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난 분석

Search Result 39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Evacuation Path Analysis of Postpartum Women in Postpartum Care Facility Fire (산후조리원 화재 시 임산부의 피난경로에 관한 연구)

  • Hong, Sung-Ho;Choi, Moon-Soo;Lee, Sang-Ho;Park, Sang-Tae;Yoo, S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74-477
    • /
    • 2011
  • 본 논문은 산후조리원에서 화재 발생시 산후조리원에 재원하고 있는 산모의 피난경로를 분석한 연구이다. 화재 시 피난시간은 이동거리와 공간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화재시 피난시간이나 피난거리 등의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산후조리원에 생활하는 사람은 산모와 신생아로 화재시 피난활동에 적절한 대응을 하기 어려운 인원이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산후조리원 중에서 40개의 산후조리원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각 산후조리원의 피난거리와 피난경로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는 피난비용분석기법을 적용하여 40개 산후조리원에서의 피난지수를 산정하고 피난위험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피난경로는 피난거리와 공간구조를 파악하는 시지각적 요소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fine a detailed model for developing a program of domestic buildings evacuation simulation (국내 건축물 피난프로그램 개발위한 세부모델 정립)

  • Youn, Ho-Ju;Hwang, Eun-Kyung;Kim, Jong-Sung;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42-47
    • /
    • 2010
  • 최근 피난 및 소화활동의 제약이 많은 대형 및 고층건축물의 증가함에 따라 화재 시 많은 인적 물적 피해가 예상된다. 이에 국내외에서는 화재로부터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성능위주 소방설계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건축물의 화재 및 피난에 대한 공학적 분석이 요구되는데 현재는 대부분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피난프로그램은 국내에서 아직 상용화된 프로그램 없어 외국 피난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그대로 활용 하고 있다. 국외의 피난 프로그램은 국내의 건축물 및 재실자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으며 알고리즘 또는 해석방식에 대한 이해가 어려워 잘못된 분석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피난프로그램 개발을 하고자 국내에서 활용 되고 있는 피난 프로그램의 세부모델에 대한 분석을 통해 피난 프로그램의 국내 피난 프로그램의 세부모델의 개발방향을 설정을 하고자한다.

  • PDF

Economic and Evacuation Time Analysis of Horizontally-installed Indoor Emergency Exit (하향식 피난구의 경제성 및 피난 소요시간 분석)

  • Liu, Yue;Kim, Sun-Kuk;Kim, Ki-Hyuk;Lee, Do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8 no.4
    • /
    • pp.363-373
    • /
    • 2018
  • Evacua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so that people can evacuate high-rise apartment houses when it is impossible to escape fire through the front door. The households of apartment houses may escape the building in two ways, which will reduce loss of live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wo-way evacuation facilities, including a light-weight partition wall, shelter space at the balcony and horizontally-installed indoor emergency exit. Then, it proposed a horizontally-installed outdoor emergency exit that improved the problems of the examined facility types, and analyzed its economic-feasibility. When a horizontally-installed emergency exit instead of a traditional type to escape from fire is used, people may be more autonomous in deciding whether active evacuation is possible or not. Thus, the time required to evacuate the building with 4 different evacuation methods using the stairs and horizontally-installed emergency exit was sim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impact of evacuation methods that people choose on the time required for evacuation using pathfinder. Then,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y appropriate evacuation method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evacuation was predicted, analyzed and decid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 - rise apartment top - down type evacuation zone can shorten the total evacuation time compared to the staircase type.

The Improvement of Evacuation Performance for Discount-Store in Underground (할인점 지하매장의 피난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김영일;윤명오;김종훈;김운형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5 no.1
    • /
    • pp.93-99
    • /
    • 2001
  •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Evacuation Performance o( the I)inc()unto-store in underground that is rapidly new shopping store in Korea. In this paper, The architectural properties of the floor plan and section was reviewed with egress focus, occupant load density of the Discount-store was surveyed and the procedure and method of performance based egress design for this occupancy was analysed with SIMULEX model and calculation method. As a result of modeling, more longer 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 is expected than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in underground discount-store. In order to improve the Evacuation Performance for this type occupancy, egress capacity including escape stair, aisle width, escape door is calculated with based on occupant load density and review of shopping cart's structure and size and maximum escape capacity of the cash counter.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Escape Safety in the Hospital by the Change of Floor Plan Types (병원평면의 변화에 따른 피난안정성의 변화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 Jeong, Gun-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33.1-33.1
    • /
    • 2010
  • 불특정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숙박계시설이며, 자립피난이 곤란한 피난약자에 해당하는 환자 및 노약자, 임산부, 어린이가 대다수 이용하는 병원은 피난안전상 매우 불리한 용도의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재병원의 건립 당시 평면계획과 실재 사용 중 평면을 조사하고, 이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 발표된 피난안전성의 평가법에 적용하여, 병원 평면의 변화에 따른 피난안전성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불가피한 평면의 변경 시에 참고자료로 활용 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A Code Review of Egress Performance in Sunken Area (지하 피난안전공간 기준 검토)

  • Kim, Woon-Hyung;Lee, Yong-Jae;Kim, Jong-Sung;Seo,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66-271
    • /
    • 2011
  • 지하공간 건축물의 피난공간확보는 인명안전설계의 첫 단계로서 이를 위한 선큰설치 기준은 피난안전기준의 제도적 선진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규정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적용되는 선큰의 법적 기준에 대해서 살펴보고 일본과 비교하여 실제 건축물에 대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사용 중인 선큰 건물을 대상으로 피난시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비상계단만을 이용한 피난 시간보다 선큰과 비상계단을 함께 이용한 피난 시간이 각각 52%와 65%의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상계단으로의 대피에 비하여 선큰의 피난 효용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선큰 출입구의 설치 위치 및 평면 배치형태가 피난시간에 미치는 영향도 알 수 있었다.

  • PDF

건축물 화재 시 재해약자를 고려한 피난계획 중요도 분석

  • Lee, Ho-Yeong;Choe, Yeong-Sang;Choe, Yeong-O;Choe, Jae-Won;Hong, W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175-176
    • /
    • 2013
  • 지금까지의 피난계획이 피난 시 가장 취약한 재해약자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여 이들을 고려한 피난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건축물 화재 시 재해약자들의 피난안전성 확보를 위해 기존문헌들을 통해 피난계획 항목 및 요소를 조사하고, 건축 소방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 및 본 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중요도분석, 상관분석을 통해 피난계획의 항목 및 세부요소의 중요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Study on the Refuge Behavior in Flooded Area and its Simulation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앙케이트 조사에 기초한 침수지역 주민의 피난항동과 피난 모의실험에 관한 연구)

  • Kim, Sang-Hy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3
    • /
    • pp.241-248
    • /
    • 2004
  • In order to reduce flood damage, it is necessary to build up comprehensive flood control, including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In this paper, the decision making factors of individual refuge activities which are major non-structural activities to save peoples, lives against flood have been estimated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Furthermore, in order to effective flood countermeasures, the refuge place and its distance are analyzed by questionnaire survey in the flooded area caused by typhoon RUSA and MEAMI. The refuge running time was assessed by its simulation.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it was found that the refuge running time is effected by refuge distance and the family numbers for refuge.

A Statistical Analysis of Evacuation Time based on Evacuee's Physical Conditions in a High-rise Building (재실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른 초고층 건축물 피난시간의 통계적 해석)

  • Jeon, Eun-Myeong;Choi, Jun-Ho;Seo, Bo-Youl;Hong, W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261-26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에서 피난을 할 때 피난자에게 작용하는 신체 조건과 수직적 이동방향에 따른 피난시간을 분석하였다. 초고층 건축물에서의 피난은 특성상 많은 계단을 통해 이동해야 하므로 피난자는 심리적 행동보다 주로 신체적 능력에 의존하는데, 이 때 피난자의 피로도는 계단수가 올라갈수록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즉, 총 피난시간은 단순히 피난자의 평지 보행속도에 비례하여 증감할 뿐만 아니라 체력 등의 다른 신체적 영향 또한 받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난자의 신체조건을 고려한 피난예상시간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을 연구하고자 실물 실험에서의 상 하향의 보행방향과 참가자들의 신체조건에 따른 피난시간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