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부소독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초

병원 간호사의 주요 피부소독제 인지도와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알코올, 클로르헥시딘, 베타딘을 중심으로 - (Affecting Factors on Hospital Nurses' Practice of Disinfection: Focused on Alcohol, Chlorhexidine Gulconate, and Povidone Iodine)

  • 최정실;안경주;박승미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125-133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on hospital nurses' practice of disinfection focused on alcohol, chlorhexidine gluconate (CHG), and povidone iodine (PVI).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6 nurses of 3 general hospitals and 2 upgrade general hospitals in 5 citie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 January, 201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18.0. Results: The subjects used alcohol and PVI daily for intravenous site care and surgical wound dressing respectively. The mean percentage of awareness in practicing main disinfectants were 80.0% and 72.5% respectively. The awareness and practice were highest in alcohol, but lowest in CHG. The mean percentage of practice of disinfectants was 72.5%.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awareness and practice of main disinfectants. The awareness and nurses' salary explained 34.6% of variance in practice of disinfectants. Conclusion: An educational program focusing on strategy to enhance hospital nurses' awareness w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practice of disinfectants.

발매트 적용이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피로도, 불편감, 하지 부종 및 피부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t Mats on Levels of Fatigue, Discomfort, Lower Extremity Edema and Skin Temperature in Scrub Nurses)

  • 황순희;전상은
    • 임상간호연구
    • /
    • 제21권3호
    • /
    • pp.309-318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oot mats on reducing levels of fatigue, discomfort, lower extremity edema and skin temperature in scrub nurses during surgery. Methods: This study employed one group repeated measures design in which 16 scrub nurses (ages 22-38) stood on steel footstools (SF) during scrub as the conventional test and stood on SF with foot mats as the experimental test. Levels of fatigue, discomfort, lower extremity edema and skin temperature were measured before the first surgical hand scrub and right after the first surgery of the day for 3 consecutive days in both tests. Results: The changes in levels of fatigue and discomfor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ests (p<.001~.033). Edema, determined by the differences in circumferences of the ankles and calves before and after the surgery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p=.001~.011). However, the change in skin temperature on the foot tops of both feet was not different between tests (p=.351~.467).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using foot mats on top of the steel footstool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levels of fatigue, discomfort and lower extremity edema in scrub nurses during surgery.

수술방 화재: 수술 종료 시 알코올 함유 피부 소독액을 이용한 수술부위 세척 이후 전기소작기 사용 주의 (Operation Room Fire: Caution for Using Electrocautery after Rinsing Operation Field at the End of the Surgery with Alcohol-Based Cleansing Solutions)

  • 송종근;신효정;이준용
    • 대한화상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4-37
    • /
    • 2019
  • Fires in operating rooms rarely occur. However, this type of disaster can complicate almost any surgical procedure. Fuel, heat and oxygen are related with fire outbreak. When ignition sources such as alcohol-based surgical preparation solutions are present, the risk of an operating room fire increases, and burns are more severe in such conditions. Many manufacturers recommend waiting at least three minutes after application to allow complete drying for reduce fire risk. There are a few studies regarding flame burns in the operation room, although most of these studies are related to preoperative skin preparation. However, alcohol containing solutions can be used occasionally for cleansing of the operation field after the surgery, therefore, the surgical team should pay attention to surgical fires, even if they have completed the operation successfully. We present our case of a post-operative flame burn and introduce some precautions that will reduce the risk of alcohol burns.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지적장애 아동들의 손 씻기 빈도와 방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Hand Wash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n Hand Washing Frequency and Methods during COVID-19 Pandemic)

  • 손성민;곽성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659-166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지적장애 아동들의 손 씻기 빈도와 방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아동 14명이며, 시각적 영상 자료를 활용한 손 씻기 교육에 참여하였다.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은 소개, 이론교육, 실습으로 구성되었으며, 매주 2회로 16회기, 총 8주간 실시하였다. 손 씻기 이론교육은 손 씻기 중요성과 적응증, 올바른 손 씻기 단계와 방법, 손 씻기 도구 사용방법, 그리고 손 소독제 특성을 포함한 손 소독제 사용방법, 손 씻기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으로 구성되었다. 손 씻기 평가는 손 씻기 빈도와 방법 관찰 기록지를 활용하여 실시되었다. 손 씻기 빈도는 일상생활의 일과 중에서 손을 씻는 빈도를 평가하였으며, 일별, 월별 빈도를 분석하였다. 손 씻는 방법은 손 씻는 도구사용, 시간, 부위, 손 씻은 후 건조방법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대상자들의 손 씻는 빈도가 증가하였고, 손 씻는 방법도 향상되었다.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적극적인 감염예방 방법으로 손 씻기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적장애 아동들의 손 씻기 빈도를 증가시키고, 손 씻기 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손 씩기 교육의 적용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신생아 제대관리방법에 따른 제대탈락 시기와 제대주위 피부상태 비교 (Umbilical cord care differences in the time of cord separation and the skin condition of periumbilical area)

  • 박영애;김동연;최문진;박호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58-16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icient umbilical cord care of healthy newborns in nursery.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icient care, the time of umbilical cord separation and the skin condition of periumbilical area were evaluated. The data were collected in sample of 529 normal, healthy newborns of C hospital in Seoul, from September 1st, 1999 to January 16th, 2000. The babies were randomly selected and allocated into four groups-alcohol swab/tub bath, alcohol swab/partial bath, natural dry/tub bath, natural dry/partial bath- by the methods of care. The mothers of babies were also surveyed by questionnaire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ata were analyzed by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average gestation period of newborns was 39+3 weeks. The average birth weight was 3.27Kg. In gender of babies, boys were 51.7% and girls were 48.3%. The 65% of newborns were born normal vaginal delivery, 35% were C-section. The feeding methods were 55.3% of the babies fed by mixed type, 22.9% by breast, and 21.8% by bottle. There was no significance among four groups by general characteristics. 2. The average time of umbilical cord separation was 8.27 days(SD=2.3). The time was no difference significantly among four groups(F=1.68, P=0.17). 3. The prevalence of the umbilical care complication did not show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2=3.93, P=0.27). In conclusion, Nurses have preferred the traditional alcohol swab/partial bath method in care of newborn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ways to take care of umbilicu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way to naturally is more efficient due to reduce the time and expense in umbilical care for normal babies of nursery. This also matched the change in approach to healthy population from intervention to nonintervention way. This could be suggested in education for normal and healthy babies care at home and nursery as a useful way. Endly, the further study about bacterial colony nda infection rate at umbilicus by ways of care is needed.

  • PDF

티트리 에센셜오일의 생물활성 및 주요 성분 분석 (Bio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 양선아;전상경;이은정;임남경;정지영;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644-1650
    • /
    • 2008
  • 티트리 에센셜 오일은 호주 원주민들의 전통적인 피부 소독제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효과와 주요성분 등 많은 보고가 있으나 추출 방법이나 사용 부위 등에 따라 효능의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아로마테라피 등에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시판 티트리 오일의 성분과 효능을 평가하여, 다른 에센셜 오일과의 비교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티트리 오일의 주요성분은 GC-MS 분석에 의하여 ${\beta}$-terpinene (20.87%), ${\alpha}$-pinene (17.60%), p-cymene (11.23%), 3-carene (10.40%), trans-anethole (8.47%), limonene (4.65%)으로 밝혀졌으며, 5% 이하의 농도에서 3시간 미만까지는 피부세포에 독성이 없었다. 오일의 라디컬 소거능을 알아본 결과, DPPH와 ABTS의 양라디컬에 대하여 강한 소거능을 나타내어 강한 항산화능을 시사했다. 또한, 오일의 direct contact와 vapor-phase의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법으로 스크리닝 한 결과, direct contact 활성의 경우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vapor는 S. aureus에 대하여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실제 많이 사용되는 티트리 오일의 성분과 생물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허브 오일들의 정확한 선택과 활용을 위한 기본적인 결과를 얻었다.

Policresulen 오용에 의한 구강 궤양의 발병 증례 및 화학화상에 대한 고찰 (Chemical burns of the oral mucosa caused by Policresulen: report of a case)

  • 정정우;변진석;정재광;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109-114
    • /
    • 2013
  • 구강점막의 화학화상은 다양한 화학제품과의 접촉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며 국소 점막염, 각화성 백색병소, 출혈, 통증성조직 표면 등과 같은 임상적 특징을 나타낸다. Policresulen(알보칠$^{(R)}$)은 산부인과, 피부과,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점막이나 피부의 소독 및 지혈 목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의약품이다. pH 0.6의 강산성을 띠고 있어서 강력한 부식제로 작용할 수 있으며 구강점막에 접촉될 경우 괴사나 화학화상과 같은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56세 여자 환자가 입술의 궤양과 부종 및 염증성 삼출물을 주소로 구강내과에 내원하였다. 이 환자는 약 10년 전부터 혓바늘이 가끔 발생하였으며 그런 경우에 알보칠$^{(R)}$을 종종 사용했었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혀와 입술의 통증 때문에 알보칠$^{(R)}$을 혀와 입술에 광범위하게 여러 차례 도포한 적이 있다고 하였다. 임상검사상 혀의 전방 1/2 부위에서 홍반성 미란 및 염증성 삼출물이 관찰되었고 상, 하순에 출혈성 가피 및 궤양이 형성되어 있었다. 알보칠 사용을 중단하게 한 후 구순부에 스테로이드 연고 도포 및 스테로이드 구강 가글액 사용 후 1주일 만에 병소는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2주 후 완치되었다. 본 증례를 통해서 일반의약품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Policresulen(알보칠$^{(R)}$)의 오용으로 인한 구강점막의 출혈성 궤양의 발생 양상 및 치료과정을 소개하였으며, 구강점막에서 발생하는 화학화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청열소독음(淸熱消毒飮)이 HL-60 세포주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influence of Cheongyulsodokeum that effects on apoptosis of HL-60 tumor cell)

  • 배진석;김종한;박수연;최정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1호통권32호
    • /
    • pp.66-79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ti-tummor effect about apoptosis of Cheongyulsodok-Eum (CSE) Results : 1. Anti-tumor(HL-60 cells) effects of CSE water extracts(Exts) were more effective in high density.($IC_{50:}:572$ ${\mu}g/ml$) 2. The generation of $O_2\;^-$ in HL-60 cells wer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SE water Exts, specially more effective on 100 ${\mu}g/ml$ and 1000 ${\mu}g/ml$ concentration. 3. The SOD activities in HL-60 cells were in proportion as cytotoxicity against HL-60 cells of CSE water Exts. 4. The GPx activities in HL-60 cells were in proportion as cytotoxicity against HL-60 cells of CSE water Exts(more effective on 100 ${\mu}g/ml$ and 1000 ${\mu}g/ml$ concentration), but the catalase activities in HL-60 cells were not effective. 5.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SE water Exts was effective.(3 ${\mu}g/ml:31.2{\pm}5.2$ %, 10 ${\mu}g/ml:49.6{\pm}7.3$ %, 30 ${\mu}g/ml:35.8{\pm}5.7$ % 100 ${\mu}g/ml:42.3{\pm}6.4$ %) 6. The results of cytotoxicity against HL-60 cells of CSE were as follows. 1) In hexane fraction, the cytotoxicity against HL-60 cells($IC_{50:}:592$ ${\mu}g/ml$) was more effective than against NIH3T3 cells. 2) In ethyl acetate fraction, the cytotoxicity against HL-60 cells was not effective. 3) In butanol fraction, the cytotoxicity against HL-60 cell($IC_{50:}:306$ ${\mu}g/ml$) was more effective than against NIH3T3 cells. 4) In $H_2O$ fraction, the cytotoxicity against HL-60 cells was not effective. Conclusion : These result suggest that CSE has antioxidative effects and anti-tumor effects by apoptosis of free radical($O_2\;^-$) activity, especially butanol and hexane fraction from water extract has more effective in anti-twnor effects.

  • PDF

인체이식용 무세포 진피 제조를 위한 바이러스 불활화 공정 (Virus Inactivation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 배정은;김진영;안재형;최다미;정효선;이동혁;김인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8-176
    • /
    • 2010
  • 사체 피부에서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세포들을 제거한 무세포 진피는 다양한 의료용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Trin-butyl phospahate(TnBP)와 deoxycholic acids를 세포제거 용액으로 사용하여 피부조직 내 진피층의 3차원적 구조를 손상시키지 않고 다양한 구조 단백질 및 성분들을 유지한 상태에서 면역반응의 대상인 세포성 항원만을 선별적으로 제거한 이식용 동종 무세포 진피인 $SureDerm^{TM}$을 개발하였다. $SureDerm^{TM}$ 제조공정은 감염성 위해인자 불활화 공정으로 70% 에탄올 처리와 산화에틸렌 가스 처리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ureDermTM 제조공정 중 70% 에탄올 소독 공정, 세포제거용액(0.1% TnBP와 2% deoxycholic acids) 처리 공정, 산화에틸렌 가스 멸균의 바이러스 불활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국제적 가이드에 따라 5종의 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HIV-1), bovine herpes virus(BHV), Bovine viral diarrhoea virus(BVDV), hepatitis A virus(HAV), porcine parvovirus(PPV)]를 생물학적 지표로 사용하였다. 피부조직에 각 생물학적 지표를 첨가한 후 불활화 공정을 실시한 다음 각 바이러스를 회수하여 정량한 후 불활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70% 에탄올 20분처리 공정에서 HIV-1, BHV, BVDV 같은 외피 바이러스는 처리 시간 2.5분 안에 불활화되었지만, HAV와 PPV 같은 비-외피 바이러스는 에탄올에 저항성을 나타내어 20분 처리 후 log 바이러스 감소인수가 각각 1.85와 1.15였다. 세포제거용액 처리 공정에서 HIV-1, BHV, BVDV는 각각 5분, 30분, 5분 안에 검출한계 이하로 불활화되었다. 산화에틸렌 가스처리에 의해 본 연구에 사용한 모든 바이러스가 검출한계 이하로 불활화되었다. 3가지 공정에서 HIV-1, BHV, BVDV, HAV, PPV에 대한 log 바이러스 감소인수 합은 각각 $\geq12.71$, $\geq18.08$, $\geq14.92$, $\geq6.57$, $\geq7.18$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SureDerm^{TM}$ 제조공정은 바이러스 안전성을 보증할 수 있는 충분한 바이러스 불활화 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개 병원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에서 시행한 비강 내 MRSA 집락의 특성 및 전파예방에 관한 보고 (Characteristic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Nasal Colonization Among Neonatal Unit Staff and Infection Control Measures)

  • 김동환;김선미;박지영;조은영;최창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6권2호
    • /
    • pp.131-141
    • /
    • 2009
  • 목 적: 본 연구는 2명의 정상 신생아에서 다제 감수성을 보이는 MRSA 균주에 의한 피부 고름집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병원 내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을 대상으로 MRSA 집락의 특성, 그리고 전파 예방에 대해 알고자 시행하였다. 방 법: 2007년 2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삼육서울병원 신생아실에 근무하는 의료인과 신생아실 물품들을 대상으로 2-4개월 간격으로 의료인 10명의 비강과 손에서 총 7회(비강 45례, 손 44례)에 걸쳐 세균배양 검사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 신생아실 내 물품을 대상으로 총 8회의 세균배양 검사 그리고 4개월 간격으로 총 6회의 낙하균 검사를 시행하였다. 비강 세균배양 검사에서 MRSA 균주가 동정되었을 경우, 탈집락 요법으로 7일간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80 mg/400 mg twice daily) 경구 투여, 혹은 2% mupirocin 연고를 도포하여, 치료 종료 후 2주 후 비강 세균배양 재검사를 시행하여 MRSA가 동정되지 않은 경우를 단기 치료에 성공한 것으로 보고, MRSA가 동정된 경우를 치료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MRSA 탈집락요법 2주 후 92%에서 탈집락이 관찰되었으나 대부분에서 2개월에서 16개월 사이에 재 집락이 관찰되었으며 2-4개월 간격으로 시행한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의 비강 세균배양 검사 시 마다 16.7%에서 50%의 MRSA 보균이 관찰되었다. 비강 내 MRSA 균주는 초기 다제 감수성을 보이다가 다제 내성 균주 증가 양상이 관찰되었다. 물품 배양검사에서 드레싱 운반차 50%, 컴퓨터 키보드 43.8%, 신생아 침대 25%, 목욕대야 25%, 그리고 전화대야서 18.8%에서 균이 동정되었다. 낙하균 검사에서 연구 초기에 비해 후기에 유의하게 낙하균 감소가 관찰되었다(P <0.05). 결 론: 병원 내 지역 사회 연관 MRSA 유행 시에 선별검사를 통한 보균자의 조기치료가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항생제의 경구 복용과 비강 도포 모두에서 효과가 좋았으나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유의하게 보균율의 차이가 없었으며 순응도 감소 및 항생제 내성의 증가가 관찰되어 보균자의 조기 치료만으로는 MRSA의 지속적 전파를 차단할 수 없으며, 교육을 통한 손 소독 강화, 주기적인 감시체제를 통한 경각심, 그리고 신생아실 내 손소독제의 사용, 환경 소독 등의 고식적인 방법 들이 더욱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