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난안전구역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code improvement about the refuge safety area in high-rise buildings (초고층 건축물 피난안전구역 관련 기준의 개선을 위한 개념적 연구)

  • Han, Myung-Sin;Park, Jae-Sung;Choi, Young-K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149-154
    • /
    • 2010
  • 건축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경제적 가치추구 등에 따른 국가 사회적 수요로 인하여 초고층 건축물의 건설물량은 이들 건축물에 대한 효과적인 피난안전대책을 정립하기도 전에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는 2009년 7월 16일 재정된 건축법 시행령을 통하여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건축물을 '초고층 건축물'로 규정하고, 이러한 건축물의 피난안전을 위하여 지상층으로부터 최대 30개 층마다 설치하는 대피공간을 '피난안전구역'으로 정의하였다. 이후 2010년 2월 18일 개정령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안전구역을 건축물의 '피난층'으로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피난대상인원 등에 따른 대피공간의 면적이나 구조 등 내부시설에 대한 설치기준이 없어 피난안전구역으로서의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심층적 연구와 기준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 PDF

A Capacity of Refuge area in Multiple Occupancy Building with Underground Facility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의 피난 안전구역 면적 산정)

  • Kim, Jong-Sung;Kim, Woon-Hyung;Lee, Y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72-276
    • /
    • 2011
  • 최근 발생한 부산 해운대 화재 이후 피난 활동이 제한적인 고층 건축물의 화재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규정은 50층 이상의 초고층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준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제도적 기반과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연계복합건축물에 관한 피난 안전구역면적 산정 기준에 대한 적용성을 분석하고자 국외의 관련 기준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용 인원에 관한 기준은 홍콩, 한국, 싱가포르, 중국 순으로 강화 적용하고 있으며 피난안전구역의 면적은 싱가포르의 경우 전체 수용 인원의 50% 이상과 1명당 $0.3m^2$을 전제로 하는 피난안전구역의 면적 기준이 국내의 각 층별 1/10의 면적의 합과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국내 여객선 거주구역 피난유도 안전디자인에 관한 사례 연구

  • Park, Jin;Lee, Han-Seok;Gang, 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07-309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해양 사고 중 인명 사고가 큰 여객선 주요 피난경로와 구역에 사고에 대한 예방과 거주구역 환경 개선 사항을 안전디자인을 통해 제시 한다. 이를 위해 대피를 효과적으로 유도 할 수 있는 디자인 개선사항과 안전 디자인이 피난의 기능을 넘어서 선박 거주구에 배치 되었을 때 심리적 심미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 PDF

Study on Horizontal RSET Evacuation safety verification process Based ASET in Underground Link Multi-Complex building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ASET 기반의 수평 RSET 피난안전성 검증 프로세스 연구)

  • Song, Chang-Young;Song,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46-149
    • /
    • 2015
  •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건립이 급증함에 따라 건축물의 피난 성능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복잡 다양해진 피난유도에 대한 피난시설 배치와 RSET(Required Safe Egress Time)이 필수적으로 관련 지침에 명시되고 있다. 그러나 RSET에 대한 신뢰성 검증 및 용도별 수용인원 산정 방법이 주관적인 관점에 의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런 검증 자료의 검토기준이 정량적이지 않아 안전성 확보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피난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가장 적합한 검증을 위해 방재 선진국의 ASET 기준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지하연계 건축물 등에서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ASET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ASET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피난안전구역 및 준하는 구역의 현실 가능성을 분석하고 국내 외에서 상용화되고 있는 피난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통해 건축물의 용도에 따른 수용인원 산정기준의 현실적 방안과 피난경로 설정의 Logic을 감안하여 피난의 안전 및 최단시간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지하연계복합 건축물에서 요구하는 피난성능과 수용인원의 최적화된 RSET을 정량적으로 도출함에 따라 피난 안전성에 대한 검증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High-rise building Egress Safety Rule in Countries for improvement of High-rise evacuation safety design criteria (초고층 피난안전설계 기준 개선을 위한 국내외 피난관계법령 비교에 관한 연구)

  • Hwang, EunKyung;Park, SuRoh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4
    • /
    • pp.429-438
    • /
    • 2013
  • In this study, compare and analyze for high-rise evacuation safety design criteria improvement about internal high-rise building egress safety rule. To the result, high-rise evacuation safety design criteria improvement dat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hould compute the evacuation capacity about the number of persons and when more than 2 exits are requested, over 50% of evacuation capacity must be satisfied even approaching to 1 exit is unable. Second, 2 ways of evacuation can be made smoothly by the stair or exit separation-distance standard regulation. Third, regulate the length limitation of dead-end corridor or passageway and it should give grades in limitation of whether the spring-cooler has been installed. Fourth, must secure the evacuation way and do the evacuee guidance when it's safety area and elevator or stair. Also needs to provide extra safety area to secure horizontal direction Escape Safety except fire escaping floor.

A Study on the Safety Evacuation of Onboard Fire (선박화재시 피난 안전성 연구)

  • Kim, Won-Wook;Kim, Chang-Je;Chae, Yang-Beom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29
    • /
    • pp.16-25
    • /
    • 2010
  • 선박화재는 육상과 달리 숙련된 인원과 다양한 장비에 의한 소화활동이 곤란하며 거의 자체적인 진화작업을 수행해야하므로 소화가 쉽지 않다. 화재는 일반적으로 화염에 의한 인명사고 보다 매연에 의한 질식사의 확률이 높으므로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초기 진화가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부득이 소화가 지연되거나 불가능할 경우에는 화재 구역으로부터 신속한 탈출만이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CFD기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선박화재시 탈출에 지장이 되는 매연농도를 측정하고 피난시간과 비교하여 적절한 피난이 가능한지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Optimal Deployment for Evacuation Safety Zone at Intermodal Transfer Station (복합환승센터 피난대피구역 적정 배치 방법론 개발)

  • You, So-Young;Jeong, Eunb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8 no.1
    • /
    • pp.27-42
    • /
    • 2019
  • It is not easy to evacuate when people face with emergency situation in deep underground space because space perception and synthetic judgement are readily lowered. In stead of evacuating safely outside within the given time, evacuation safety zone is required to be designed and installed. In this study, PATS (Pedestrian movement based Assessment Toolkit for Simulation) is applied to build a comprehensive and analytic framework for seeking the optimal (or proper) numbers and locations of evacuation safety zone. With two scenarios of emergency situation at intermodal transfer center with the 6 floor in underground, the problematic location on the evacuation path has been identified and the proper locations has been presented.

A Study on the Effects of an Increase in the Height of Ship's Accommodation Area on Safe Evacuation in Emergency Situation (선박 거주구역의 높이가 피난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im, Won-Ouk;Kim, Jong-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7 no.1
    • /
    • pp.69-73
    • /
    • 2011
  • Unlike land fires, Fires on board a ship are not likely to be extinguished by skilled human resources using a variety of fire fighting equipments, but have to be brought under control on board a ship itself despite of difficult task. There are more cases of deaths from suffocation by smoke than from an increased temperature by heat in fires on board ships, because crew fail to secure a sufficient visibility range enough to escape from the scene of a fire or to leave the ship as early as possible. On the assumption that the height of ship's accommodation area increases from 2.0m to 2.3m comparable to the height of apartments on the ground in Korea, behaviors of fire smokes between the cases of 2.0m and 2.3m heigh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blue print of the existing Training Ship "Hanbada", a new blueprint with the 30 cm height adjustment was additionally created. FDS (Fire Dynamic Simulator), which was created by the NIST in the United States and is the most widely distributed simulator for fires, was used to conduct a simulation and predict results. The results of simulation on the basis of temperature of $60^{\circ}C$ showed a safe evacuation period of time at the position 10m apart from the scene of a fire to increase by 55.8 seconds, when the height of ship's accommodation area increased from 2.0m to 2.3m. The results of simulation on the basis of visibility range of 6m showed the safe evacuation periods of time at the positions 10m, 20m and 30m apart from the scene of a fire to increase by 27.1 seconds, 109.2 seconds and 73.3 seconds, respectively, as the height of ship's accommodation area increased from 2.0m to 2.3m. This means that crew can escape more safely from a scene of fires on board when the height of ship's accommodation area is increased and equal to the height of living room in a building on land.

A Study on the Visibility Measurement of CCTV Video for Fire Evacuation Guidance (화재피난유도를 위한 CCTV 영상 가시도 측정에 관한 연구)

  • Yu, Young-Jung;Moon, Sang-Ho;Park, Seong-Ho;Lee, Chul-Gyoo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7 no.12
    • /
    • pp.947-954
    • /
    • 2017
  • In case of a fire in urban large structures such as super high-rise buildings, evacuation guidance must be provided to the occupants in order to minimize human deaths and injuri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provide emergency evacuation guidance when a major fire occurs. In order to effectively support evacuation guidanc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major items such as fire location, occupant position, escape route, etc. Also, it is important to quickly identify evacuation areas where residents can safely evacuate from a fi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CTV video and propose a method of measuring visibility of the evacuation zone from the smoke caused by the fire in order to determine the safety of evacuation area. To do this, we first extract the background video from the smoke video to measure the visibility of the specific area due to smoke. After generating an edge-extracted image for the extracted background video, the degree of visibility is measured by calculating the change in the edge strength due to smo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