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플레이트형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5초

관통형 고력볼트를 사용한 엔드플레이트형식 콘크리트 충전 각형강관 기둥-H형강 보 접합부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ur of Concrete-Filled Square Steel Tubular Column·H-Beam End-plate Connections with Penetrated HT-Bolts)

  • 김재건;이명재;이승준;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통권35호
    • /
    • pp.211-219
    • /
    • 1998
  • 본 논문의 목적은 단순재하시 관통형 고력볼트를 사용한 엔드플레이트형식 콘크리트충전 각형강관기둥 H형강 보 접합부의 구조적 거동에 관해 파악하는 것이다. 보를 포함한 5개의 시험체에 대해 단순가력 실험이 이루어졌다. 실험의 주요변수는 엔드플레이트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볼트직경이 커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시험체에 대한 Bjorhovde와 Eurocode 3에 의한 분류방법에 따르면 초기강성과 최대내력에 대해서 모두 강접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미니플레이트의 골내 고정원 적용 시 초기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Factors influencing primary stability of miniplate anchorage: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 이남기;최동순;장인산;차봉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04-313
    • /
    • 2008
  • 본 연구는 골내 고정원으로 사용하는 미니플레이트 시스템의 초기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미니플레이트의 고정에 사용되는 미니스크류의 길이, 수 및 적용되는 교정력의 방향에 따른 골내 응력 분포 양상과 미니스크류의 변위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유한요소분석을 시행하였다. 단순화한 골 모델에 6 hole의 곡선형 미니플레이트를 위치하고 직경 2 mm의 미니스크류로 고정하되 각각 6 mm와 4 mm 길이의 두 가지 종류로 세 개 또는 두 개로 고정한 총 네 개의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한 후 각각의 모델에서 4 N의 교정력을 미니플레이트의 고정되지 않은(unfixed) 가장 원심측 두개의 hole을 연결한 가상의 축에 대해 $0^{\circ}$, $30^{\circ}$, $60^{\circ}$, $90^{\circ}$ 방향으로 각각 적용하였다. 미니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미니스크류가 동일 길이일 경우 개수가 작을수록, 동일 개수일 경우 길이가 짧을수록 골에 나타나는 최대 응력과 미니스크류의 최대 변위가 증가되었다. 골에 나타나는 최대 응력은 해면골에 비해 피질골에 집중되어 응력의 대부분은 피질골에서 흡수되었다. 미니플레이트의 가상의 축에 대해 교정력의 견인 방향이 증가할수록 골내의 최대 응력과 미니스크류의 최대 변위가 증가되었다. 골내의 최대 응력과 미니스크류의 최대 변위는 적용된 견인력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미니스크류 고정 부위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니플레이트 시스템의 초기 안정성을 위해 2 mm 직경의 미니스크류를 사용 시 4 mm 보다는 6 mm 길이의 미니스크류를, 2개보다는 3개 식립하는 것이 더 유리하며, 미니플레이트의 가상의 축에 대해 적용하는 교정력의 견인방향이 가급적 일치되도록 미니플레이트를 위치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GFRP 판을 전단보강재로 사용한 플랫 플레이트의 뚫림전단 성능 평가 (Evaluation of Punching Shear for Flat Plates Using GFRP Plate Shear Reinforcement)

  • 이영학;김민숙;황승연;최진웅;김희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413-42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유공형 형상의 GFRP 판으로 전단 보강된 플랫 플레이트의 전단거동을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GFRP 판은 개구부가 있는 판의 형태로서 콘크리트와의 일체화 거동을 위하여 콘크리트에 매립하여 시공하였다. GFRP 판으로 전단 보강된 플랫 플레이트의 전단 성능 실험을 위하여 총 7개의 시험체에 대한 전단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변수로는 전단 보강량, 전단 보강 간격을 선정하였다. GFRP 판의 전단 보강량에 따른 비교결과, 전단 보강량이 증가할수록 전단강도도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GFRP 전단 보강 간격에 따른 비교결과, 전단 보강 간격이 0.3d 일 때 가장 높은 전단강도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KCI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단강도식을 수정하여 GFRP 판에 적용이 가능한지 평가하였다.

GFRP 판으로 보강된 플랫 플레이트의 전단강도식에 관한 규준의 비교 분석 (Comparison of Shear Strength Equation for Flat Plates with GFRP Plate)

  • 김민숙;황승연;김희철;이영학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247-25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유공형 형상의 GFRP 판으로 전단 보강된 플랫 플레이트의 전단거동을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GFRP 판은 개구부가 있는 판의 형태로서 콘크리트와의 일체화 거동을 위하여 콘크리트에 매립하여 시공하였다. 실험 변수로는 기둥면과 첫 번째 GFRP 판의 세로 스트립 사이의 간격, GFRP 판의 세로 스트립의 개수를 선정하였다. GFRP 판의 세로 스트립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전단강도도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GFRP 판으로 보강된 플랫 플레이트의 전단강도가 ACI 318, BS 8110, EUROCODE 2, KCI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단강도와 비교하여 가장 합리적인 규준을 평가하였다.

콘크리트 충전 브릿지 플레이트(대골형 파형강판) 부재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Encased-Concrete Bridge Plate(Deep Corrugated Steel Plate) Member)

  • 심종성;박철우;김태수;이형호;강태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97-303
    • /
    • 2010
  • 현재 개발된 콘크리트 충전 대골형 파형 강판은 아치형 플레이트의 구조로서 그 특징은 구조물이 아치의 형상을 가지므로 모멘트가 작게 발생하는 압축력 지배구조의 구조적 특성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강재를 덧대 준공된 공간을 압축력에 유리한 콘크리트를 충전 강재 콘크리트 합성단면을 형성하여 압축력에 대한 강도 발현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콘크리트 충전 대골형 파형강판(브릿지 플레이트) 부재의 압축 및 휨 시험을 실시하여 평가된 압축력과 콘크리트 충전 브릿지 플레이트 구조물의 설계방법인 캐나다 도로교설계기준(CHBDC)의 방법으로 설계압축력을 산정하여 비교 검토함으로서 새로운 개념의 콘크리트 충전 브릿지 플레이트 부재의 안전율을 평가하였다. 설계압축력과 성능평가 시험을 통하여 얻어진 축력을 비교하여 안전율을 검토한 결과 적정 안전율 2.0이상 과도하게 나타나 CHCBD을 이용한 설계가 매우 보수적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율을 설계에 반영한다면, 단면축소 및 시공비용 절감에 따른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소스테이션용 $20\;Nm^3$/hr급 수소제조장치 개발 (Development of $20\;Nm^3$/hr Hydrogen Generator for Hydrogen Fueling Station)

  • 오영삼;백영순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263-271
    • /
    • 2006
  • In this study, $20\;Nm^3/hr$ scale compact hydrogen generator which can be apply to the hydrogen station was manufactured and tested. The design of $20\;Nm^3/hr$ scale compact hydrogen generator was upgraded on the base of $5\;Nm^3/hr$ scale plate hydrogen generator concept stacking the plate reactors. Ideas for improving system efficiency such as heat recovery from the exhaust, exhaust duct which is especially design for plate type reactor, reinforcement of insulation, enlargement of heat exchange area of reactor, introduction of desulphurizer reactor and PROX rector in a compact design etc. were applied. From the performance test, we can learn that the $20\;Nm^3/hr$ scale compact hydrogen generator can be operated steadily at 100% road condition and the methane conversion of over 94%(at S/C=3.75) was obtained. This result shows that the concept of plate type hydrogen generator can be scale-up to the $20\;Nm^3/hr$ scale and fit for hydrogen generator for on site hydrogen station application.

수소스테이션용 $20Nm^3/hr$급 수소제조장치 스케일-업 및 성능시험 (Performance test of scale-up $20Nm^3/hr$ scale hydrogen generator for hydrogen station)

  • 오영삼;백영순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7-42
    • /
    • 2006
  • In this study, $20Nm^3/hr$ scale compact hydrogen generator which can be apply to the hydrogen station was tested for hydrogen station application. $20Nm^3/hr$ scale compact hydrogen generator was developed by upgrading concept of stacking plate reactor from former $20Nm^3/hr$ scale plate hydrogen generator. concepts for improving system efficiency and performance include such as idea of heat recovery from the exhaust, exhaust duct which is especially design for plate type reactor reinforcement of insulation, enlargement of heat exchange area of reactor, introduction of desulphurizer reactor and PROX rector in a compact design, introduction of back fire protection structure of plate burner and so on, We can learn that final prototype of scale-up $20Nm^3/hr$ scale compact hydrogen generator can be operated steadily in 100% road at which over 94% of methane conversion(S/C=3.75) was obtained. In case of making up the weak point, we expect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o hydrogen station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 PDF

요철형 금, 백금, 팔라듐 나노플레이트의 촉매성 환원 효율 비교 (Catalytic Reduction Efficiency Comparison between Porous Au, Pt, and Pd Nanoplates)

  • 신우준;김영진;장홍제;박지훈;김영관
    • Composites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85-89
    • /
    • 2019
  • 나노입자에 기반한 화학 촉매 반응 효율성에는 크기, 형태 및 조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체계적인 비교를 위해 갈바닉 치환 반응을 통해 100 nm 직경의 요철형 표면 구조를 갖는 금, 백금, 팔라듐 나노플레이트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조건 형성이 가능하였으며, 4-나이트로페놀과 4-나이트로아닐린을 대상으로한 촉매 반응 진행을 분광분석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동일 형태 및 형태에서 구성 원소에 따라 확연히 다른 Pd > Au > Pt의 촉매성 환원 반응 효율을 보임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기질의 형태에 따라 추가적인 영향을 받음을 관찰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