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도형태

Search Result 21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eandering Low Flow Channel Shape in the Compound Cross Section Typed Straight Channel (복단면인 직선수로 내 사행 저수로의 형태에 따른 흐름특성 연구)

  • Kim, Seonghwan;Choi, Gyew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484-490
    • /
    • 2017
  • In order to examine flow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eandering low flow channel in the compound cross section typed straight channel, we assumed the representative channel type in Korea and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3D numerical simulation by carrying out the hydraulic model. Based o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s were also conducted on other types of river channel. As a result of the numerical model test (using the velocity value measured by the water depth observation from the hydraulic model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low fiel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shape of the low flow channel, it was confirmed that the secondary flow examined in the previous studies occurred.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flow velocity point moves according to the expansion cross sectional area of flow in high flow plain. Ultimately,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osition of the water impingement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river design) and the extent of the impact because the change of the channel width affects the flow.

The Analysis of Hydraulic Flow Characteristics by Dam Release on the Nakdong River (댐방류량에 따른 낙동강수계 수리학적 흐름특성 분석)

  • Lee, Eul-Rae;Shin, Chul-Kyun;Kim,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01-170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일차원 수리학적 하도추적모형인 FLDWAV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에 대해서 댐하류유역의 하도망을 구성하여 모형을 수행함으로서 댐 방류에 따른 안동댐에서 하구둑까지의 수리학적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구간은 안동댐${\sim}$하구둑까지의 본류구간과 임하댐직하${\sim}$반변천합류점, 합천댐직하${\sim}$황강합류점, 남강댐직하${\sim}$남강합류점까지의 단면을 적용하였으며, 하천정비기본계획상에 나타난 실측하상단면자료를 FLDWAV모형에 적합하게 변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모형은 1차원 부정류 해석모형으로서 단일하도 뿐만 아니라 지류와 연계된 하도망의 해석도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모형에 의해 산정된 유량 및 수위의 값들은 당시의 실측값과 비교하여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정량적, 정성적인 부분에서 모형의 적합성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상구간의 전체하도에 대한 적용절차 및 분석기법 등을 참조하여 다른 수계로의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단면변환 및 경계조건 산정방법, 모형의 수행 및 결과 분석 과정 등이 댐방류 또는 지류의 유입을 고려한 합리적인 하천관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atabase Status of Riverbed Material and Characteristic Analysis (하상재료 DB화 현황 및 특성분석)

  • Kim, Sung Hoon;Lee, Sung Ho;Lee, Yeon 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52-252
    • /
    • 2019
  • 하상재료는 하천의 유사이송, 총유사량 산정, 장래 하상변동 모의, 하천의 조도, 하천 서식처와 같은 하천환경 분석 등에 다목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그간 하상재료는 하천기본계획, 유사량조사, 유역조사, 하도변화 모니터링 사업 등에서 조사되어 왔으나, 자료가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아 활용성이 낮은 실정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상재료의 활용성에 목적을 두고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에서 수행한 유사량조사, 유역조사, 하도변화 모니터링에서 생산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후 DB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DB화한 측선은 총 1,676개이며, 사업별로는 유사량조사 191개소(한강권역 40개소, 낙동강권역 78개소, 금강권역 27개소, 섬진강권역 14개소, 영산강권역 32개소), 전국유역조사 1,404개소(한강권역 470개소, 낙동강권역 454개소, 금강권역 324개소, 섬진강권역 60개소, 영산강권역 96개소), 하도변화 모니터링 81개소(한강권역 17개소, 낙동강권역 39개소, 금강권역 12개소, 영산강권역 13개소)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해 shape 파일 형태로 작성하여 채취 위치, 입경분포, 입경가적곡선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DB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하상재료를 정기적으로 DB화할 수 있는 시스템(Riverbed Material Management System; RMS)을 구축 중에 있으며, DB화 대상도 하천기본계획에서 조사한 하상재료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Three Types of Discharge Calculation using Surface Velocity (표면유속을 활용한 유량산정방법 비교 연구)

  • Roh, Youngsin;Kim, Dongsu;Kim, Se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25-225
    • /
    • 2021
  • 하천 유량측정을 위한 영상유속계는 비접촉식 방식이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측정이 간편하고, 비교적 안전하기 때문에 비접촉 측정방식의 활용방안 마련에 대한 연구개발 등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다만, 이러한 비접촉식 유속계는 표면의 유속을 측정하기 때문에 유량산정을 위해서는 평균유속으로의 환산이 필요하지만, 현재까지는 평균유속 환산계수를 사용하여 표면유속을 평균유속으로 환산하는 방법이 유일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하천에서는 단면 및 하도형태, 하상조건, 수리특성 및 유속분포 등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환산계수가 결정되기 때문에 이를 단순히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며, 이로 인해 과거 오랫동안 표면유속을 평균유속으로 환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실제 다양한 조건의 하천에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은 아직까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까지, 고정식으로 설치된 유속계로부터 측정된 유속을 평균유속으로 환산하는 방법으로는 국내외적으로 지표유속법과 유속분포법이 대표적이며, 초음파유속계를 활용한 자동유량측정시설의 유량산정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고정된 유속계의 측정유속을 지표유속으로 하여 다양한 범위의 실측된 평균유속과의 관계를 개발하여 활용하거나, 지표유속을 매개로 개수로 단면의 이론적인 유속분포를 추정하여 평균유속을 산정한다. 또한, 기존의 표면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유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표면유속과 평균유속과의 비를 나타내는 환산계수(K = 0.85)를 활용하고 있다(Rantz, 1982). 이러한 환산계수는 대상지점의 수리특성, 하도 및 단면형태에 따라 달라지지만 적절한 환산계수를 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표면유속을 활용한 유량산정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비접촉식 표면유속계의 고정식 유량측정 활용성 및 적용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환산계수를 활용한 방법(이하 환산계수법)을 포함하여 지표유속법 및 유속분포법 등 표면유속을 활용한 유량산정방법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한강 지류 탄천의 서울시(대곡교) 지점을 대상으로 영상유속계 등 비접촉식 유속계를 적용하여 표면유속을 측정하였다. 다양한 유량조건에서 측정한 표면유속을 토대로 세가지 유량산정방법을 적용하여 유량을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유량을 기존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의 환산유량과 비교하여 표면유속의 지표유속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Distributed Coordination of Project Schedule Changes: An Agent-Based Compensatory Negotiation Approach (건설공사 공정변경의 분산조정 : 에이전트기반의 보상협의 방식)

  • Kim Kee-S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4 no.2 s.14
    • /
    • pp.74-81
    • /
    • 2003
  •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projects are becoming increasingly large and complex, involving multiple subcontractors. Traditional centralized coordination techniques used by the general contractors become less effective as subcontractors perform most wok and provide their own resources. When subcontractors cannot provide enough resources, they hinder their own performance as well as that of other subconractors and ultimately the entire project Thus, construction projects need a new distributed coordination approach wherein all of the concerned subcontractors can reschedule a project dynamically. To enable the distributed coordination framework of project schedule changes, the author developed an agent-based compensatory negotiation methodology, which allows intelligent software agents to simulate negotiations on behalf of their human subcontractors. In addition to this theoretical work, 1 designed and implemented a prototype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framework. Thus, this research formalizes the necessary steps that would help construction project participant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ir resource use, which in turn will enhance successful completions of whole projects.

Hydraulic and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Channel Bends (유로 만곡부의 수리 및 계량형태학적 특성)

  • Song, Jai 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2 no.3
    • /
    • pp.173-180
    • /
    • 1992
  • A feature typical of natural rivers is the b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ydraulic and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in channel bend reach by the deterministic approach. Cross section shape factor, "As" is suggested for a new cahracteristic factor of channel bend reach analysis. The variation of this new factor along the river reach showed the loc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the force due to the current all over the reach, that is curved or not. Some general meander factors are used for correlation with new factor suggested, and the applicability of "As" is verified. The range R/W values are concentrated 2~4, the meanning of this value can be regarded to the warning for bank erosion or breaking. And this paper dealt with prediction of cross section bed shape variation.

  • PDF

Construction of Flood Routing Model in Milyang River using HEC-RAS Model (HEC-RAS 모형을 이용한 밀양강 홍수추적모형 구축)

  • Kim, Sang Ho;Kim, Ji Sung;Kim, Wo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40-340
    • /
    • 2015
  • 기상이변에 따른 강우강도의 증가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강우양상은 하천에서의 홍수위 증가로 나타나 여러 가지 하천재해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하천으로 유입되는 지류 합류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사전 연구로 비교적 규모가 큰 지류하천에 대한 부정류 모의를 수행할 수 있는 홍수추적모형을 구축하였다. 대상 하천은 지류 내 하도가 루프의 형태를 띠고 있는 밀양강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낙동강의 제1지류인 밀양강에서 낙동강 합류부로부터 30.74 km 상류에 위치한 밀양강의 상동수위관측소를 상류단으로 선정하고 낙동강과 합류하는 밀양강 하류단을 대상구간으로 선정하였다. 상류 경계단인 상동수위관측소에서 측정된 수위자료는 유량자료로 환산하여 상류단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였으며, 하류단 경계조건은 낙동강 본류의 수산교 수위관측소와 삼랑진 수위관측소에서 측정된 수위자료를 밀양강 합류부까지의 거리 보정을 통해 밀양강 하류단의 수위자료로 사용하였다. 그림 1은 밀양강의 상동수위관측소에서부터 낙동강 합류부까지 구간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2는 밀양1 지점에 대한 모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단장천 유입 이후 밀양강 본류가 두 개의 루프형으로 분류되었다가 다시 합류하는 하도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보다 복잡한 검증과정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밀양강에 대한 수리학적 해석모형은 지류 합류부에서의 배수영향에 의한 수리특성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Fish Habitat Enhancement technique using 2-D Hydrodynamic Model (하도내 어류서식처 조성을 위한 2차원 수리동역학 모형의 적용)

  • Gil, Jun-Taek;Lee, Joo-Heon;Jeong, Sang-Man;Oh, Kuk-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11
    • /
    • 2009
  • 최근 경제발전과 산업화를 통한 도시화로 인하여 많은 자연하천이 심하게 훼손되고 있으며 도시하천의 경우 치수의 효율성을 강조한 하천정비를 실시함으로써 하천의 외경은 깨끗하게 바꾸어 놓았지만 그로 인한 하천생태계의 파괴가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생태적으로 훼손된 하천의 생태복원이 최근 들어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하천변의 식물 및 어류 등 다양한 생물에 대한 서식공간의 마련이 주요 이슈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리서식모형인 River2D를 대표적인 도시하천인 대전천에 적용하여 대전천의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감돌고기 및 우점종인 피라미를 대상으로 대상 어류의 서식처 제공을 위한 수리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자연친화적 서식처 개선 공법으로서 거석을 하도 내에 배치함에 따른 가중가용면적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으며 감돌고기를 위한 최적의 서식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상태의 대상하천에 대한 어류서식처를 모의분석한 결과, 현재 직선화되고 단조로운 하천흐름은 피라미의 서식환경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중가용면적의 경우 감돌기에 비하여 피라미가 약 20배정도 크게 나타났다. 어류서식처 조성공법의 WUA를 산정한 결과 V형 여울공법이 감돌고기의 서식환경을 360%, 징검다리 거석공법이 60%, 외톨이 거석공법이 8%이상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거석(Boulder)을 적절히 배치하여 서식처를 개선하는 방법의 경우에도 거석간 간격을 3.5m로 하여 배치하는 경우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석을 이용한 여러 가지의 배치형태 중에서 수류를 중앙으로 집중시켰을 때 감돌고기의 서식처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도 내 거석의 배치시 하도 및 대상어종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배치간격 및 배치방법을 연구하여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Stochastic-Dynamic Channel Routing Model by Storage Function Method (저류함수법에 의한 추계동역학적 하도홍수추적모형의 개발)

  • Bae, Deok-Hyo;Jeong, Il-M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3
    • /
    • pp.341-350
    • /
    • 200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state-space form of stochastic dynamic storage function routing model and to test the model performance for real-time flow forecast. The selected study area is the main Han River starting from Paldang Dam site to Indogyo station and the 13 flood events occurred from 1987 to 1998 are selected for computing model parameters and testing the model performance. It was shown that the optimal model parameters are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Hood events, but the values used on field work also give reasonable results in this study area. It is also obvious that the model performance from the stochastic-dynamic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gives more accurate and reliable results than that from the existing deterministic model. Analysis for allowable forecast lead time leads that under the current time step the reasonable predicted downstream flows in 5 hours time advance are obtained from the stochastic dynamic model on relatively less lateral inflow event in the study area.

  • PDF

The Classification of Instream Habtats for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생태하천복원을 위한 하도 생물서식처 유형 구분)

  • Ahn, Hong Kyu;Lee, Dong Jun;Kim, Si Nae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 no.2
    • /
    • pp.82-93
    • /
    • 2014
  • In recent years,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flood control, water utilization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rivers is actively being investigated. However,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inhabitation conditions of living organisms that live on the river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have been fully reflected, and with the use of limited methods, it ends in uniformed composition of artificial rivers and a mere customary stream channel maintenance, resulting in frequently disturbed stream channel habitats As a fundamental study for investigating the habitats of living organisms that live on river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each habitat type by dividing domestic rivers into sand rivers and gravel rivers depending on the nature of rivers and dividing sections of each river into central river sections and natural river sections. As a result, more diverse habitat types of organisms were found in the gravel rivers rather than in the sand rivers, and the habitat types of organisms in the central river sections where the river restoration project have been already conducted reached approximately 56.3 % of those that appeared in the natural river s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