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필수 아미노산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4초

채종박과 밀기울에 대한 오리의 분과 회장 소화율 비교 (Comparison of Ileal and Fecal Digestibility of Canola Meal and Wheat Bran in Ducks)

  • 김지혁;강환구;방한태;황보종;최희철;김동욱;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9-75
    • /
    • 2015
  • 본 시험은 밀기울과 채종박에 대한 육용오리(Pekin종, 평균체중 3.4 kg)의 소화율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6주령 육용오리 90수를 선별하여 대사케이지에서 1주간 사육하며 소화시험을 수행하였고, 시험사료는 밀기울과 채종박을 이용하였다. 시험설계는 사료원료에 따른 3처리구, 처리구당 6반복, 반복당 5수씩을 완전임의 배치하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이 끝난 후 분과 회장에서 소화율 측정용 시료를 채취하였다. 처리구와 시료 채취 부위에 따른 일반성분의 소화율은 조단백질과 조지방을 제외한 성분들에서 기초사료의 분 소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채종박의 회장 소화율이 낮게 나타났다(P<0.01). 처리구 간 비교에서 기초 사료의 소화율이 가장 높았고, 밀기울의 소화율이 가장 낮았다(P<0.05). 분과 회장 소화율의 비교에서도 조단백질과 조지방에서는 회장 소화율이 분의 소화율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P<0.01). 처리구와 시료 채취 부위에 따른 아미노산의 소화율은 기초사료의 분 소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채종박의 회장 소화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1). 처리구간 비교에서는 필수 아미노산 중 iso-leucine, leucine 및 phenylalanine, 비필수 아미노산 중 alanine, glycine 및 tyrosine은 대조구와 밀기울 급여구, 밀기울과 채종박 급여구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들 아미노산의 소화율은 대조구가 채종박 급여구에 비해 높았다(P<0.05). 다른 아미노산들은 처리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오리에 의한 밀기울과 채종박의 소화율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들은 오리 사료의 최적 배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육계에서 옥수수 주정박의 아미노산 소화율 조사 (Amino Acids Digestibility of Corn Distillers Dries Grains with Solubles in Broiler Chickens)

  • 황보종;홍의철;나재천;김지혁;강환구;김민지;김동욱;김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97-303
    • /
    • 2012
  • 본 시험은 옥수수 주정박의 첨가가 소화 부위별 아미노산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Ross종 육계 수컷 24수를 이용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CP 19%, ME 3,150 kcal/kg)를 기초 사료로 하였으며, 주정박을 6%와 12% 첨가한 사료를 시험사료로 하였다. 시험 설계는 사료 내에 주정박을 첨가시킨 양에 따른 3처리구(처리구당 8수)로 나누고, 소화물 채취 부위에 따른 4처리구로 나누어 $3{\times}4$의 복합 요인으로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소화율 측정을 위한 시료 수집 부위는 공장의 말단부(DJ, the distal end of the jejunum), 회장의 중부(MI, the middle part of the ileum), 회장의 말단부(DI, the distal end of the ileum) 및 직장의 말단부(DR, the distal end of the rectum)로 하였다. 주정박 첨가 수준과 채취 부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시험의 진정 소화율은 부위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CDDGS 첨가 수준에 따른 소화율은 필수 아미노산 중 lysine의 소화율이 CDDGS 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P<0.05). 또한 비필수 아미노산에서는 glycine의 소화율이 CDDGS 첨가구에서 감소하였으며(P<0.05), 다른 아미노산들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CDDGS는 lysine과 glysine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나, 대체적으로 대조구와 유사한 소화율을 보여 부존 자원으로서 가금 사료에 이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산지 신개간 토양에서 사료용 옥수수 수확시기가 생육특성, 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rvest Stag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Silage Corn in the Newly Reclaimed Hilly Land)

  • 도구호;김은중;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3-264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 야산을 절개하여 조성한 신개간 토양에 옥수수를 파종한 후 수확시기별 생산능력 및 영양수량을 평가함과 동시에, 국내 조사료 생산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수확기를 유숙기(97일), 호숙기(105일), 황숙기(112일) 및 늦은 황숙기(119일) 4처리 3반복으로 5월 6일 파종하여 숙기별 각각 8월 10일, 18일, 25일, 9월 1일에 수확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착수고, 엽수, 암이삭 길이는 황숙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고사엽, 경경도, 당도는 늦은 황숙기에서 높게 나타났다(p<0.01). 그리고 경의 굵기는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가늘게 나타났다(p<0.01). 엽폭, 알곡충실도 및 생초수량은 숙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건물수량은 숙기가 진행됨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숙기 간 다소 차이가 나타났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조회분 함량은 유숙기에 비하여 늦은 황숙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NDF와 ADF 함량은 숙기가 진전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1). 무기물 성분을 보면 Ca은 유숙기(p<0.05)에, Fe와 P의 함량은 호숙기에(p<0.05, 0.01) 각각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무기물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총 무기물 함량은 숙기가 진점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1). 구성아미노산 함량에 있어서 필수아미노산, 비필수아미노산 및 총아미노산(필수+ 비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황숙기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숙기 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유리당 함량은 유숙기> 호숙기> 황숙기 > 늦은 황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상호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수량은 황숙기> 늦은 황숙기> 호숙기> 유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1), 조지방 수량은 늦은 황숙기> 황숙기> 호숙기> 유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광물질 수량은 숙기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아미노산 및 TDN 수량은 늦은 황숙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사일리지용 옥수수를 산지 신개지에 재배 시 생육특성, 사초생산량 및 영양수량을 고려하면 황숙기나 늦은 황숙기에 수확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Micro파(波) 처리(處理)에 따른 건(乾)미꾸라지의 품질변화(品質變化) (Some Quality Changes of Dried Loach (Misgurnus-mizolepis) by Microwave (2,450 MHz) Heating)

  • 박일웅;홍재식;김종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13-420
    • /
    • 1986
  • Micro파(波) 처리에 의한 건(乾)미꾸라지 제품의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semidressed로 처리한 원료를 15%염수$(9^{\circ}C)$중 15분 침지후 44%정도의 수분량이 되도록 건조하였을때 어체 내부온도, $80^{\circ}C$로의 가열시간은 10분 정도가 적합하였고 제품의 단분자층 수분량은 Aw:0.28 일때 건물(乾物)로 5.34%였다. 저장 최적습도는 상대습도(相對濕度) 32-44%로 보아지며 국내 유통, 저장환경에서의 Nylon-PVC.PE film$(40{\mu})$ 포장제품의 년평균 shelf-life는 207.4일로 추청되였다. 가열에 따른 일반성분의 감소는 거의 없었으나 주요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 alanine, valine은 각각 0.74g/16gN, 0.96g/16gN, 0.97g/16gN이 증가되었으며 Iysine, aspartic acid 등은 각각 소량 아미노산인 serine, histidine, methionine 및 tyrosine의 감소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제품중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Iysine등 7종이 총아미노산의 40.8%(16,697.8mg%)로 27.28g/16gN을 차지하였다. 지방산조성 역시 큰변화는 없었으나 C14 : 0산, C16 : 0산, C18 : 0산등 포파지방산은 0.8% 증가된 반면, C14 : 1산, Cl6 : 1산, C18 : 2산, C2O 1산등 불포화지방산은 1.5% 감소되었고, 특히, C18 : 3산과 C20 : 4산은 각각 1.8%, 0.2%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C18 : 1산은 오히려 1.8%가 증가되었다.

  • PDF

남대양산 크릴의 이용에 관한 연구 1. 크릴의 식품원료학적인 성상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ANTARCTIC KRILL 1.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Fresh Frozen and Preboiled Frozen Krill)

  • 박영호;이응홍;이강호;변재형;류홍수;최수안;김선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1-200
    • /
    • 1979
  • 새로운 단백질자원인 남빙양산크릴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식품원료학적인 특성의 구명에 주목적을 두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1978년 1월 30일 남비양에서 어획하여 생동결 및 자숙동결한 크릴을 시료로 하여 일반성분조성, 아미노산조성, 중금속류의 함량, 가식부의 비율, 해동시의 drip 발생량 및 그 결성 등에 대하여 연구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 일반성분조성에 있어서 생동결크릴은 자숙동결크릴에 비하여 지방 및 유리아미노실소의 함량이 높고 회분함량이 낮았다. VBN량은 생동결크릴이 $37.6mg\%$, 자숙동결크릴이 $26.4mg\%$로 상당히 높고, pH는 생동결크릴은 7.1, 자숙동결크릴이 7.2로 비교적 낮았는데, 이러한 VBN 및 pH값은 시료 크릴의 저장기간이 길고, 냉동보관의 빈번한 변동으로 선도가 많이 저하한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생동결크릴의 육질부아미노산조성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proline 및 leucine의 함량이 높고, methionine, histidine, serine, tyrosine 및 phenylalanine의 함량이 적었으며, 필수아미노산에 있어서는 lysine 및 leucine의 함량이 높고 methionine 및 phenylalanine의 함량이 낮았다. 한편 유리아미노산조성에 있어서는 proline, lysine, glycine, arginine 및 alanine의 함량이 높고 histidine, methionine, aspartic acid, serine 및 threonine의 함량이 낮았으며, 필수아미노산에 있어서는 lysine 및 leucine의 함량이 많고 methionine 및 threonine의 함량이 낮았다. 크릴의 구성아미노산이나 유리마미노산 조성에 있어서 필수아미노산인 lysine의 함량이 많은 점은 영양적으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3. 크릴의 중금속함량은 Hg가 $0.039\~0.048ppm$, Pb가 $0.06\~0.11ppm$, Zn가 0.32이하 Cd가 $0.008\~0.012ppm$, C가 ND, Fe가 $0.61\~0.68ppm$, Cu가 $0.87\~1.37ppm$로 전반적으로 함량이 낮았다. 단 Cu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것은 갑각류의 혈액구성성분인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4. 가식부와 부하식부의 비율은 생동결크릴이 37:63이고 자숙동결크릴이 42:58로 외견상 가식부비율이 자숙동결크릴이 많았다. 5. 해동시의 drip의 유출량은 생동결크릴이 약 $36\%$ 자숙동결이 약 $24\%$로 생동결크릴이 많았고, 크릴의 성분조성에 있어서는 생동결크릴의 경우가 고형조단백질 및 조지방의 함량이 현저하게 많았고 회분함량은 적었다.

  • PDF

Lysine 결핍에 따른 섭식반응과 뇌의 역할 (The Role of Brain and Feeding Response on Lysine Devoid Diet)

  • 김창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221-232
    • /
    • 2002
  • 시험은 사료내 필수아미노산 결핍이 rat의 사료섭취량과 혈액 및 뇌내 전이상엽피질(PPC)의 유리아미노산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뇌내 섭식조절 메카니즘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모든 사료의 질소원은 순수 아미노산 혼합물을 이용하였으며, 질소수준은 15%로 하였다. 사료는 하루 6시간 동안 섭취하도록 훈련을 시켰으며(17:00-21:00, meal feeding method),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은 사료급여 7일째부터 매시간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을 사료급여 후 매시간 측정하였으며, 혈액 및 PPC의 아미노산 농도는 사료급여 11일째의 0, 1, 2, 3, 6시간 후에 관찰하였다. 실험 2에서는 complete diet에서 11일째에 lysine 결핍사료로 교체하여 사료섭취량, 증체량 및 혈액 및 PPC의 아미노산 농도는 실험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 complete diet 급여에 따른 사료섭취량은 7일째부터 일일섭취량(15g/day)을 충족하였다. 또한 11일째의 혈액 및 뇌의 유리 아미노산 농도는 사료급여 한시간 후에 증가하였으나, 그 후에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반면, 실험 2에서는 complete diet에서 lysine 결핍사료로 교체함에 따른 사료섭취량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P$<$0.05), 혈액 및 PPC의 유리 lysine 농도는 lysine 결핍사료 급여 2시간 후에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으며, 누적 사료섭취량은 사료급여 4시간째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아미노산 결핍사료 섭취에 따른 혈액과 PPC의 해당 아미노산의 농도 감소는 사료섭취량의 감소에 비하여 빠르게 반응하였고,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사료중 아미노산 결핍에 반응하는 부위의 일부분으로 뇌내 PPC가 직접적인 관여를 한다고 판단된다.

소금첨가량을 달리한 양 육수의 품질 특성 - 고압가열추출방식으로 - (Quality Characteristics of Lamb Stock According to Salt Contents - Using a High Pressure Extraction Cooking Method -)

  • 홍우표;김동석;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9-161
    • /
    • 2012
  • 본 연구는 양 육수의 선행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가운데 육수의 제조 시 소금을 첨가 하였을때 표준화된 육수개발의 정확한 방향을 제시하고 고압추출기를 이용한 균일화를 이룬 대량생산의 개발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염도 측정의 결과는 소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양 육수의 염도는 시료간의 유의적(p<0.001)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소금 0.4% 첨가군이 0.57로 가장 높은 염도값을 나타내었고, 당도는 소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양 육수의 당도는 유의적(p<0.001)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미노산 분석에서 0.1% 첨가군이 32종, 0.2%, 03% 첨가군이 34종, 0.4% 첨가군이 33종 검출되었다. 검출량 또한 소금 0.3% 첨가군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0.2% 첨가군> 0.4% 첨가군 > 0.1 첨가군 > 대조군 순서로 소금첨가량 증가 시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군의 경우 필수 아미노산 9종이 검출되었고, 어린이의 성장에 필요한 histidine과 arginine이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모든 시료 중에 arginine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필수 아미노산은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관능감사 중 특성차이검사 결과 색의 강도(color intensity)는 소금 0.1% 첨가군이 4.86으로 가장 높았으며, 소금 0.4% 첨가군이 3.24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으나 소금의 첨가량에 따라 증감의 차이가 없었다. 삼킨 후의 느낌(after Taste)은 0.3%를 첨가 하였을 때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각 시료 간 에는 유의적(p<0.001)인 차이를 보였다. 외관(appearance)은 대조군이 4.32로 가장 높았으며, 소금 0.2% 첨가군이 3.6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맛(taste)의 기호도에서는 소금 0.3% 첨가군이 4.09로 가장 높았고, 각 시료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quality)에서는 소금 0.3% 첨가군이 4.23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대조군이 3.52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각 시료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양 육수를 제조할 때 소금첨가량은 0.3%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양 육수 제조 시 적절한 소금의 첨가는 필수 아미노산의 용출을 촉진하며 위생적 안정을 확보하고 관능적으로 더욱 뛰어난 품질의 육수를 제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 PDF

합성유전자를 이용한 식물단백질의 향상 (Plant Protein Improvement by Synthetic Gene)

  • 김태금;양문식
    • KSBB Journal
    • /
    • 제7권3호
    • /
    • pp.155-160
    • /
    • 1992
  • 식량으로 쓰이는 식물 단백질은 공통적으로 Isoleucine, Lysine, Methionine, Threonine, Tryptoplan등 5가지 필수아미노산이 결핍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수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한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합성유전자를 fekaqo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시키고자 강한 식물 promoter로 알려진 CaMV 35S, CaMV duplicate 35S promoters를 사용하였다. 형질 전환 및 재분화된 식물을 분석한 결과 본 합성 유전자가 식물 nuclear genome 안으로 도입을 안정하여 잘되었고 mRNA수준까지는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단백질 수준에서는 유의적 수준의 증가를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버섯차 개발을 위한 로스팅 식용버섯류와 곡물첨가물의 혼합비율에 따른 추출온도 및 시간별 생리활성 및 영양성분 변화 (Changes of biological activities and nutrition contents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in the mixtures of roasted edible mushrooms and grain additives for the development of mushroom tea)

  • 안기홍;한재구;김옥태;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4-35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느타리(Pleurotus ostreatus)와 표고(Lentinula edodes) 버섯차 개발을 위하여 귀리(oat)와 현미(brown rice)를 부재료로 사용함으로서 버섯 특유의 향미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곡물류 특유의 고소함과 영양학적 가치 향상을 기대하였다. 이에 버섯시료의 가공방법 중 열풍건조 및 로스팅 처리에 의한 생리활성 및 영양성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느타리와 표고의 열풍건조 및 로스팅 시료 사이의 DPPH 라디컬 소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의 차이는 크게 없었으나, 총 폴리페놀 함량과 베타글루칸 함량은 로스팅 처리에 의하여 함량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스팅 처리된 귀리와 현미의 생리활성과 영양성분을 비교한 결과, 귀리의 DPPH 라디컬 소거능 및 베타글루칸 함량은 현미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리는 높은 글루탐산(Glu) 성분 등을 포함하여 모든 아미노산 성분이 현미보다 높게 나타났다. 로스팅 버섯 시료와 부재료의 혼합비율별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 조건에 따른 생리활성 분석결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로스팅 표고와 귀리 1:1 혼합물(LE+O)의 100℃, 3분 추출조건에서 33.5%로 가장 높았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느타리와 현미 3:1 혼합물(PO+B)의 100℃, 10분 추출조건에서 49.9%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70℃의 10분 추출시간 조건에서 느타리와 현미 3:1 혼합추출물(PO+B)의 함량치가 16.2 mg GAE/g로 가장 높았으며, 베타글루칸 함량은 표고와 현미(LE+B) 3:1 혼합물에서 34.4%로 다른 혼합비율의 함량치에 비하여 높았다. 아미노산 분석결과, 느타리와 현미 혼합물(PO+B) 중 1:1 혼합비율에서 필수 아미노산 성분함량이 다른 혼합비율에 비하여 높았으며, 표고와 현미(LE+B) 혼합물 3:1의 비율에서 필수아미노산 성분 함량이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 성분 중 단맛과 감칠맛을 나타내는 성분함량이 월등히 높았던 귀리를 혼합함에 따른 느타리, 표고와 귀리 혼합물에서의 아미노산 성분함량의 상승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산 청삼 헴프단백질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Hempseed Protein in Cheungsam from Korea)

  • 김점지;이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763-1769
    • /
    • 2011
  • 한국산 청삼종자를 식품산업 분야에서 응용하기 위해서 청삼종자의 영양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청삼종자는 약 30.52%의 지방과 30.02%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청삼종자 지방은 약 88%의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오메가-6와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의 비율이 약 3:1이었다. 또한 청삼종자는 높은 필수 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산-염기 침전법으로 추출한 청삼종자 단백질은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청삼 헴프단백질이 우수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