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악 제1소구치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4초

연령감정을 이용한 두개하악장애환자의 치아 교모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ntal Attrition of the Patients with Craniomandibular Disorders using Age Estimation)

  • Se-Yong Lee;Ki-Suk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0권2호
    • /
    • pp.421-427
    • /
    • 1995
  • 두개하악장애는 저작근, 측두하악관절 및 그와 관련된 구조물의 많은 임상적인 문제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두개하악장애의 원인은 다양하고 종종 다인성이며 위험을 증가시키는 여러가지 소인들이 존재한다. 이갈이나 이악물기 같은 이상기능습관은 흔하며 또한 임상적으로 많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이전의 연구에서는 연령증가에 따른 기능적 마모를 고려한 치아교모에 관한 연구가 시행되지 않고 단순한 교모도의 평가비교만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법치의학적 연령감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느 치아교모도를 이용한 연령감정법을 이용하여 두개하악장애환자의 치아교모도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령은 기능적마모에 따른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고려되었다.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서 두개하악장애로 진단된 환자18명과 대조군으로 외래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차는 연령감정법의 추정연령과 환자의 실제나이의 차이를 구해서 비교분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두개하악장애환자의 중절치, 측절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의 치아교모도가 정상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 PDF

미세단층촬영기를 이용한 중년 한국인 하악 제1소구치의 내 외부 형태학 연구 (A Study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Morphology in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 of the Middle-Aged Korean Using a Microcomputed Tomography)

  • 전경진;이호중;이종엽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4-261
    • /
    • 2005
  • 지금까지 한국인의 치아 통계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고, 대부분 치아형태의 정보를 얻기 위해 방사선학적 방법을 이용하거나, 치아를 절단하는 등의 방법으로 연구를 해왔다. 이와 같은 방법은 오랜 시험 기간을 필요로 하고 정밀도가 낮고 파괴적인 방법을 주로 이용한 것이므로, 이제는 한국인의 표준 치아에 대한 정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새로운 비파괴적인 시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하악 제1소구치를 미세단층촬영기(Micro-CT, SkyScan, Belgium)를 이용하여 $21.31{\mu}m$의 해상도로 교합면에 대한 수평면으로 0.022mm 로 Scan을 하였다. 이를 통하여 내 외부 형태학적 중요부위를 측정하였으며, 영구 치아의 평균 치수표로 사용했었던 G. V. Black(1836-1915)에 의해 제시된 수치와 비교하였다.

III급 부정교합의 수술-교정 치료시 상악 소구치 발치가 치열궁 폭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xillary premolar extraction on transverse arch dimension in Class III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 이신재;홍성준;김영호;백승학;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3-3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III급 수술-교정 치료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치열 상의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술전 교정시 상악 소구치 발치와 비발치의 판단에 필요한 임상적 정보를 얻고자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수술-교정 치료시 흔히 선택되는 상악 제1소구치 발치로 치료된 군과 비발치로 치료된 군 간의 치료전/후 상/하악 개별 치아 이동 양상과 치열궁 폭경의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발치로 III급 수술-교정 치료를 마친 환자 (24명) 와 술전교정 치료시 상악 제1소구치가 발치된 환자 (31 명)의 치료 전/후 모형 상에서 개개 치아의 근원심/협설측 각도 변화와 상/하 치열궁 폭경의 변화를 측정한 후, 두 군 사이의 교정적 치아 이동 양상을 비교 분석한 후 상/하 치열궁의 조화를 이루는데 필요한 치열궁 폭경의 변화와 이에 기여하는 치아 변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발치 군은 비발치 군에 비하여 상악 치열궁 폭경의 감소가 컸으며 이는 상악 구치의 inclination 감소에 크게 영향 받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악 치열에서는 inclination의 증가와 폭경의 증가가 있었으나, 비발치/발치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결론적으로 III급 수술-교정 치료시 술전 상악 소구치 발치는 상악 구치부 치열궁 폭경의 감소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상악 소구치 발치에 대한 판단은 상/하악 치열궁의 폭경 및 구치부 경사도 문제와 연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생각되었다.

파노라마 X선사진을 이용한 치아수 이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OOTH NUMBER ANOMALY USING PANORAMIC RADIOGRAPHS)

  • 박상억;최갑식
    • 치과방사선
    • /
    • 제22권2호
    • /
    • pp.185-193
    • /
    • 1992
  • 경북대학병원 치과에 내원한 8세에서 27세까지의 환자 6,531명의 파노라마 X선사진에서 제3 대구치를 제외한 선천성 결손치, 제3대구치의 선천성 결손, 과잉치의 발생율, 성별분포, 호발 부위 및 수에 따른 분포를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제3대구치를 제외한 선천성 결손치의 발생율은 10.8%였으며, 남성이 44.6%, 여성이 55.4%였다. 하악 제2소구치가 23.2 %로 가장 많았으며, 상악 측절치 18.4%, 하악 측절치 18.3%, 상악 제2소구치 15.4%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손치의 수는 1개 인 경우가 48%로 가장 많았으며, 2개인 경우가 35.4%, 3개인 경우가 6.6%로 나타났다. 2. 제3대구치 선천성 결손의 발생율은 39.7%였으며, 남성이 48.6%, 여성이 51.4%였고, 상악 60.3%, 하악이 39.7%였다. 결손치의 수는 1개인 경우가 28.7%, 2개인 경우가 37.2%, 3개인 경우가 12.5%, 4개인 경우가 21.6%로 나타났다. 3. 과잉치의 발생율은 4.2%였으며, 남성이 65.7%, 여성이 34.3%였다. 상악 중절치부가 64.8%로 가장 많았으며, 상악 측절치부 13.2%, 상악 제3대구치 후방부 8.7%의 순으로 나타났다. 과잉치의 수는 1개인 경우가 79.9%로 가장 많았고, 2개인 경우가 18.9%, 3개인 경우가 1.2%로 나타났다.

  • PDF

하악 제1대구치 이소맹출의 치험례 (ECTOPIC ERUPTION OF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 A CASE REPORT)

  • 소정원;이광희;라지영;안소연;김윤희;반재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30-135
    • /
    • 2010
  • 이소맹출은 치아가 비정상적인 위치로 맹출하는 경우를 말하며, 주로 상악 제1대구치, 하악 측절치, 상악 견치에서 발생하며 하악 제1대구치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은 흔히 제2유구치의 비정상적인 치근흡수를 야기하며, 이를 방치하게 되면 제2유구치의 조기상실, 제1대구치의 근심경사 및 회전, 제2소구치의 맹출 공간 부족 및 교합문제 등을 야기하게 되므로 이소맹출로 진단될 경우 조기 치료가 추천된다. 이소맹출은 대개 통상적인 방사선검사를 통해 발견되나, 간혹 제2유구치의 치근흡수가 심할 경우 치수가 감염되어 동통을 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소맹출의 치료는 제2유구치를 보존하면서 제1대구치의 맹출 방향을 바로 잡아 주는 것으로 크게 치간이개(interproximal wedging)와 원심경사이동(distal tipping)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한다. 본 증례들은 하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을 보이는 환아들로, Humphrey appliance와 Halterman appliance를 이용하여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감압술을 이용한 치근단 낭의 처치 (TREATMENT OF RADICULAR CYST USING DECOMPRESSION)

  • 김남혁;최병재;이제호;손흥규;김성오;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75-280
    • /
    • 2009
  • 치근단 낭은 염증 등에 의한 자극으로 치수가 실활되어 치근단에 있는 상피로부터 형성되는 낭종으로 주된 기원은 말라세즈 상피판사이지만 치은열구 상피나 상악동 이장 상피 누공의 싱피에 의한 것도 보고 되었다. 구강악안면 영역에서 가장 흔히 발생되는 낭종의 하나이지만 유치열기에서의 발생 빈도는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악골 내의 치성 낭종든 크기가 커지면서 주위 조직의 파괴나 구조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유치의 경우에서는 후속 영구치배의 변위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런 큰 크기의 치성 낭종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면 해부학적 구조의 손상 및 안모의 변형, 치아 흡수, 신경손상 등의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대술이나 감압술 후 적출하는 술식이 권장되고 있다. 이 증례는 하악 우측 부위의 동통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8세 남아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치수치료 후 기성금속관의 수복을 시행한 하악 우측 제1유구치와 치근단 하방에 방사선투과성 병변과 견치와 제1소구치의 변위를 발견하였다. 병소가 있는 하악 우측 제1유구치를 발거하였고, 조직학적 검사에서 치근단 낭으로 진단되었다. 감압술 및 공간유지장치를 시행하고 병소의 크기 변화와 하악 우측 견치와 제1소구치의 맹출 양상을 정기적으로 관찰한 결과 양호한 치유 양상과 정상적인 맹출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횡적인 골격과 악궁 형태에 관한 연구 (Study of horizontal skeletal pattern and dental arch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박희찬;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58-370
    • /
    • 2008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교정치료와 악교정 수술을 병행하여 치료하는 경우가 많아 골격형태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와 정상교합자 간의 골격 형태의 차이를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실험군으로는 단국대학교 교정과에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술 전 교정치료를 받기로 예정된 총 20명을 선정하였고, 대조군으로는 골격성 I급 정상교합군으로 I급 교합관계를 보이며, 교정치료와 보철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 교합자 10명을 선정하여 CT촬영을 시행한 후 3차원 입체영상을 제작, 분석하여 상, 하악 기저골을 횡적으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의 특징을 살펴보면, 상악 기저골의 폭경이 유의성 있게 더 작았고, A point에서 ANS로 갈수록 제1소구치 부위에서 유의하게 폭이 감소하였으며, 제2소구치 부위에서 폭의 증가량이 유의하게 작았다. 하악 기저골은 B point, Antegonion 기준 횡단면에서 견치, 제1소구치 부위의 폭경이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 상하악의 비교 시, 실험군의 견치부, 제1소구치부, 제2소구치부에서 하악에 비해 상악의 폭경이 유의성 있게 작음을 보였다.

K지역 치과 병원에 내원한 일반 성인의 구강 내 치료 상태 실태조사 (A Survey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for Intra-or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a Visit to Dental Hospital in K Region)

  • 김동열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63-570
    • /
    • 2009
  • 본 연구는 K지역에 소재를 둔 치과병원에서 2008년 1월 2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내원 환자 중 검진 후 치료를 실시한 환자 303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상악에서 치아의 비 치료율은 우측의 경우는 중절치 76.9%, 제1소구치 62.4%, 제1대구치 45.3%로 나타났으며, 좌측의 경우는 중절치 77.9%, 제1소구치 64.4%, 제1대구치 47.6%로 나타났다. 2. 하악에서 치아의 비 치료율은 우측의 경우는 중절치 92.1%, 제1소구치 73.9%, 제1대구치 42.6%로 나타났으며, 좌측의 경우는 중절치 92.1%, 제1소구치 75.9%, 제1대구치 43.2%로 나타났다. 3. 상악 우측 견치는 연령이 많은 환자일수록 (${\chi}^2=13.32$, p=0.004) 고혈압이 있는 환자 (${\chi}^2=8.73$, p<0.003)일수록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치료를 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chi}^2=5.19$, p=0.023). 4. 상악 좌측 견치는 연령이 많은 환자일수록 (${\chi}^2=32.33$, p=0.000), 고혈압이 있는 환자 (${\chi}^2=12.60$, p=0.000)일수록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치료를 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chi}^2=6.37$, p=0.012). 5. 하악 우측 견치는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서 치료를 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chi}^2=8.26$, p=0.004). 6. 하악 좌측 견치는 30대에서 가장 낮게 조사되었으며, 5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chi}^2=12.10$, p=0.007).

  • PDF

다변량 기법을 이용한 혼합치열기 분석법 (Mixed dentition analysis using a multivariate approach)

  • 서승현;안홍석;이신재;임원희;김봉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2-119
    • /
    • 2009
  • 본 연구는 다변량 기법을 도입하여 치아 크기의 다양성을 고려하면서 정확성이 높은 혼합치 열기 분석법을 개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견치 및 소구치 크기를 예측하는 데 이용된 변수는 상악 중절치, 상악 제1대구치, 하악 중절치, 하악 측절치 및 하악 제1대구치로서 총 5개 치아 크기 변수가 이용되었다. 우선 정상교합자 연구 표본 307명을 5개 치아 변수를 이용하여 k-means 군집 분석으로 치아 크기에 따라 나눈 후 판별식을 이용, 치아 크기가 큰 그룹과 작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견치와 소구치 크기의 합을 예측하기 위하여 남녀별, 상하악별, 치아 크기 그룹별로 다중선형 분석을 이용하여 회귀식을 구했다. 검증 표본에는 504명의 부정교합자가 이용되었으며, 이들에 대하여 정상교합자로부터 도출된 판별식을 이용하여 2그룹으로 할당한 후 정상교합자로부터 도출된 회귀식을 이용하여 상악과 하악의 견치 및 소구치 크기 합을 예측하였다. 오차 분석 결과 정상교합자는 최대 0.71, 부정교합자 검증표본은 최대 0.82 mm의 residual standard deviation 값을 보였다. 부정교합 분류별, 치아 크기 패턴별로 예측 오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 mm 및 2 mm 이상의 예측 오차를 보인 빈도는 각각 17.3%와 1.8%였다. 본 연구 결과 도출된 혼합치열기 분석법은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여 그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고찰되었다. 다만, 임상 적용 시 복잡한 계산 과정으로 인하여 전산화 환경에서 더욱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