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해가능성

Search Result 1,10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mproving Potential Flood Damage for Basin Flood Mitigation Safety Level (유역 치수안전도를 위한 홍수피해잠재능의 개선)

  • Lee, Seung-Jong;Kim, Young-Oh;Lee, Jae-Hyung;Lee, Yoo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26-230
    • /
    • 2006
  • 홍수피해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 PFD)은 면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치수단위구역의 치수특성 및 사회경제적인 가치를 함께 평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지수로 이미 여러 유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유역종합 치수계획 사업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몇 가지 중요한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다음과 같은 이론적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PFD는 처음 제안될 당시 (이하 기존 PFD) '잠재성'과 '위험성'라는 두 가지 요소가 곱해지는(multiplicative) 형태로 구성된 후 '위험성' 요소 안에 '가능성'과 '방어능력'이 더해지는 (additive)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하 수정 PFD) '피해대상', '피해가능성', 그리고 '방어취약성'이 모두 곱해져야 이론적으로 타당함을 제시하였다. 기존 PFD는 '방어취약성'이 0의 값, 즉 홍수에 대한 완전방어를 의미하는 값에 가까워져도 PFD 값이 0에 수렴하지 않는 반면, 수정 PFD는 위의 경우 홍수 피해잠재능이 0에 수렴하는 것을 요소별 시나리오 모의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본 연구에서는 PFD를 이용하여 유역의 목표치수안전도 설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PFD의 물리적인 의미가 무차원화 된 피해량 임을 전제로, 피해대상으로부터 목표방어율을 설정한 후 이에 해당하는 목표방어취약성을 계산하는 절차를 전개하였다. 추후 이 방법을 실제 자료에 적용하여 검증하는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 PDF

Factors Affecting Potential Disaster Damage and Perceptible Stress Influencing Evacuation Behavior (재난피해가능성불안 및 지각된 스트레스가 대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JI, Youngil;Moon, YooMi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3
    • /
    • pp.594-601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in Gyonggi-do and evacuation behavior that influences evacuation behavior.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hypothesi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and perceived stress, and analyzed similarity in correspondence between age and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Results: The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of a group vulnerable to safety and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of disaster system collapse were perceived in close proximity. Disaster system collapse, evacuation life, and natural disasters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stress. Stress and natural disasters were found to be influencing factors on evacuation behavior. Conclusion: The necessity of managing stress was confirmed since anxiety about natural disaster damage potential and stress affect evacuation behavior. The recent experiences of heavy rain disasters indicate that the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is expected to increase.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planning and psychological management to manage the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Pollution Risk Assessment of Oil Spill Accident (해양유류오염사고 위해도 평가)

  • Lee, Moon-Jin;Kim, Hye-Jin;Hwang, Ho-Jin;Lee, Seung-Hyu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05a
    • /
    • pp.9-14
    • /
    • 2007
  • 해양유류오염사고 유출유 피해 위험도 산정을 위한 평가기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위해도 평가에서는 과거 사고 사례에 근거하여 선정한 사고 해역에 대하여 여러 경우의 유출유 확산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를 통계 분석하여 유출유의 피해 가능성, 도달시간, 피해 규모 둥을 산정한다. 유출유의 피해 가능성, 도달시간, 피해규모는 환경민감자원 현황에 근거한 해역별 해안 및 어장 양식장을 대상으로 산정하며, 각 해역별 피해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해역별 위해도를 산정한다. 이러한 결과는 특정 유류오염사고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피해 위험을 제시할 수 있으며, 실시간 피해 위험 예측과 연계하여 보다 타당성 있는 유류오염사고 위해도 평가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 PDF

Weak Point Analysis of flood using the Road Drainage Network Analysis (도로배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홍수 취약지점 분석)

  • Kim, Kyong-hoon;Kim, Seok;Kim, Jin-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09-310
    • /
    • 2016
  • 지난 1973년 이후 비가 내리는 날이 크게 증가되고 있으며, 1995년 이후 최근 10년간 우리나라의 전체 홍수 피해액은 약 17조 5천억 원으로 연 평균 1조 7천억원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홍수피해의 90%이상이 인구가 밀집되고, 자산가치가 높은 도시에서 홍수로 인한 피해가 빈발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침수 문제는 매우 심각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중호우나 홍수범람시 수해 발생 가능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침수피해가 높은 도시지역의 배수시스템에 대한 검토와 막대한 재산 및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홍수피해에 대응하기 위한 홍수 지약지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부지역의 도로배수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도로의 배수 취약지점을 탐색해보고, 집중호우 및 홍수 발생시 침수 발생가능성이 높은 지점을 선정하여 도로배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침수예방대책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amage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front Structures (수변구조물 통합관리를 위한 피해정보 시스템 구현 및 설계)

  • Yun, Kwonyoung;Son, Jongkwon;Kim, Juhyeong;Kwon, Joonho
    • Journal of IKEEE
    • /
    • v.18 no.1
    • /
    • pp.45-56
    • /
    • 2014
  • Recently, damages from disasters such as downpours, earthquakes and typhoons are increasing throughout the world. The downpour days of Korean Peninsula are also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rapid climate change. According to statistics over the last 30 years of the earthquakes in Korean Peninsula, the probability of a future earthquake is very high. In addition, super typhoons will hit Korean Peninsula due to the temperature rise in the nearby sea caused by the deepening of global warming. Thus, damage costs of the waterfront structures by natural disasters are also growing. But damage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front structures are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damage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front structures. First, we classified damage information caused by natural disaster. Then we designed the databases of damage information and implemented damage information system. Lastly, we checked operations and the feasibility by testing queries on the proposed system.

Predictability of emergency water supply using machine learning-based classification techniques (딥러닝 기반 분류기법을 활용한 비상급수 예측 가능성 검토)

  • Oh, Yeoung Rok;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03-303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해 기상이변 현상의 발생 빈도가 잦아지며 가뭄 방생 빈도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가뭄 피해를 경감하는 선제적 가뭄대응체계 구축과 가뭄이 발생한 이후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피해 여부를 이진분류 방법으로 접근하여 예측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가뭄피해 여부는 비상급수(제한급수,운반급수) 자료를 이용하여 비상급수가 시행된 경우를 가뭄피해 발생으로 보고, 비상급수가 시행되지 않은 경우를 피해 없는 사례로 구분하였다. 기상 상황 변수로는 강수량, 기온, 상대습도 등을 이용하였다. 또한 지역별 연간 총 급수량 대비 저수량을 이용하여 지역별 현 상황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불균형 클래스 문제의 정확도에 주로 이용되는 오차행렬의 정확도가 0.9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F1-Score는 약 0.5 로 나타났다. 이는 예측 결과 전체를 대상으로 했을 경우 95 %의 확률로 가뭄피해 여부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며, 가뭄 피해만을 대상으로 했을 경우 50 %의 정확도를 타나낸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비상급수를 유발하는 충분한 환경적 변수를 고려하지 않았고, 다양한 딥러닝 모형을 분석하지 않았다. 따라서 비상급수를 유발하는 요인을 충분히 고려하고 딥러닝 기법을 고도화 한다면 모형의 정확도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Slope Hazard Probability around Jinjeon-saji Area located in Stone Relics (석조문화재가 위치한 진전사지 주변의 사면재해 가능성 분석)

  • Kim, Kyeong-Su;Song, Young-Suk;Cho, Yong-Chan;Jeong, Gyo-Cheo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8 no.3
    • /
    • pp.303-309
    • /
    • 2008
  • A probability of slope hazards was predicted at a natural terrain around the stone relics of Jinjeon-saji area, which is located in Yangyang, Kangwon Province. As the analyzing results of field investigation, laboratory test and geology and geomorphology data, the effect factors of landslides occurrence were evaluated. Also, the landslides prediction map was made up using the prediction model by the effect factors.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of stone relics was investigated as the grading classification of occurrence probability. In the landslides prediction map, the high probability area was $3,489m^2$ and it was 10.1% of total prediction area. The high probability area has over 70% of occurrence probability. If landslides are occurred at the predicted area, the three stories stone pagoda of Jinjeon-saji(National treasure No. 122) and the stone lantern of Jinjeon-saji(Treasure No.439) will be collapsed by debris flow.

Vulnerability Assessments of Climate Change on Flood Damage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피해 취약성 평가)

  • Jung, Il-Won;Lee, Byong-Ju;Kim, Kwang-Cheo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89-293
    • /
    • 2008
  • 현재 기후변화는 점점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향후 홍수피해는 더욱 증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기적이 측면에서 이러한 홍수피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유역별 홍수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하고,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여 유연한 적응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유역의 홍수 취약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지표를 이용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취약성을 민감도(sensitivity), 노출(exposure), 적응능력(adaptation)의 함수로 정의하고, 각 유역별 지표들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민감도와 노출정도가 클수록 기후변화에 대한 홍수피해에 취약하고, 적응능력이 클수록 취약성이 낮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국내 139개 유역에 대해 상대적인 홍수피해 취약성을 평가한 결과 과거 유역별 홍수 피해액의 분포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2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 기후변화 상황에서의 홍수피해 취약성에 대해 평가한 결과 국내 유역의 홍수피해는 증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유역별 공간적인 취약성은 크게 변화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n Positioning of Stream Shelter (이재민 수용소의 위치선정 개선방안 제시)

  • Park, Dong-Hyeok;Ahn, Jae-Hyun;Sin, Cha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60-960
    • /
    • 2012
  • 우리나라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에 의해 홍수피해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홍수피해를 최소화 하는 주민대피체계를 제시하고 있지만 각각의 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재민 수용소의 인원이 부족하거나, 대피로 경로가 안전하지 못하여 2차 피해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곳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해가 발생한다면 2차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재민 수용소의 추가 지정과 대피로 경로를 새로 지정한다면, 재해 발생 시에 피해를 줄이고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 질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령군이 현재 지정하고 있는 이재민 수용소 및 대피로를 평가하여 이재민 수용소를 재선정하였다. 의령군은 위험지역에 대해서 32개의 이재민 수용소를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그 규모는 7,165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이 중 봉수면과 의령읍은 이재민 수용시설의 규모가 대상지역의 대피 인원보다 작게 조사되어 이재민 수용소의 증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례천의 대피로는 하천을 wlsk가야 하는 경로로 지정되어 있어 2차 피해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수용인원이 부족한 이재민 수용소에 대해서는 증원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재민 수용소의 위치는 피재자의 평균보행속도를 고려하여 15분 동안에 남녀가 이동할 수 있는 보행거리인 1,125m 이내에 위치하는 이재민 수용소를 채택하였다(유완, 도시의 재해대피소 적정 위치선정 2005). 이재민 수용소의 적절한 위치 선정을 통하여 지정한다면 재해발생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