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악 운동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2초

악안면부 골격구조에 따른 하악 개구운동 양상 (The Patterns of Mandibular Movement in Relation to Maxillofacial Skeletal Structure)

  • 김병국;김재형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5권3호
    • /
    • pp.293-303
    • /
    • 2000
  • 앵글씨 분류에 따른 최대개구시 하악의 수직 변위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고, 수직 하악운동에 영향을 주는 골격요소를 확인하기 위하여, 측두하악관절 및 저작계 이상에 대한 증상 및 병력이 없으며 발치 및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광주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앵글씨 구치부 관계에 근거하여 1급군(남:30명, 여:49명), 2급군(남:18명, 여:24명)과 3급군(남:18명, 여:33명)으로 분류하여 총 172명(연령 범주:20-30세)의 학생을 선택하였다. 전남대학교 병원 구강내과에서 사용하는 계측용자를 이용하여 최대 개구시 상하악 중절치 절단면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진단모형을 만들어 상하악궁 길이와 폭경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에 대한 두부 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 작도하고 방사선학적 지표를 계측, 비교분석하였다. 앵글씨 분류 1급군, 2급군 그리고 3급군 절치간 최대개구량은 3급군이 가장 컸으며 모든 군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컸다. 구치간 최대개구량은 앵글씨 분류 1급군, 2급군 그리고 3급군에서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모든 군에서 남자가 더 컸다. 앵글씨 분류 1급군과 2급군의 하악운동에서 총 하악골 길이, 하악지 길이, 하악 하연부 길이 그리고 상악궁 폭경이 변수로 나타났으며, 상하악궁 길이와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앵글씨 분류 3급군의 하악운동에서 상하악궁 길이와 안면 부길이가 1급군과 2급군과는 다른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상악궁의 폭경과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앵글씨 분류 각 군에서 하악개구운동은 안면 골격구조의 영향을 받으며, 각 군간에 영향을 주는 안면 골격 요소들은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골격적 요소들은 개구량 개선을 위한 진단과 치료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불안정한 하악운동을 보이는 환자에서 가철성 의치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using removable prosthesis of patient with unstable mandible movements: A case report)

  • 손동환;이양진;조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5-41
    • /
    • 2020
  • 구치부 지지소실과 편측 저작으로 교합이 환자는 불안정한 하악운동을 보이며, 이는 고령의 환자에서 복잡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교합붕괴와 이상 하악운동(Oral dyskinesia)을 보이는 환자에서 고딕아치 묘기법(Gothic arch tracing)과 스플릿 캐스트법(Split cast technique)을 이용하여 중심위와 습관적 전방 폐구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후 교합안정장치 형태의 임시의치를 사용하여 안정된 교합과 재현성 있는 하악운동을 회복하고자 하였고, 설측교합(Lingualized occlusion) 개념을 이용하여 총의치와 국소의치를 제작해 수복하였다.

Benoist씨 장치를 이용한 소아의 하악 과두 골절의 치험례 (MECHANO THERAPY OF PEDIATRIC CONDYLAR FRACTURES USING BENOIST'S APPLIANCCE : A CASE REPORT)

  • 박상욱;차인호;김성오;최병재;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53-458
    • /
    • 2004
  • 소아에서의 하악 골절은 성인에서보다 드물다. 그러나, 어릴수록 강직과 성장장애의 가능성이 크며 성인만큼 악간고정을 잘 견뎌내지 못한다. 반면에, 골절은 소아에 있어 더 빨리 치유되고 합병증도 적다. 소아에서 하악 골절은 종종 하악의 acrylic splint therapy 단독 또는 eyelet wire 와 악간 고정을 같이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으로는 유착과 성장장애가 있다. 이러한 합병증의 빈도와 심각성은 좀더 짧은 기간의 악간고정과 긴밀한 술 후 관리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소아 환자가 악간고정을 잘 견디지 못하는 경우, 악간고정의 기간이 길어지는 경우, 환자의 자발적인 운동요법이 어려운 경우 악간고정이 불필요하고 개구장애 만을 일으킨 미약한 증상의 경우에는 동기부여에 의한 물리적 하악 운동요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종례에서는 하악정중부의 외상으로 인하여 양측성 과두 골절이 일어난 6세 여자 환아를 대상으로 상, 하악에 elastic을 이용하여 하악의 개구, 측방, 전방운동에 대해 훈련을 가능하게 하는 Benoist씨 장치를 이용한 능동적 하악 운동 요법으로 7개월 간의 정기 검진을 통하여 하악 운동량의 증진 과두 유착의 방지, 골개조의 치료효과를 보였다.

  • PDF

불규칙한 하악 운동을 하는 환자의 treatment denture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Fabrication of complete dentures using treatment dentures for a patient with erratic mandibular movements: A case report)

  • 김준엽;박찬;방몽숙;양홍서;임현필;박상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59-365
    • /
    • 2015
  • 많은 무치악 환자들은 부적합한 의치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불규칙한 하악 운동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총의치 제작 시 기능과 심미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하악 운동과 중심위를 채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는 불규칙한 하악 운동으로 중심위 채득이 어려운 환자를 flat occlusal table을 가진 treatment denture를 이용하여 총의치 수복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임플랜트 보철 환자의 하악 운동에 관한 연구 (Jaw movement analysis in subjects with implant-supported prosthesis)

  • 김양수;김영수;김창회;김영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99-415
    • /
    • 1999
  • 임플랜트 보철 환자의 하악 운동에 관한 연구를 위해 완전 고정성 보철 치료를 한 8명의 환자와 상하악 총의치를 장착한 8명의 환자, 그리고 5명의 자연치아 피검자를 대상으로 Sirognathograph(Siemens, Benshiem, Germany)와 BioPAK program(BioResearch, Milwaukee, U.S.A.)으로 한계운동과 당근시편에 대한 편측 저작운동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편측 저작 운동은 전두면에서의 저작운동의 높이와 폭, 전두면에서의 저작각도, 시상면에서의 절치기준점의 최대 이동거리, 시상면에서의 저작운동의 전후방 이동거리, 최대개구속도, 최대폐구속도의 기준점으로 각 저작주기의 성적을 평균처리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두면에서의 저작운동의 높이는 자연치, 총의치, 임플랜트 군간에 유의성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2. 전두면에서의 저작운동의 폭은 임플랜트 군이 자연치, 총의치 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작은 수치를 보였다(p<0.05). 3. 전두면에서의 저작각도 분석시 임플랜트 군과 자연치 군, 임플랜트 군과 총의치 군간에 유의성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4. 시상면에서의 절치기준점의 최대 이동거리 분석시 임플랜트 군과 자연치 군, 임플랜트 군과 총의치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5. 시상면에서의 전후방이동거리는 자연치 군이 임플랜트 군, 총의치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p<0.05). 6. 최대개구속도는 자연치 군이 총의치 군과 임플랜트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작은 수치를 보였다(p<0.05). 7. 최대폐구속도는 각 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8. 저작운동은 개인간의 차이가 커서 명확한 결론을 유추하기가 어려웠다.

  • PDF

보툴리눔 톡신을 이용한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의 치료 증례 (Case Report : Botulinum Toxin Treatment in Oromandibular Dystonia)

  • 유지원;홍성주;배국진;윤창륙;안종모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4호
    • /
    • pp.421-427
    • /
    • 2009
  •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oromandibular dystonia)은 국소적인 근긴장이상증의 한 형태로, 저작근, 안면근 또는 혀 근육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근경련이 발생하여 불수의적인 개구 및 폐구, 악골의 측방 및 후퇴운동이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에 이환된 환자의 경우, 저작, 연하 및 발음을 하는데 불편감을 가지게 되고, 그 결과 하악 운동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현재까지는 근긴장이상증에 대한 병태생리가 뚜렷히 입증된 바가 없어, 원인에 관련한 치료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약물요법, 행동요법, 외과적 처치 등 다양한 방법이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의 치료법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성공률이 그리 높은 편은 아니며, 많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최근 들어 근긴장이상증에 이환된 근육에 보툴리눔 톡신을 이용한 치료법이 주목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본 증례를 통해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을 중심으로 한 구강안면 운동장애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고찰을 시행하고 해당 질환에서의 보툴리눔 톡신 치료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교합조건 및 이악물기 힘의 변화가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lusal Condition and Clenching Force on the Mandibular Torque Rotational Movement)

  • 오민정;한경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4호
    • /
    • pp.411-426
    • /
    • 2005
  • 이갈이나 이악물기 시 근활성, 하악의 이동, 악관절에 가해지는 부하, 그리고 교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하악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적었다. 따라서 측두하악장애의 주요한 기여요인으로 간주되는 이악물기나 강한 씹기에 의해 나타나는 하악의 미세한 운동양태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을 중심으로 이악물기 및 강한 씹기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작계 이상이 없는 건강한 남자 14명을 선정하여 교합고경 및 형태의 변화와 수의적 이악물기 수준의 차이가 이악물기 및 씹기 운동 시 나타나는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torque rotational movement)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교합조건과 이악물기 힘에서의 씹기 운동은 먼저 나무젓가락(분리기)이 없는 한 번의 이악물기와 나무젓가락을 구치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두 번에 걸친 씹는 운동 등 세 번의 하악운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좌측으로 씹을 때와 우측으로 씹을 때 간에 전두면 및 시상면상 운동거리는 두 가지 이악물기 힘 모두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하악의 운동속도는 다른 양상을 보여 강한 이악물기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약한 이악물기에서는 좌측으로 씹을 때 우측에 비해 속도가 다소 빠른 경향을 보였다. 이때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각은 두 가지 이악물기 모두에서 전두면상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수평면상 각도에서는 씹는 측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경향을 보였다. 2. 이악물기 힘의 차이는 전두면 및 시상면상 운동거리와 속도에 영향을 미쳐 강한 씹기에서 약한 씹기에 비해 측정치가 크게 나타났으며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각 역시 강한 씹기에서 수평면상 운동각이 다소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 3. 전두면 및 시상면상 개구거리는 교합조건에 따른 차이를 보였는데, 즉 웨이퍼나 레진블록 등 교합고경이 높은 교합형태일수록 운동거리가 감소하였으며, 이때 강한 씹기에서는 운동속도 역시 유사한 양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각은 전두면 및 수평면 모두에서 교합조건에 따른 차이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4. 세 번의 씹는 운동에서 분리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있는 경우에서 대체로 전두면상 회전운동각을 제외한 나머지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량은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이때 각 교합형태 간 동일항목의 비교에서는 전두면상 회전운동거리가 이악물기 힘에 따른 차이를 보여 약한 이악물기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하악 비틀림 회전운동의 전체적인 양상은 관찰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이악물기 힘에 따른 차이는 전두면에 비해 수평면상 측정치가 더 많이 변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교합조건에 따른 양상은 관찰면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이악물기 및 씹는 운동 각각에서의 하악 비틀림 회전운동량은 교합조건이나 이악물기 힘에 관계없이 대체로 분리기 씹기에 의해 수평면상 회전운동량의 변화가 전두면상 측정치에 비해 더 유의하게 나타났다.

악관절 기능장애증의 증상 및 임상소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mptoms and Clinical Findings of TMJ Dysfunction)

  • 김연중;이승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9권1호
    • /
    • pp.117-125
    • /
    • 1984
  • 악관절 기능장애증의 증상 및 임상소견에 관해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편이며, 이들간의 상호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는 별무하였다. 이에 저자는 1983년 3월부터 1984년 7월 사이에 서울대학교 병원 구강진단과에 내원한 악관절 기능 장애증 환자 367명 중 방사선 사진상으로 기질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는 327명을 대상으로, 증상 및 임상소견에 관한 조사와 아울러 악관절 동통이 하악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악관절 기능장애증은 약 3:1의 비율로 여자에게 빈발하였고, 15세에서 29세까지의 청장년 층에 많았다. 2. 악관절 기능장애증 환자가 경험한 주 증상은 동통, 관절잡음, 개구장애 등이었다. 3. 관절잡음은 편측성인 경우가 많았고, 좌우 발현 빈도는 비슷하였으며 말기의 관절잡음이 많았다. 4. 악관절 기능장애증의 발병 기간은 1개월 이하인 경우가 많았다. 5. 악관절 동통은 개구와 하악 전방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6. 악관절 동통은 동통이 있는 쪽으로 하악 개구로의 편위를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증례보고: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측두하악관절의 이환 (Case Report : Temporomandibular Joint Involvement in Rheumatoid Arthritis)

  • 임현대;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3호
    • /
    • pp.231-236
    • /
    • 2006
  • 류마티스 관절염은 다발성 관절염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 불명의 진행성 염증성 질환이다. 초기에는 관절활막이 침습되지만 점차 주위의 연골과 골이 침습되어 관절의 파괴와 변형을 초래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손목관절, 중수지관절과 근위지절간관절이 침범하기 쉽고 그 밖의 여러 관절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측두하악관절에서도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증례에서는 다른 관절에서 보다 측두하악관절에서 두드러지고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의과적 약물 치료와 더불어 16개월동안의 교합안정장치 및 물리 치료, 운동요법을 통한 치과적 처치와 측두하악관절의 경과를 보고한다. 치료중 급속한 관절의 파괴는 있었으나 더 이상의 교합변화는 없었고 하악운동과 통증은 상당히 개선되었다. 다른 관절에 비해 측두하악관절에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는 요인과 이를 가속화시키는 요인에 대해서는 앞으로의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