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해범위

Search Result 94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Damage Range According to Leakage Scenarios in Natural Gas Pipeline of LNG Fueled Ship (LNG 추진선의 천연가스 배관에서 누출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범위에 관한 연구)

  • Lee, Yoo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4
    • /
    • pp.317-326
    • /
    • 2020
  • In this study, damages caused by flash fire, overpressure, and thermal radiation based on the sizes of leak holes were evaluated using the areal location of hazardous atmospheres when natural gas leaked owing to the damage of pipeline in a LNG fueled ship. In addition, environmental variables (wind speed, atmospheric temperature, and atmospheric stability) and process variables (pipe pressure and pipe length) were classified to analyze the damage impact ranges caused by various scenarios. From the results, the damage range caused by the environmental variables was the largest, followed by overpressure and thermal radiation. Additionally, for the process variables, regardless of the pressure, length, or size of the leak holes, the damage range attributed to flash fire was the most significant, and the damage range was high in the order of overpressure and thermal radiation, similar to the environmental variables. The larger the size of the leak holes, the higher the values of the environmental and process variables, and the higher the damage range caused by jet fire compared to the environmental variables.

A Random Walk Model for Estimating Debris Flow Damage Range (랜덤워크 모델을 이용한 토석류 산사태 피해범위 산정기법 제안)

  • Young-Suk Song;Min-Sun Le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3 no.1
    • /
    • pp.201-211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amage range of the debris flow to predict the amount of collapsed soil in a landslide event. The height of the collapsed slope and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collapsed soil were used to predict the total trajectory distance using a random walk model. Debris flow trajectory probabilities were calculated through 10,000 Monte Carlo simulations and were used to calculate the damage range as measured from the landslide scar to its toe. Compiled information on debris flows that occurred in the Cheonwangbong area of Mt. Jirisan was used to test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random walk model in estimating the damage range of debris flow. Results of the comparison reveal that the proposed model shows reasonable accuracy in estimating the damage range of debris flow and that using 10 m × 10 m cells allows the damage range to be reproduced with satisfactory precision.

Numerical Simulations of Landslide Disaster based on UAV Photogrammetry at Gokseong Areas (무인 항공사진측량 정보를 기반으로 한 곡성지역 산사태 수치해석)

  • Choi, Jae Hee;Kim, Nam Gyun;Jun, Byo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6-2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2020년 산사태가 발생한 곡성지역을 대상으로 무인항공기 사진측량을 통하여 산사태 지역의 범위와 변위를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사태에 의한 피해범위를 LS-RAPID에서 분석하였다. LS-RAPID는 지진과 강우의 영향을 반영하는 산사태 시뮬레이션 모델이며, 산사태 운동시작여부를 평가하며 만일 발생 시 토사의 이동, 퇴적 범위, 토사층의 깊이를 예측할 수 있다. 산사태 시뮬레이션에서 중요한 변수 중의 하나는 지중의 활동층의 깊이와 분포이다. 재해현장에서 이런 자료를 신속하고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측량을 실시하였다. 또한 산사태 토사의 이동과 퇴적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도 획득하였다. 매개변수의 추정 시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값을 참고하여, 재해현장의 피해범위와 규모를 비교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다른 연구사례에서 이용한 값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의 지형입력자료로서 무인항공기 사진 측량자료에서 생성된 DSM(Digital Surface Model)과 수지지도에서 생성한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적용한 경우, 시뮬레이션 결과에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DEM보다 DSM을 적용하는 것이 퇴적범위가 크게 확대되지 않으며, 현장을 잘 반영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Impact of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due to LNG Leaks in the LNG Re-gasification Process (LNG 재기화 공정에서 LNG 누출에 따른 화재 및 폭발사고의 피해영향 분석)

  • Lee, Yoo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6
    • /
    • pp.825-833
    • /
    • 2018
  • In this study, one calculated the range of damage to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LNG and the size of leaking holes, and analyzed the damage effect in case of leakage accidents caused by pipe damage in the re-gasification process for the LNG supply system. In order to confirm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NG compos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 of risk analysis by LNG-producing areas. However, the higher the methane content of the components, the lower the risk of flash fire, hazardous areas of overpressure due to explosion, and thermal radiation damage caused by jet fire. In addition, on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eakage, holes, and ruptures on the risk range and explosion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ipe-leakage hole. Also, the influence of overpressure and the range of damage from radiant heat could be predicted. One confirmed the effect of LNG composition and pipe-leakage size on fire and explosion.

A Study on the Range of Damage Effects of Benzene Leakage Accidents using the KORA Program (KORA 프로그램을 활용한 벤젠 누출사고 피해영향범위에 관한 연구)

  • Cha, Jeong-M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3 no.4
    • /
    • pp.112-120
    • /
    • 2019
  • Benzene is a class 4 hazardous material according to the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Hazardous Substances. This study qualitatively evaluated the damage size of a "toxic" accident and "pool fire" accidents based on benzene in a virtual scenario of a fire and leakage accident during unloading at a port facility. The KORA program was used as an evaluation method, which is supported as a universal program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The range of damage effects of a benzene-induced fire and leakage accident was predicted. In the case of toxic damage range, the accident's damage effect range for the "worst case scenario" was reduced by up to 5.11% with a decrease in the size of the leakage hole. In the case of the leakage time, the damage effect range increased to 145.12% with a 10 min leakage time compared to that of a 5 min leakage time and went up to 20 min (212.29%) with a 20 min leakage time. In the case of pool-fire-induced damage, the damage effect range by radiant heat in the "worst case scenario" was 228.8 m in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handling facility. In the "alternative scenario," the damage effect range by radiant heat was reduced by up to 8.26% compared to that in the "worst case scenario" since the size of the leakage hole was decreased by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pe.

Developing the Real-Time Atmospheric Dispersion System of Hazardous Chemicals for Proactive Response (능동적 사고대처를 위한 유해화학물질의 실시간 대기확산시스템 개발)

  • Oh, Jeong-Seok;Sohn, Choong-Yeon;Hyun, Ji-I;Sung, J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13-16
    • /
    • 2011
  • 에너지플랜트는 위험성이 높은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해서 누출사고가 발생 할 가능성이 높다.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되어 대기 중에 확산되면 강한 유독성으로 인해 대형피해를 불러온다. 유해화학물질의 누출로 인한 대기 중의 확산피해 최소화하는 방안에는 확산 될 범위를 산출하여 적절한 사고대응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대기확산모델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대기확산범위 산출은 가상으로 설정 된 시나리오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하여 결과를 도출한다. 가상 데이터로 산출 된 결과는 정확성이 결여 될 수 있으며 실시간 대기확산범위 산출이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해화학물질의 대기확산범위를 즉각적으로 산출 할 수 있는 실시간 대기확산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대기확산범위 산출에 필요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수집 된 실제 데이터를 이용한다. 실시간으로 수집된 실 데이터를 토대로 데이터마이닝기법을 통해 자율적인 누출사고를 탐지하고 누출지점을 특정 할 수 있는 지능화모듈을 설계한다. 대기확산모델은 유해화학물질의 증기운의 무게에 따라 가우시안과 SLAB모델을 이용한다. 실시간으로 산출 된 대기확산범위는 ERPG의 각 단계의 농도 기준에 근거하여 총 3단계로 구분해서 GIS맵 상의 유저인터페이스에 표현한다. 산출된 대기확산피해범위는 현장 작업자의 모바일기기로 사고와 관련 된 대응조치와 함께 신속히 전파할 수 있도록 구현해서 누출로 인한 유해화학물질의 확산사고피해 최소화를 도모한다.

Analysis of Quantitative Damage Characteristics Using Drought Damage (가뭄피해를 이용한 정량적 피해특성 분석)

  • Song, Young Seok;Lee, Hyeong Jun;Park, Moo 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42-342
    • /
    • 2021
  • 전세계적의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영향으로 기온상승, 강우증가, 해수면 상승 등에 자연재난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가뭄의 경우 전조증상, 발생원인, 발생기간 뿐만 아니라 대상범위나 피해범위도 불명확하다. 가뭄은 근본적으로 강우량의 부족으로 시작되며 농업, 생활, 공업 등의 전반적인 피해를 발생시킨다. 최근에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기온증가, 해수면상승, 극한호우, 메가가뭄 등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자연재난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가뭄은 태풍, 홍수, 지진 등의 자연재난 중에서도 가장 광범위한 피해를 유발시키는 재난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에서는 20세기의 관측된 가장 심각한 자연재난 중 하나로 가뭄이 선정되었으며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및 강수의 증가는 가뭄피해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피해가 급증할 것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생활·공업 가뭄에 대하여 피해액과 복구액에 대한 정량적 피해특성을 산정할 수 있는 추정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농업·생활·공업 가뭄에 대한 피해액은 다양한 인자들을 고려하며 매년 변화하는 물가를 반영하여 피해액의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복구액은 가뭄피해발생으로 발생될 수 있는 농업·생활·공업의 특성에 맞는 복구인자를 구성하였으며 피해에 대한 복구뿐만 아니라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한 인자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농업·생활·공업 가뭄의 피해액 추정식의 경우 정량적 검증을 위해 1965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에서 발생된 가뭄피해와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 PDF

Evaluation of Damage Range Variation Based on Operation System of Chlorine Facility in Water Purification Plant using KORA (KORA를 활용한 정수장 염소 취급시설의 운영조건에 따른 피해범위 변화 평가)

  • Kwak, Sollim;Lim, Hyeongjun;Ryu, Taekwon;Choi, Woosoo;Jung, Jinhee;Lee, Jieun;Kim, Jungkon;Lee, Yeonhee;Ryu, Jisung;Yoon, Junheon;Yoon, Yi;Lee, Jinse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2 no.3
    • /
    • pp.84-90
    • /
    • 2018
  • We researched the way to minimize the damage when the chlorine-leak accident take place in a purification plant. Since the level of risk based on the Off-site Risk Assessment(ORA) is a combination of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residents in the damaged area and frequency of accidents, we suggested the adequate conditions to reduce the number of residents in the damaged area by means of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a handling facility, installation of a emergency shut-off valve, and the analysis of the variation of the damaging range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enclosure. The coverage of damage was calculated by the 'KORA(Korea Off-site Risk Assessment Supporting Tool) program. The research shows that the lower operating temperature gets, the more emergency shut-off valve being installed and the higher enclosure level of facility becomes, the extent of damage gets decreased. The decreasing rate of worst case was 17.6%, 71%, 34.5% respectively, the decreasing rate of alternative case was 31.6%, 69.0%, 34.8% respectively.

Analysis of debris flow movement and diffusion zone, on August 2020 (2020년 8월 토석류 발생지역의 이동확산범위 분석)

  • Kim, Minseok;An, Hyunuk;Lee, Seongjun;Kim, Ji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5-235
    • /
    • 2021
  • 아시아 몬순기후의 영향에 의해 우리나라는 2020년 7월부터 9월까지 약 90일간의 장마로 인해 크고 작은 수재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안성, 충주, 음성 그리고 곡성 등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하였으며, 그 외 13개소에서 많은 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다. 2020년 산사태/토석류 재해로 인한 전국적인 피해액은 약 3,900억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매년 집중호우에 의해 피해 양상이 변하고, 도시지역에서의 발생이 빈번하게 늘고 있다.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토석류 전이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발생 물질이 어디까지 이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위험범위확산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며, 이런 연구를 기반으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천수방정식, 유변학특성 식 그리고 연행침식 식을 조합하여 개발된 적응형 격자기반 2차원 토석류 모델을 이용하여 안성, 음성 그리고 단성지역에서 발생했었던 산사태/토석류 전이 피해 양상을 해석하였다. 산사태 발생 후 2~3일 이내에 지표 지질 및 지형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UAV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산사태 및 토석류의 형태를 맵핑하였다. 지질 및 지형조사 시 간이 Vein tester를 이용하여 야외에서 토양 물성관련 자료를 취득하였으며, 토석류의 이동 흔적(나무 등에의 토석류 타격 흔적)을 이용하여 조사지점에서의 최대 토석류 흐름 깊이를 추정하였다. 정확한 토석류의 유속에 대한 자료 부족으로 2011년 우면산에서 발생한 약 26m/s의 속도를 이용하여 토석류의 흐름 특성을 계산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행침식의 계산을 위해 발생지점 부터 토석류가 퇴적된 하류부까지 기반암의 노출 및 퇴적 정보를 통해 최대 침식 깊이를 추정하여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토석류 맵핑자료와 비교 결과 정확도가 9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토석류 발생 후 안성 200초, 음성 180초 그리고 단성 180초 이내로 토석류가 하류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와 같이 산사태/토석류 발생 메커니즘 해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산지 재해에 의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토석류확산범위 해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orest Fire Area Extraction Method Using VIIRS (VIIRS를 활용한 산불 피해 범위 추출 방법 연구)

  • Chae, Hanseong;Ahn, Jaeseong;Choi, Jinmu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8 no.5_2
    • /
    • pp.669-683
    • /
    • 2022
  • The frequency and damage of forest fires have tended to increase over the past 20 years.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forest fires, information on forest fire damage should be well managed. However, information on the extent of forest fire damage is not well managed.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method that extracting information on the area of forest fire in real time and quasi-real-time using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VIIRS) images. VIIRS data observing the Korean Peninsula were obtained and visualized at the time of the East Coast forest fire in March 2022. VIIRS images were classified without supervision using iterative self-organizing data analysis (ISODATA) algorithm. The results were reclassified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ned area and the location of the flame to extract the extent of forest fire. The fin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verification and comparison data.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the case of large forest fires, it was found that classifying and extracting VIIRS images was more accurate than estimating them through forest fire occurrence data. This method can be used to create spatial data for forest fire management. Furthermore, if this research method is automated, it is expected that daily forest fire damage monitoring based on VIIRS will be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