와 같은 대규모 비상상황 발생으로 하류지역 주민의 생명과 재산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1996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이상홍수로 인해 1998년에는 40개,1999년에는 5개의 소규모 저수지가 붕괴되었으며 최근 2013년과 2014년에도 저수지가 붕괴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댐붕괴의 원인은 구조물의 자연적 노화, 극심한 강우나 홍수, 지진, 제체전도, 파이핑, 침윤발생, 월류 및 파랑 등에 의한 자연적 상황 등이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시공결함, 사고 또는 전쟁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과거에 설계 및 시공기술이 부족하였거나 경제적인 이유로 부실하게 건설되어 있는 댐이 세계적으로 산재되어 있어 잠재적인 위험을 상당수 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연구는 댐의 점진적인 파괴에 의해 발생하는 유출수문곡선을 구하고 파괴의 성질을 예측 및 홍수파를 수리학적으로 추적하기위해 BREACH 모형과 DAMBRK 모형을 사용했으며 극한홍수(PMF)조건과와 최대지진발생(MCE)조건을 적용하여 원주시 관내 저수지 붕괴 모의 시나리오를 구축했다. 저수지 붕괴에 따른 유출수문곡선을 유도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EAP보고서 자료를 참고하여 붕괴지속시간, 붕괴부 평균폭, 붕괴부 측벽면 경사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모의를 수행함으로써 발생되는 붕괴부 유량 수문곡선을 도출하여 각각의 조건들이 붕괴파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저수지의 붕괴시 첨두유출량에 민감한 영향을 주는 인자는 붕괴지속시간과, 붕괴부 평균폭으로서 이들 값이 붕괴유출량 변화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지진발생(MCE)조건 해석결과 홍수류의 범람으로 인해 홍수파가 하류측으로 진행할수록 완만히 감소하며, 하천 중·상류부 인근 제내지로 홍수류의 범람이 발생하는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극한홍수(PMF)조건 해석결과 최대지진발생(MCE)조건과 같이 홍수파가 하류측으로 진행할수록 완만히 감소하는 특성을 보이며, 하천 전체 구간에서 인근제내지로 홍수류의 범람이 발생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본 연구는 침수구역 피해규모 산정 및 비상대처계획도를 작성시 기초데이터가 되어 상황별 피해예상지역에 대해 응급행동요령, 주민대피계획비상대처계획을 수립하여 지역 주민생활에 안정을 기여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