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복 공법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omparison of Pipeline and Clamshell Capping Technologies for the Remediation of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해양 오염퇴적물 정화를 위한 원통관과 클램쉘을 이용한 피복 기술의 비교)

  • Kang, Ku;Hong, Seong-Gu;Kim, Young-Kee;Park, Seong-Ji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1 no.4
    • /
    • pp.195-206
    • /
    • 2017
  • In situ capping technology for marine sediment pollution control has never been applied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a pilot project for the capping was carried out in Busan N Harbor. Pipeline and clamshell capping technologies were implemented for the pollution control. Changes of capping shapes, sediment contamination, and the time and costs required for the two constructions were compared. Both the pipeline and clamshell technologies were found to satisfy the target thickness of 50 cm on average. However, the pipeline method did not operate sensitively in terms of change of the sea floor topography, resulting in an uneven shape and a thickness. Organic carbon and ignition loss quite decreased after the pipeline or the clamshell capping while pH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Organic and residual fraction of Cd, Ni, and Zn in the sediments appeared to decrease after all cappings. The pipeline method took a construction time four times as much as the clamshell method. The clamshell method was demonstrated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y about 40% compared with the pipeline method. However, a monitoring for all the parameters needs to be conducted at least two years in order to better evaluate an efficiency of the pollution control by these capping constructions.

전남 이양-능주간 국도변 비탈면녹화 설계 및 시공 잠정지침 적용 사례연구

  • Park, Bong-Ju;No,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551-553
    • /
    • 2008
  • 식생피복율, 병충해, 출현종수 등의 항목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리핑암과 발파암에서는 녹화공법 C와 녹화공법 C-1이 가장 높은 식생피복율을 보였다. 절토부의 경우에는 녹화공법 D의 식생피복율 녹화공법 E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토부의 경우에는 녹화공법 D가 녹화공법 F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본종의 출현종수는 암지역(리핑암, 발파암), 토사지역(절토부, 성토부)에 적용한 모든 녹화공법에서 상급으로 평가되었으나, 전체종의 출현종수의 비율에 있어서는 다소의 차이가 나타났다. 식생기반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에서 토사지역 절토부의 녹화공법 E와 성토부의 녹화 공법 D의 경우는 토양경도가 다른 공법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암지역의 리핑암과 발파암에 사용된 모든 공법은 토양산도와 토양경도가 식물의 근계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이내로 조사되었다. 리핑암과 발파암에 적용된 각 공법의 경우 식생상태가 양호하였으며, 향후 주변 지역의 자연식생의 침입과 천이과정을 거치면서 식생상태가 역시 정상적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토사지역의 절토부와 성토부에서는 중간 정도의 식생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향후 주변의 산림지역으로부터의 식생 구성종의 침투로 인해 식생천이가 역동적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Revetment Method Using Bio-polymer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한 호안 공법의 성능 평가)

  • Kim, Myounghwan;Lee, Du Han;Lee, Ka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24-224
    • /
    • 2020
  • 새롭게 개발된 미생물의 부산물인 바이오 폴리머는 토양의 강도를 높이고,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실규모 수리 실험을 수행하여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한 호안 공법의 침식 저항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다수의 호안 공법 시험체를 제작하였고, 이 시험체를 실 규모 실험수로에 설치하고 수리 실험을 통해 토양 손실과 이에 따른 한계 소류력을 결정하였다. 실험에는 일반 흙을 피복한 시험체, 바이오 폴리머와 혼합한 흙을 피복한 시험체, 식생매트와 바이오 폴리머 혼합토를 결합한 시험체 등이 사용되었다. 실험결과 재료나 식생의 활착도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한 시험체의 침식 저항 성능이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하지 않은 시험체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일관되게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한 호안공법이 기존 호안 공법의 침식 저항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바이오 폴리머를 제방 호안 시공에 활용한다면 홍수로 인한 제방의 유실이나 파괴를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Capping Material by Sea Waves (파랑에 의한 피복재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ong, Jinyoung;Kim, Youngtak;Kang, Jaemo;Lee, Janggue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7
    • /
    • pp.51-58
    • /
    • 2014
  • In-situ capping is a method to stabilize contaminated sediments by isolation. Few researches on the in-situ capping have been performed, although the engineering approach is still required to prevent the release of contaminants. In this study, hydraulic model test were conducted by using a wave generator to observe the change of cap thickness which is important factor in design of capping. Sands with particle size between 0.075 to 2 mm as capping materials were used to observe the change of capping thickness by wav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urface of capping materials is similar to wave form. The more wave height increases, the more erosion of capping materials increases.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In-Situ Capping Erosion by Waves (피복공법 적용 시 파랑에 의한 피복재 침식 실험 연구)

  • Kong, Jin-Young;Kim, Young-Taek;Ryu, Byung-Hyun;Lee, Janggue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7 no.10
    • /
    • pp.33-43
    • /
    • 2016
  • The determination of in-situ capping material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sign in-situ capping in order to protect capping materials from erosion. Previous studies have established relationship between the velocity induced by wave energy and effective diameter of sediments, but they are mostly empirical and numerical researches which is too complicated for field engineers to analyze the erosion of in-situ capping materials. This study provides simple analytical solutions and reliability based on hydraulic model test result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measured flow velocities with respect to depth induced by wave energy are almost the same as estimated velocities and the erosion resistances of the different effective particle diameters can be estimated.

Improvement of River Revetment in Kangwon (강원도 하천호안공법 개선방안)

  • Park, Sang-Deog;Choi, Han-Kyu;Choi, Jong-In;Choi, Heung-Sik;Hong, J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85-490
    • /
    • 2009
  • 강원도의 약 89%가 산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원지역 주민의 거주지는 대부분 홍수 피해를 강하게 받는 계곡이나 하천변에 잡고 있으며 매년 반복되는 홍수의 피해 위험이 높다. 따라서 홍수 시 생활공간을 보호하기 위한 제방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강원도의 하천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다. 호안공법은 일반적으로 하천의 생태계나 경관적인 측면에서 부정적인 경우가 많은 인공시설물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자연과 어울리는 친자연형 호안공법을 추구한다. 본 연구는 강원도 내 1개 국가하천 6개 지점, 214개 지방하천 2,760개 지점에 대한 하천 호안공법의 종류, 식생상태, 하천특성, 호안파괴 특성 등을 조사하고 하천호안공법 적용 하천특성과 호안공법, 식생 등의 관계를 분석하여 강원도형 호안공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강원도에 설치된 호안공법은 망태형, 붙임형, 블록형, 쌓기형, 옹벽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영동지역은 망태형 25%, 옹벽형 20.1.%, 블록형 18.3%를 차지하고 있으나 영서지역 하천은 쌓기형 32.9%, 망태형 19.2%, 옹벽형 16.6%를 나타내고 있다. 두 지역에서 옹벽이 16%이상을 차지하는 것은 하천경사가 급하고 만곡 수충부가 많아 홍수 시 구조적인 안정성이 큰 옹벽을 통한 호안보호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옹벽을 제외하면 하천평면이 호안공법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오히려 하천경사나 하천재료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호안파괴의 원인은 홍수 시 하상의 세굴이다. 그러나 옹벽호안은 국부적인 하상세굴에도 콘크리트 구조특성으로 쉽게 파괴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 하류지점에 설치된 돌망태 호안은 하상저하와 보에 의한 유향변동으로 발생된 강한 수충현상에 의해 파괴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호안의 식생 활착은 블록형, 망태형, 쌓기형 호안의 순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망태형이나 쌓기형 호안은 영동지역보다는 영서지역에서 높은 식생 피복도를 나타냈으며, 이는 하천의 경사와 호안의 침수빈도와 관계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블록형 호안은 지역 구분 없이 식생피복도가 높고 하천경사나 재료특성에도 불구하고 강원도의 하천호안공법으로 우수한 기능을 한다. 시급히 식생을 도입하고자 하는 경우 식생블록형 호안이 추천되며 호안공의 안정성과 식생의 다양성 측면에서는 망태형 호안공법이 추천된다.

  • PDF

Comparative Test on Corona Characteristic Between Binding Shapes of the Overhead Cable (바인드 시공형태별 코로나에 의한 전선침식 비교)

  • Kim, Dong-Myung;Lee, Nam-W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b
    • /
    • pp.197-199
    • /
    • 2008
  • 전연전선을 핀애자에 고정하기 위해 피복바인드선을 사용하고 있는데, 오손지역에서 전선피복과 바인드 사이에서 트래킹으로 인하여 단선고장이 간혹 발생하고 있다. 과거 간접 활선시 사용하던 핫스틱(Hot-stick) 공법에 필요한 바인드 고리의 불필요성이 검토되었고 이러한 고리가 바인드선 내 순환전류를 제공하여 주울열에 의해 전선의 피복에 손상이 발생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절연전선의 바인드 끝단 형태를 변경하여 전선피복에 대한 침식 영향을 평가하였다.

  • PDF

Evaluation of Stability and Settlement of In-Situ Capping of Contaminated Sediments Using Zeolites and Sands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해저오염토 피복 공법 후 안정성 및 침하 평가)

  • Ji, Subin;Lee, Kicheol;Lee, Jangguen;Kim, Do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7 no.11
    • /
    • pp.23-33
    • /
    • 2016
  • This study evaluated the stability and deformation subsea foundation after implementation of the contaminant isolation method by covering the contaminated materials using Zeolite and sands under subsea condition. The appropriate contaminant adsorption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as selected as Zeolite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due to its efficiency. Safety (or stability) was evaluated by calculation and to analyze deformation after completing the contaminant isolation method. The minimum safety factors from slope stability analyses results were 30.1 and 11.2 depending on subsea submerged conditions and the amount of the maximum primary consolidation settlement from consolidation analysis results was 209.2 mm. In addition, change of consolidation amount with increasing consolidation time was evaluated based on consolidation deg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