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부 식도

검색결과 591건 처리시간 0.024초

사이클로헥산올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The Measurement of Combustible Properties of Cyclohexanol)

  • 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64-68
    • /
    • 2014
  • 사이클로헥산올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 폭발한계는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고, 인화점과 발화지연시간에 의한 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밀폐식 장치에 의한 사이클로헥산올의 하부인화점은$60^{\circ}C{\sim}64^{\circ}C$로 측정되었으며, 개방식에서는 $66^{\circ}C{\sim}68^{\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를 사용하여 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사이클로헥산올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297^{\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과 상부인화점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0.95 Vol%, 상한계는 10.7 Vol%로 계산되었다.

사이클로헥산의 화재 및 폭발 특성치의 측정 및 고찰 (The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of Fire and Explosion Properties for Cyclohexane)

  • 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5-81
    • /
    • 2011
  • 사이클로헥산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25^{\circ}C$에서 폭발한계와 폭발한계 온도의존성 그리고 하부인화점을 고찰하였다. 또한 발화지연시간에 의한 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노말헵탄의 폭발하한계는 1.0 Vol%, 상한계는 9.0 Vol%를 추천하였고, 하부인화점은 $-20^{\circ}C$를 추천하였다. ASTM E659-78 장치를 사용하여 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여기서 측정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255^{\circ}C$였다. 그리고 노말헵탄의 새로운 폭발한계 온도의존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식은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ombustible Properties of Dimethylacetamide (DMAc))

  • 하동명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5호
    • /
    • pp.553-556
    • /
    • 2015
  •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취급물질의 정확한 연소특성치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화학산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인화점과 최소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폭발하한계는 실험에서 얻어진 하부인화점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Setaflash 밀폐식은 $61^{\circ}C$, Pensky-Martens 밀폐식에서는 $65^{\circ}C$ 그리고 Tag 개방식에서는 $68^{\circ}C$, Cleveland 자동 개방식에서는 $71^{\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에 의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347^{\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 $61^{\circ}C$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1.52 vol%로 계산되었다.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이나 문헌에 제시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Propionic Anhydride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Combustible Properties of Propionic Anhydride)

  • 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6-72
    • /
    • 2016
  • 화학산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propionic anhydride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인화점과 최소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Propionic anhydride의 폭발하한계는 실험에서 얻어진 하부인화점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Propionic anhydride의 인화점 측정에서 Setaflash 밀폐식은 $40^{\circ}C$, Pensky-Martens 밀폐식은 $44^{\circ}C$ 그리고 Tag 개방식은 $49^{\circ}C$, Cleveland 개방식에서는 $47^{\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에 의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335^{\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 $40^{\circ}C$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1.30 Vol.%로 계산되었다.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이나 문헌에 제시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브로모벤젠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The Prediction and Measurement of Combustible Properties for Bromobenzene)

  • 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21-25
    • /
    • 2015
  •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취급물질의 정확한 연소특성치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화학산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브로모벤젠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인화점과 최소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폭발하한계는 실험에서 얻어진 하부인화점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Setaflash 밀폐식은 $44^{\circ}C$, Pensky-Martens 밀폐식에서는 $50^{\circ}C$ 그리고 Tag 개방식에서는 $56^{\circ}C$, Cleveland 개방식에서는 $64^{\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에 의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573^{\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 $44^{\circ}C$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1.63 Vol%로 계산되었다.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이나 문헌에 제시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윤상연골 협착에 의한 기관 Cannula 발거곤란증의 치험 1례 (A Case of Decannulation Difficulty Due to Cricoid Stenosis)

  • 송기준;김흥곤;이형석;추광철;김선곤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2-12
    • /
    • 1982
  • 기관절개술은 1649년 Fienus가 처음으로 호흡곤란 환자에게 시술하고 Tracheotomy라 명명한 이래 기도확보, 기관 및 기관지로 부터 분비물 제거 및 산소공급을 목적으로 이용되어 많은 생명을 구하고 있다. 그러나 기관절개술후 성문하부의 협착, 기관연화, 기관절개공주위의 육아조직, 기관점막의 부종, 정신적인 의존 및 제 1기관륜 상부의 절개등으로 인한기관 Cannula 발거곤란증이 수반되기도 한다. 저자들은 1980년 4월 산업재해로 인한 두개내혈종 및 다발성늑골골절등으로 진단되어 타종합병원에서 개두술과 기관절개술을 받은 21세 남자환자에서 기관 Cannula 발거곤란증을 경험하였기에 중간보고하는 바이다. 1981년 11월 본원 이비인후과에 전원시 간접후두경 검사상 성대 및 가성대에 심한 부종이 있었으며 성대는 부정중위로 고정되어 있었고 기관지경검사상 성문하부에 협착이 인지되어 Jackson 식도 Bougie를 이용하여 3차에 걸쳐 Bougination으로 기관확장을 시도하였으나 효과가 없었다. 1981년 2월 협착부위의 기관륜과 윤상연골에 수직절개를 한 후 직경 1. 2cm의 Teflon tube를 협착부위에 삽입하고 9개월간 유치시킨 후 제거하고 Corking을 하여 현재 양호한 경과를 취하고 있다.

  • PDF

큐멘(Cumene)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Combustible Properties of Cumene)

  • 하동명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4호
    • /
    • pp.465-469
    • /
    • 2016
  •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취급물질의 정확한 연소특성치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화학산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큐멘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인화점과 최소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폭발하한계는 실험에서 얻어진 하부인화점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큐멘의 Setaflash 밀폐식은 $31^{\circ}C$, Pensky-Martens 밀폐식에서는 $33^{\circ}C$ 그리고 Tag 개방식에서는 $43^{\circ}C$, Cleveland 개방식에서는 $45^{\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에 의한 큐멘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419^{\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 $31^{\circ}C$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0.87 vol%로 계산되었다.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이나 문헌에 제시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소아밀알코올의 화재 및 폭발 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Fire and Explosion Properties of Isoamyl alcohol)

  • 하동명
    • 에너지공학
    • /
    • 제25권3호
    • /
    • pp.34-40
    • /
    • 2016
  • 화학산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이소아밀알코올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인화점과 최소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폭발하한계는 실험에서 얻어진 하부인화점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소아밀알코올의 Setaflash 밀폐식은 $42^{\circ}C$, Pensky-Martens 밀폐식에서는 $43^{\circ}C$ 그리고 Tag 개방식에서는 $46^{\circ}C$, Cleveland 개방식에서는 $54^{\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에 의한 이소아밀알코올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327^{\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 $42^{\circ}C$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1.41 vol%로 계산되었다.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이나 문헌에 제시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2-Methyl-1-butanol의 화재 및 폭발 특성치의 측정 (The Measurement of the Fire and Explosion Properties for 2-Methyl-1-butanol)

  • 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8-14
    • /
    • 2015
  • 화학산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2-methyl-1-butanol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인화점과 최소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2-methyl-1-butanol의 폭발하한계는 실험에서 얻어진 하부인화점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Setaflash 밀폐식은 $40^{\circ}C$, Pensky-Martens 밀폐식은 $44^{\circ}C$ 그리고 Tag 개방식은 $49^{\circ}C$, Cleveland 개방식에서는 $47^{\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에 의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335^{\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 $40^{\circ}C$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1.30 Vol.%로 계산되었다.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이나 문헌에 제시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도로 줄눈콘크리트포장 줄눈폭 변화분석을 통한 AASHTO 줄눈폭 예측식 타당성 연구 (Evaluation of AASHTO Joint Opening Equ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Joint Movement of Concrete Pavement in Korea highway Test Road)

  • 최정근;정진훈;이승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D호
    • /
    • pp.805-812
    • /
    • 2006
  • 국내 줄눈콘크리트포장에서 AASHTO 줄눈폭 예측식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줄눈콘크리트 포장의 온도변화에 따른 줄눈폭 움직임을 중부내륙 시험도로에서 모니터링 하였고, AASHTO식과 비교분석을 하였다. 린(Lean)층, 쇄석층, BB3층을 보조기층으로 갖고 있는 포장구역을 조사구간으로 선정하였고, 또한 실런트가 줄눈폭 변화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두 구간의 줄눈채움재를 시공하지 않은 구간을 조사 대상으로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실런트가 온도변화에 따른 줄눈폭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조사구간의 줄눈에는 디멕게이지(Demec Gauge)를 설치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줄눈폭 움직임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결과를 온도에 따른 줄눈폭 움직임을 정량화시켜 분석하기 위해서 ER (Effective Ratio)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AASHTO 예측식에서는 하부지반 종류에 따라 보정계수(C)가 제안된 것에 반해 시험도로에서 계측된 결과는 하부지반 재료에 따른 줄눈폭 움직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