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악신경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4초

하악신경차단으로 도움받은 삼차신경통환자의 영양섭취 및 간기능회복 -증례 보고- (Mandibular Nerve Block Improves Nutritional Status and Liver Function in the Patient of Trigeminal Neuralgia -A case report-)

  • 차영덕;김천숙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1권1호
    • /
    • pp.119-123
    • /
    • 1998
  • It is well known that many patients with trigeminal neuralgia suffer from electric shock-like stabbing pains. The pain can be triggered by nonnoxious stimuli such as touching of the face, chewing, talking or swallowing. This 62 year old woman was urgently admitted to the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due to abdominal distention and severe general weakness. She has suffered characteristic violent pain triggered by chewing and swallowing for little over 4 years. This resulted in poor oral feeding for prolonged period which left her severely debilitated. The large amount of ascites that developed 20 days before admission and extreme emaciation forced her to bed rest. She also suffered from Herpes Zoster. After medical treatment to improve liver function and severe pain was persisted, the patient was referred to our department for control of pain. We performed right mandibular block with 1% dibucaine 0.4 ml and the effect was excellent. After the pain had subsided, patient was able to take meals more comfortably and improved liver function returned.

  • PDF

임플란트 식립후 하악 신경손상에 대한 후향적 연구 (THE PREVALENCE OF SENSORY DISTURBANCE AFTER IMPLANT SURGERY - RETROSPECTIVE SURVEY OF IMPLANT PRACTITIONERS)

  • 권대근;김신유;김종배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4호
    • /
    • pp.339-34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eurosensory disturbance associated with implant surgery performed by implant practitioner (n=47) composed of trained oral surgeon, periodontist, prosthodontist. The incidence, type and duration of sensory disorder were investigated. Anatomical factor of the patient and experience of operator were also evaluated. The result revealed high incidence of inferior alveolar nerve damage (45%) regardless of experience of implant practitioner. The sensory disturbance sustained within 6 months for 61% of cases, which revealed almost normal recovery of nerve function. Initial neurologic sign after nerve damage was not coincide with their consequence of recovery. Half of the practitioners tried surgical intervention to the implants such as removing the fixture, partial unscrewing or re-implant shorter fixture, of which trial regarded as effective measure for 53% of case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objective method of sensory nerve evaluation should be introduced to the implant practitioners and the importance of informed consent for possibility of nerve damage in mandibular implant fixation.

하악 무치악 인공치아매식술시 하치조신경 전위술 (INFERIOR ALVEOLAR NERVE REPOSITIONING IN THE ATROPHIC POSTERIOR MANDIBULAR ALVEOLAR RIDGE)

  • 최의환;하정완;김수관;정태영;김수흥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3호
    • /
    • pp.226-231
    • /
    • 2001
  • Modified surgical technique for transposition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followed by immediate placement of endosseous implants in mandibles with moderate to severe atrophy are presented. Five transpositions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together with the installation of 10 implants were performed in four patients. The mean postoperative follow-up time was 17 months, with a range of 8 to 20 months. All implants with functioning pontics remained stable, with no mobility or symptoms of pain and infect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Neuro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two-point discrimination test. Two patients had objective neurosensory dysfunction at postoperative, but all the nerve function were reported as normal by the patients 4 months postoperatively.

  • PDF

양측 하악 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 후 발생한 안면신경 마비: 증례보고 (Facial nerve palsy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case report)

  • 김홍석;김수관;오이수;유재식;신보수;정경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8호
    • /
    • pp.537-540
    • /
    • 2017
  • BSSRO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is frequently performed to correct dentofacial deformity and malocclusion. Among its complications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facial nerve palsy is very rare, but it is one of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s. The case of a 21-year-old male patient who underwent facial nerve palsy after BSSRO is described. After surgical intervention and conservative therapy, the patient recovered his facial nerve function successfully.

  • PDF

치과임상에서의 두통의 진단 (Diagnosis of headaches in dental clinic)

  • 이혜진;김영건;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2호
    • /
    • pp.102-108
    • /
    • 2016
  • 두통은 전체 인구중 상당수가 일생에 한번 이상 겪게되는 질환으로, 계속하여 논의되고 개정되어 현재까지 국제적인 분류법이 마련되어 왔다. 원발두통은, 다른 원인질환에 의하지 않은 통증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편두통 2) 긴장형두통 3) 군발두통과 기타 삼차자율신경두통 4) 기타 원발두통. 한편 턱관절장애에 기인한 두통 및 약물 과용 두통은 두통의 원인이 기질적인 경우로 이차성 두통에 분류된다. 본 종설에서는 국제두통질환분류 제3판의 베타판(ICHD-3 beta)에 근거한 두통의 진단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하악에 발생한 주변성 및 중심성 신경초종의 치험례 (A PERIPHERAL AND CENTRAL NEURILEMMOMA OF THE LOWER JAW)

  • 김일규;김재우;차상권;유장배;곽현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1호
    • /
    • pp.89-93
    • /
    • 2005
  • Intraosseous neurilemmoma(Schwannoma) is an extremely rare benign neoplasm. The site most commonly involved is the mandible. This occurrence is understandable because of the length of the inferior alveolar canal through the mandible. No other bone contains a canal that transmits a neurovascular bundle of such size and length. We report on a peripheral and central neurilemmoma along pathway of inferior alveolar nerve of the lower lip and mandible in a 28-year old man. A panoramic radiograph of the mandible showed a well-defined bilocular lesion with a thin uniform sclerotic margin located in the ramus and body of the mandible. The CT scan confirmed a well-defined lesion with thinning of the cortex of the body of the left side of the mandible. Histologically, the lesion was a cellular neoplasm with distinct palisading and numerous Verocay bodies. Complete excision was achieved by removing the tumor with the inferior alveolar nerve.

기저세포모반 증후군 환아의 증례보고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 A REPORT OF CASE)

  • 허수경;최남기;김선미;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25-730
    • /
    • 2008
  • 기저세포모반증후군은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하며 외배엽성과 중배엽성 기관과 장기에 이환된다. 기저세포모반 증후군은 특징적으로 피부 이상, 치아와 골격 이상, 안과적 장애, 신경 장애, 생식계 이상 등이 나타난다. 악골의 병소는 보통 여러 부위를 포함하는 치성각화 낭종이며 상, 하악에 모두 나타난다. 다발성 악골 낭종은 워낙 높은 재발율을 가진 각화성 낭종이기 때문에 완전 적출을 위해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 제거 후는 재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신중한 주기적 재검진이 필요하다. 본 증례는 다발성 치성낭종의 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가 기저세포모반증후군으로 진단되어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이 환자는 전두골 돌출, 양안격리증, 정신지체 및 상, 하악에 2개의 치성 각화낭종을 가지고 있었다. 낭종은 조대술로 치료되었고 현재 obturator와 공간유지장치로 유지하고 있으며 치아 맹출 여부를 관찰하고 있다.

  • PDF

구강안면 근긴장이상을 가진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구치부 지르코니아 교합면을 갖는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수복 (Maxillary complete denture with posterior zirconia occlusion and mandibular implant support fixed prostheses in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with orofacial dystonia)

  • 서종민;정창모;이소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237-249
    • /
    • 2023
  • 구강안면 근긴장이상(Orofacial dystonia)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불수의적으로 얼굴, 입술, 혀 및 턱 주변을 불규칙적이거나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신경운동학적 장애로 틱장애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을 갖는 무치악 환자는 총의치 사용의 어려움과 더불어 언어 장애 및 연하곤란, 구강안면의 통증까지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문제점들을 겪게 된다. 본 증례에서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완전 무치악 상태를 경험하게 된 구강안면 근긴장이상 환자를 위해, 양측 구치부 지르코니아 교합면을 갖는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수복치료를 시행하고 지속적인 미소훈련을 시행하여 안면근육의 심미적인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치료의 결과, 환자는 저작기능과 심미성이 향상된 것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감을 회복하여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해진 것에 대해 매우 만족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악관절의 비정복성관절원판변위의 수조작 정복에 대한 이개측두신경 전달마취의 효과 (Effect of Auriculotemporal Nerve Block Anesthesia on Manual Reduction of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김숙영;김지연;홍수민;김병국;박병주;임영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1호
    • /
    • pp.71-79
    • /
    • 2011
  • 공률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개측두신경을 전달마취하여 수조작할 경우 변위된 관절원판의 정복에 영향이 있는지 여부 및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비정복성관절원판변위로 진단된 112명의 환자들에 대해 수조작정복술을 시도하였으며, 그 중 35명의 환자들에서 관절원판 변위가 해소되었다. 관절원판 재위치에 실패한 77명의 환자들 가운데 이개측두신경의 전달마취 시술에 동의하는 49명(평균 연령 $34.3\;{\pm}\; 15.1$, 남자 24명, 여자 25명)에 대해 마취시술 후 수조작 정복술을 다시 시행하였다. 연령, 발병후 경과시간, 술전 능동적개구량을 포함한 요인들과 국소마취 후 수조작 정복 성공률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수조작만으로 정복이 되지 않았던 49명 환자 중, 이개측두신경 전달마취 후 19명(38.8%)에서 성공적으로 정복이 되었다. 국소마취 전 49명의 최대 능동적 절치간 개구량은 $25.7\;{\pm}\;6.0$ mm로서 개구가 상당히 제한된 상태였으나, 국소마취 및 수조작 후 관절원판이 성공적으로 재위치된 19명의 개구량은 $46.1\;{\pm}\;4.5$ mm로서 정상범위로 회복되었다. 연령, 발병후 경과시간, 술전 능동적개구량 인자들과 국소마취 후 수조작 정복 성공률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이개측두신경 전달마취는 수조작정복술과 함께 시행할 경우 비정복성관절원판변위의 정복 성공률을 향상시 키므로, 비정복성관절원판변위의 일차적인 치료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Pierre Robin Sequence 환아의 증례보고 (PIERRE ROBIN SEQUENCE: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이정은;송제선;김성오;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2-95
    • /
    • 2009
  • 1. 이 증례는 Pierre Robin Sequence로 진단받은 14개월 남아로 PRS의 3요소 중 하악왜소증, 설하수증의 소견을 보이고 있었으며 기도확보는 측와위를 통하여, 섭식은 PEG 도관삽입술을 시행하여 유지하고 있었다. 2. PRS는 해부학적 폐쇄 질환이기도 하지만 성장 장애이기도 하므로 여러 분야의 다원적 접근 및 치료계획이 필요하며, 다른 증후군들과 연관되어 심장질환, 신경질환, 안과질환, 청력문제 등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치과 진료실 에서 PRS 환아의 진료시 이 점을 유의해야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