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악구치부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GEOMETRIC CORRECTION OF RADIOGRAPHIC IMAGES USING GENERAL PURPOSE IMAGE PROCESSING PROGRAM (일반 영상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사선사진의 기하학적 보정에 관한 연구)

  • Cheong Ji-Seong;Kim Eun-Kyung;Lee Sang-Ho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 /
    • v.24 no.2
    • /
    • pp.371-379
    • /
    • 1994
  • 본 연구는 비규격화시켜 촬영한 두장의 방사선 사진을 일반 영상처리 프로그램으로 기하학적 보정을 하여 디지탈 공제 촬영술을 시행한 결과를 개인별로 제작된 필름유지장치를 이용하여 규격화 시켜 촬영한 두장의 방사선사진을 디지탈 공제 촬영술을 시행한 결과와 비교하여 일반 영상처리 프로그램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해보고자 시행하였다. 19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하여, 각 환자에서 4매의 하악구치부 치근단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중 2매는 XCP 필름 유지장치만으로 평행촬영법으로 촬영하였고, 나머지 2매는 교합제에 인상재를 부가하여 개인별로 제작된 XCP필름 유지장치를 이용하여 표준화시켜 역시 평행촬영법으로 촬영하였다. 기하학적 보정은 "Adobe Photoshop"과 "NIH Image" 프로그램으로 시행하였다. 특히 "Adobe Photoshop"의 임의영상회전 기능과 "IH Image"의 공제시술시 중첩된 사진을 투명하게 보여주는 기능, 병진기능을 활용하였다. 두 사진의 유사성을 측정하기 위해 공제된 사진의 계조도의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표준화군의 평균 표준편차가 기하학적 보정군의 평균 표준편차보다 약간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하악구치부 에서 XCP필름 유지장치로 평행촬영한 비표준화방사선사진을 "Adobe Photoshop"과 "NIH Imag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하학적 보정을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Autogenous Free Gingival Graft (유리치근 자가이식술의 방법 및 증례보고)

  • Son, Seoung-Heui;Lee, Jae-Hyun;Kim, Woo-Sung;Kim, Choong-Gun;Lee, Chu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11 no.10
    • /
    • pp.675-679
    • /
    • 1973
  • 저자들은 Vestibular fornix의 연장, 노출된 치근의 치근회복 또는 부착치근의 폭경을 증가시켜주기 위해서 유리치근 자가이식수술을 6례는 하악전치부에, 2례는 하악구치부에 시행하여 성공하였다. 수술후 3개월 6개월에 완전치유결과를 나타냈으며 수술후의 후유증으로 이식부위의 조직의 색조가 인접조직과 비교해서 약간 차이가 있을 뿐이다. 본 수술은 비교적 간단하고 또한 치유가 빠르며 예후가 양호하므로 치주영역에 추천할만한 수술법이다.

  • PDF

Non-surgical treatment and retention of open bite in adult patients with orthodontic mini-implants (성인 환자에서 구치부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치료와 유지)

  • Moon, Cheol-Hyun;Lee, Joo-Sin;Lee, Hyun-Sun;Choi, Jin-Hugh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9 no.6
    • /
    • pp.402-419
    • /
    • 2009
  • Successful treatment of the non-growing patient with an open bite of either dental skeletal pattern often presents a difficult challenge. The morphologic pattern in anterior open bite is characterized by longer vertical dimensions, an increase in development of the maxillary posterior dento-alveolar structure and a steep mandibular plane. In such cases, molar intrusion would be a good remedy for treatment. This article reports the successful treatment and retention of two anterior open-bite cases. We used orthodontic mini-implants for treatment and a circumferential retainer with posterior bite block or skeletal fixed retainer for retention. The diagnostic criteria and mechanics for appropriate treatment are discussed. Our results suggest that open bite can be reduced successfully with intrusion of molars using orthodontic mini-implants (OMI) without orthognathic surgery, and that circumferential retainer with posterior bite block and skeletal fixed retainer are effective for retention.

퇴축이 심한 하악구치부에서 양측성 하치조신경 전위술을 이용한 인공치아의 식립

  • Sohn, Dong-Seok;Lee, Su-Kyung;Park, Do-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7 no.4 s.359
    • /
    • pp.279-286
    • /
    • 1999
  • In patients with severely atrophic mandibular posterior area, implant placement is a problematic surgical procedure. Inferior alveolar nerve transpositioning technique offers better initial stability of implant and reduce the risk of permanent nerve damages. In this case report, the patient has bilateral atrophic mandibular posterior edentulous area. We placed 3 implants on each mandibular posterior area in conjunction with bilateral inferior alveolar nerve transpositioning to achieve sufficient bone height. The patient complained of paresthesia in lower lip and chin area and ptosis of lower lip after surgery. Neurosensory function was normal in 10 weeks after surgery.

  • PDF

SURGICAL REPOSITIONING OF THE EXTRUDED DENTO-ALVEOLAR SEGMENTS BY THE SINGLE-STAGE POSTERIOR MAXILLARY SEGMENTAL OSTEOTOMY (하악구치부 보철공간을 위한 상악구치부의 분절골절단 및 상방 정위)

  • Kim, Myung-Rae;Kim, Choong;Kim, Hyung-Sub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23 no.4
    • /
    • pp.338-347
    • /
    • 2001
  • Purpose: This is to review the cases of posterior maxillary segmental osteotomies to regain the interarch spaces for dental implants in the posterior mandible. Materials & Methods: Seven patients who presented with alveolar extrusion of upper posterior molars underwent segmental osteotomies by single-stage Kufner's buccal approach under the intravenous sedation and local anesthesia. The posterior maxillary cento-alveolar segments were repositioned upward using pre-fabricated palato-occlusal resin splints and immobilized with osteosynthesis microplates and screws. Dental implants were installated simultaneously. The regained spaces, tooth vitality, periodontal healing, relapse, tenderness on function, and complications including maxillary sinus involvements were evaluated periodically for over one year after the surgeries. Results: The single-tage procedures were completed within 80 minutes without any surgical complications. The posterior maxillary segments were repositioned upward to regain the interarch spaces ranging from 2.5 to 5.5mm. All teeth involved in the procedures keep their vitalities. The repositioned segments were maintained showing neither evidence of periodontal break-down nor tenderness to function. One patient whose segments had not been immobilized by osteosynthesis plate resulted in 2mm down-ward relapse in post-operative 8 months. A case of postoperative nasal bleeding from the posterior-lateral wall resulted in oroantral fistula and chronic maxillary sinusitis later. Conclusion: The extruded dento-alveolar segments of the posterior maxilla were repositioned properly by Kufner's one-stage segmental osteotomies. One microplate can be of help to keep the position until the osseous healing enough to support the masticatory force.

  • PDF

Stability measurements on the implants of mandibular molar area using OsstellTM (OsstellTM을 이용한 하악구치부 임플랜트의 안정성 측정)

  • Park, Chan-Jin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17 no.3
    • /
    • pp.205-211
    • /
    • 2001
  •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successfully functioning implants stability in the partially edentulous mandibular molar sites by resonance frequency measurements. Resonance frequency measurement is more objective and clinically non-invasive method than any other methods had been used. In this study, $Osstell^{TM}$ (Integration Diagnostics, Sweden) was used. 15 patients ( 7 males, 8 females ) were received each 2 implants in their mandibular unilaterally partial edentulous molar sites. Total 30 implants were installed, 28 implants were $Br{\aa}nemark^{(R)}$ self-tapping fixtures(MK II, Nobel Biocare, Sweden) and 2 were $3i^{(R)}$(USA) self-tapping fixtures. Minimum of functional loading durations was 12 month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marginal bone resorptions and peri-implant problems. From this test,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1. Mean ISQ values of implants in the first and second mandibular molar area were $73.66{\pm}4.45$, $71.93{\pm}3.41$,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0.05). Also mean ISQ value of total sum was 72.8. 2. Mean ISQ values of implants in males and females group were $71.64{\pm}4.06$, $73.81{\pm}3.76$,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p>0.05). 3. Correlation between implant lengths and ISQ values was weak(r=0.128).

  • PDF

The Affecting Factor to Magnification Ratio from Alveolar Crest To Inferior Mandibular Canal in Diagnosis of Implant Site of Mandibular Molar Region with Panoramic Radiography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하악 구치부의 임플란트 매식부위 평가시 치조정-하악관간 거리의 확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 Jung, Jae-Jin;Choi, Sang-Mook;Lee, Yong-Moo;Ku, Young;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1 no.4
    • /
    • pp.811-822
    • /
    • 2001
  • 최근 임플란트를 원하고, 필요로 하는 환자가 증가하면서 술전의 정확한 진단이 보다 중요해졌고 다양한 진단방법이 소개되고 이용되어져 왔다. 그 중 보편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는 방법이 방사선 촬영법이고 그 중에서도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이다. 하지만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용이함과 간편성에도 불구하고 그 방법 자체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 때문에 CT/MPR(Computer Tomography/Multiplanar Reformatting)이 일부 환자에서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이 대다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 구치부에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을 알아보고 파노라마방사선사진과 CT/MPR에서 치조정-하악관간 거리가 실제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에 환자의 하악골의 경사도와 하악관의 해부학적 위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 치과병원 치주과를 내원하여 하악구치부에 Dental Implant 시술을 받은 15명의 환자, 32개 부위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술전 파노라마방사선사진과 CT/MPR, 술후의 파노라마방사선사진, CT/MPR상을 자료로,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서 치조정에서 하악관의 길이, 하악골의 협설폭경,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의 수평길이, 임플란트 매식체의 설측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를 계측하였고 이 해부학적 계측치들이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과 어떤 상관관계에 있는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est를 이용해 살펴보았다. 1.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은 CT/MPR상에서 하악골 단면의 협설폭경(Pearson test에서의 상관관계 분석시, 상관계수 r=-0.604), 임플란트 매식체의 설측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r=-0.515),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r=-0.640)와 뚜렷한 음적 선형관계가 있었다. 2.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은 CT/MPR상에서 하악골의 장축의 각도와는 뚜렷한 양적 선형관계(Pearson test에서의 상관관계 분석시, 상관계수 r=-0.446)가 있었다. 3. 여러 요소중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과 가장 유의성있는 연관성을 보이는 것은 CT/MPR상에서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였다(r=-0.640) 4.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은 일반적으로 생각되어지는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 125%보다 큰, 약 135%로 나왔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가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추정되며 확대율은 12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