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필리핀 이주노동자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Governance Concerns and Migration Intentions: A Study of Potential Filipino Migrants (거버넌스와 이주: 필리핀 잠재적 이주노동자에 대한 연구)

  • Oh, Yoon-Ah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1 no.2
    • /
    • pp.183-216
    • /
    • 2011
  • 이 글은 잠재적 이주노동자들이 거버넌스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정도가 이주의도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어떻게 다른지를 필리핀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2011년 기준으로 전 세계 인구의 3.2퍼센트가 국제이주자이며 이들이 본국에 보내는 노동송금은 4천 4백억 달러에 달한다. 기존연구에서 파악하듯 세계인구이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노동이주의 주요 결정요인은 출신국과 이주대상국의 소득격차, 기존 이주 네트워크, 이주대상국의 이주정책 등을 포함한 경제적 요인들이다. 그러나 대규모 송출국들이 대부분 경제적 저발전과 취약한 정부(ineffective government)의 구조적인 문제를 함께 가지고 있다는 점에 착안한다면 비록 경제적 고려가 우선시 되는 노동이주에 있어서도 잠재적 이주자들이 "정치적" 으로 여타의 사회와 구분되는 특수한 정치적 태도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주자들의 정치적 태도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노동이주가 송출국에 미치는 정치적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해당 이주자들의 부재와 이들이 본국으로 보내는 노동송금이 송출국 정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그 영향의 방향은 이주자의 기본적인 정치적 관심과 의제에 따라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첫째, 이주노동의사가 있는 시민들이 취약한 정부능력에 대한 염려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높은가? 둘째, 이러한 관계가 성립된다면 그 관계는 민주주의에 대한 지지를 저해하는가? 이 연구는 2002년과 2003년 필리핀에서 실시된 전국적 설문조사인 Social Weather Survey 자료와 2008년 및 2009 년 필리핀 현지조사에서 수집한 인터뷰와 2차 자료를 근거로, 정부능력에 대한 평가와 이주노동의사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연구가 제시하는 통제변인들을 감안하더라도 효과적인 정부운영이 필리핀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할수록 해외로 취업할 것을 고려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행히도 이러한 태도가 민주주의에 대한 원칙적인 지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효과적인 정부에 대한 관심이 이주노동을 고려하는 시민들에게 높다는 사실은 장기적으로 이들이 해외로 이주할 경우 정부개혁을 요구하고 추진할 국내적 정치적 기반이 줄어들 수 있다는 부정적 함의를 가지기도 한다.

Constructing a Heterotopia of Migrant Space: 'Weekend Flat' of Filipino Migrant Care-givers in Tel Aviv, Israel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이주 공간: 텔아비브 필리핀 노인돌봄노동자들의 '주말아파트'를 중심으로)

  • Lim, Anna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6
    • /
    • pp.799-817
    • /
    • 2016
  •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e ways in which a "space of difference" is produced and interpret the space as a heterotopic space, drawing the case of Filipino elderly care-givers in Israel. The in-betweens and temporariness of the migrants'experiences in the Israeli society lead to the creation of a heterotopic space. Paying attention to their particular life rhythm as live-in care-givers, namely weekdays-workplace and weekend-flat,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migrant care-givers build their own society through a variety of spatial practices and multiple social relations based on the flat. In making the flat a perfect form of a lifestyle for their own, the migrants inscribe their presence in the flat in unique ways for different purposes, in a way different to that which surrounds it. However, the structure of flat not only signifies the migrants' marginality but also reflects the challenging position. The flat has functions in relation to all other space that remains, even if such connection often creates effects of contrast and difference. In this light, the flat is not merely an alienated and circumscibed exotic migrant enclave but a heterotopic space which is dynamically constructed in relation to other sites in the wider societal order.

  • PDF

Perceived Wage-Fairness of Migrant Workers in Korea (외국인 노동자의 임금에 대한 공정성인식)

  • 이정환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4 no.2
    • /
    • pp.179-206
    • /
    • 2001
  • This study examines degree of fairness migrant workers in Korea feel with their wages in comparison to those of their homeland and Korean workers who do the same job in Korea as theirs, and what factors affect the feelings. For the study, 742 migrant workers from China, Vietnam, Philippines, and Indonesia employed by manufacturing firms in Seoul and Gyenggi areas were surveyed. The results show that most migrant workers in Korea feel unfair about their wages, and the feeling of unfairness appears more strongly when comparing with the Korean workers than with their homeland workers. The effectiveness of variables affecting fairness also varies according to the object of comparison: in comparison to homeland workers, age, sex, monthly income before migration, money spent for employment, and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are significant: in comparison to Korean workers, ethnicity, sex, legal status,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are significant.

  • PDF

Foreign Domestic Workers in Korea (한국내 외국인 가정부 고용에 관한 연구)

  • Lee, Hye-Kyu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2
    • /
    • pp.121-153
    • /
    • 2004
  •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가정부 고용에 대한 연구로 국내 가정부 고용의 역사와 추이를 살펴 본 후, 외국인 가정부의 고용현황 및 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학계 쪽의 문헌 및 신문자료의 검토를 통해 조선시대 이후, 특히 1960년대 이후 내국인 가정부의 고용추이와 특성을 파악하였고, 지역별 사회복지관과 YWCA 담당자 전화조사를 통해 현재 국내 가정부 노동시장의 수요와 공급 정도를 살펴 본 후, 법무부 출입국관리국의 통계자료와 2002년 불법체류 자진신고자료 및 2001년 말부터 2004년 초까지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한 외국인 가정부 구인구직 광고내용을 분석하여, 국내 외국인 가정부 고용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간 국내에서 외국인 가정부가 활성화되지 못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다른 아시아 신흥공업국에 비해 국내 기혼여성 특히 중류층 이상의 고학력 기혼여성의 취업이 저조하였기 때문이다. 동시에, 하류층 기혼여성의 취업기회도 제한적이므로, 현재까지는 내국인 시간제 파출부 시장에서 수요보다는 공급이 더 많기 때문이다. 둘째, 필리핀인 여성 대신에 중국동포가 국내의 외국인 가정부 시장을 독점한 이유는 중국동포는 한국어는 물론 우리의 풍습을 많이 유지하고 있어서 이들을 고용하는 것이 더 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동안 주로 40대 이상의 중${\cdot}$고령층의 중국동포 여성이 국내로 유입되었다는 점도 이들을 '탈여성화'된 그리고 '모성적'인 입주가정부로 활용하게 된 중요한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