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로젝트지원

Search Result 79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xploring the Formation Process and Key Drivers of a Creative Milieu in the Early Arts and Cultural Ecosystem: The case of Seongsu-dong, Seoul, Korea (초기 문화예술생태계에서 창조적 환경의 형성과정과 추동요인: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 지역을 사례로)

  • Lee, Ji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5
    • /
    • pp.691-711
    • /
    • 2016
  • Recently, Economic spaces around the world have changed dynamically. Creative arts and cultural actors have begun to emerge in old industrial neighborhoods of major metropolitan cities. These new actors can be seen as creative actors in arts and culture, as well as non-economic actors that have been somewhat overlooked in the traditional approaches of economic geography. They contribute to overcoming regional economic crisis, as these actors bring a particular deviant and creative atmosphere in the neighborhood. Especially, informal gatherings of artistic communities play a pivotal role in knowledge platforms for dynamics of knowledge creation and creativity,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haping a creative milieu in the initial stage of formation of a regional ecosystem. In this regard,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fundamental mechanisms and driving forces of urban spatial restructuring through a case study of the creative arts and cultural ecosystem in Seongsu-dong, Seoul, Korea.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ormation process and key drivers behind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arts and cultural ecosystem in Seongsu-dong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 PDF

The Economic Assessment of Claims for Oil Pollution Damages : The Canadian Experience (유류해양오염으로 인한 환경피해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 캐나다의 유류해양오염에 대한 사례연구)

  • Jung, Hyung-Chan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 /
    • v.34 no.1
    • /
    • pp.157-183
    • /
    • 2003
  • 유류오염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정책 수단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요한 것으로는 인센티브제의 활용을 들 수 있다. 유류오염 사고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인센티브는 유출 사고로 인해 발생한 해양자원의 피해에 대해 가해자에게 배상책임(liability for losses due to spills)을 부과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유류오염 사고로 인한 피해액을 실제 화폐단위로 계량화하는 작업은 배상책임 부과제도를 정책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가장 어려운 과제이다. 따라서, 최근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자연자원 피해에 대한 가치 평가법(Natural Resource Damage Assessment : NRDA)은 배상책임 부과제도를 정책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이론적 도구로 간주되고 있다. NRDA는 잠재적인 가해자들에게 그들이 자연환경을 보존해야 하는 사회적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고 이를 훼손하게 될 때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사회적 비용을 직접 부담해야 한다는 명확한 재무적 인센티브(financial incentive)를 부여함으로써 가해자 보상 원칙 (polluter pays principle)을 실현 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유류오염 사고로 인한 환경자원 피해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 가장 중요한 이론적 모형으로 활용되고 있는 가상상황평가법(CVM)에 대한 기초 개념과 이론적 체계, 그리고 이를 실제 피해액 추정에 성공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점 등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88년 캐나다 북서부 연안에서 발생한 Nestucca 유류오염 사고를 사례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사고 당시 캐나다 연방정부와 British Columbia 주정부를 대신하여 해양오염에 의한 환경피해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미국의 컨설팅 회사인 RCG/Hagler, Baily Inc.의 가상상황평가법(CVM) 적용 사례를 분석 검토하였다. Nestucca 사례연구에서는 이들 연구자들이 실제로 활용한 설문지 설계, 설문방법 및 표본설계 등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CVM이 본질적으로 갖고 있는 방법론적 문제점들을 연구자들이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는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WTP 추정을 위해 RCG 연구자들이 사용한 사전규제접근법(ex ante regulatory approach)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환경자원 피해액 추정 방법의 한계점도 함께 검토하였다. 캐나다 연방정부와 British Columbia 주정부는 Nestucca 유류오염 사고로 인한 자연 자원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으로 $4.3 Million의 보상금을 지급 받게 된다. 캐나다 정부는 이 보상금으로 Nestucca Oil Spill Trust Fund를 설립하여 피해를 입은 자연자원의 원상회복(restoration)을 위한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Nestucca 유류오염 사고를 계기로 캐나다 정부와 학계는 해양자원의 피해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와 자원의 원상회복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안을 처음으로 마련 시행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Nestucca 유류오염 사고에 대한 사례연구는 캐나다의 해양환경 보존 정책을 연구하는 출발점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유류오염사고로 알려져 있는 시프린스호 사고와 관련된 손해배상금은 주로 연안어민들의 어업피해 배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접피해에 대한 배상액 48억 5천만원도 대부분 치어방류, 여수대학교 종묘배양장건립 등 피해지역 연안어업 발전을 위한 사업에 투자되었다.

  • PDF

Evaluation on Practical Use of Raw Data for 3D Indoor Space Modeling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원시자료의 활용도 평가)

  • Kim, Yun Ji;Yoo, Byoung Min;Lee, Jiye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6
    • /
    • pp.33-43
    • /
    • 2014
  • As the number of people who live indoor space has been increased, the interest in 3D indoor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grown. Object-Oriented 3D indoor space modeling includ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has performed in level of detail 4, and modeling data is able to be constructed based on various raw data which are as-built drawing, laser scanning, BIM data, and camera. 3D indoor space modeling has been worked based on established indoor space modeling process, and the result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 fields such as indoor space pedestrian navigation, facility management, disaster management, and so on. However, the modeling process has limitations to perform indoor space modeling efficiently, because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wastes time at modeling 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evaluation on practical use of raw data for 3D indoor space modeling purpose on supporting efficient indoor space modeling through analyzing the established process. Therefore, we define the requirements to evaluate the practical use of raw data and propose the verification method. In addition, as-built drawing which has been used in Seoul 3D indoor space modeling project will be applied to proposed method as a raw data.

Development of treatment facilities for improving water cycle in the water cycle analysis model for the urban catchment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의 물순환 개선시설 모듈 개발)

  • Jang, Cheol-Hee;Kim, Hyeon-Jun;Noh,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60-1364
    • /
    • 2010
  •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Catchment hydrologic cycle Analysis Tool, CAT)은 기존의 개념적 매개변수 기반의 집중형 수문모형과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장점을 최대한 집약하여, 도시유역 개발 전/후의 장/단기적 물순환 변화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물순환 개선시설의 효과적인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물순환 해석 모형이다. 이 모형은 수문학적으로 균일하게 판단되는 범위를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지형학적 요인에 의한 유출 특성을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개발 공간 단위별로 침투, 증발, 지하수 흐름 등의 모의가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노드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모형의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손쉽게 모형을 적용/관리하고, 여러 시나리오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모의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모든 입/출력 자료를 엑셀이나 텍스트 형식과 연동되도록 하여 프로젝트별 매개변수 관리가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특히 본 모형에서는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물순환 개선시설(침투시설, 저류지, 습지, 빗물저장시설, 리사이클 및 외부급수 등)의 구현 및 모의가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여기서, 물순환 개선시설이란 빗물을 흡수하고 저류할 수 있는 도시녹지시설 혹은 구조물로서 도심 내의 불투수면을 저감시키고 유출수를 줄이면서 동시에 녹지를 확보하여 효과적인 물순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시설들이다. 이러한 물순환 개선시설은 신도시 및 지역 혁신도시 개발 등의 대규모 토지이용변화가 예상되는 개발지역에 대한 평가 및 개선 기술을 제공하여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설계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먼저 침투 시설은 계획침투량을 반영하며 토양으로의 침투량과 지하수로의 이동을 모의한다. 저류시설은 하도 내에 위치한 online 저류지와 하도 외에 위치한 offline 저류지로 구분하고 저류지 수면의 증발량과 취수량을 고려하며, 방류구를 통한 방류량을 반영하였다. offline 저류지의 경우는 하도 내의 흐름의 규모에 따라서 일정량을 넘는 경우만 offline 저류지로 유입될 수 있는 양을 산정하도록 하였으며 하류 하천으로의 방류를 반영하여 홍수 후에 저류지가 비워지도록 하였다. 유역 내의 습지는 식생과 수면에서의 증발산을 반영하였다. 습지의 저류능력을 넘는 양은 월류되어 하류로 유출되며, 방류구를 통한 방류량을 반영하였다. 빗물저장시설의 경우는 초기우수와 같은 일정량 이하의 유입량과 시설용량을 초과하는 양은 방류하도록 하였고, 물 사용량을 반영하였다. 또한, 본 모형에서는 하천 내에서 취수하여 유역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리사이클 처리노드를 계획하였다. 리사이클은 용수 이용 목적에 따라 필요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하천유지용수의 목적으로 취수되어 상류 혹은 하류의 임의 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포함하였다. 또한, 유역외부에 광역으로 급수되는 공급량도 반영하도록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Building Monitoring Techniques Using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물 모니터링 기법 개발)

  • Jeong, Seong-Su;Heo, Joon;Woo, Sun-Kyu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0 no.6
    • /
    • pp.3-12
    • /
    • 2009
  • In order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resources, it is very critical to understand the status or progress of construction site quickly and accurately. Augmented Reality (AR) can provide this situation with information which is convenient and intuitive. Conventional implementation of AR in outdoor or construction site condition requires additional sensors or markers to track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camera. This research is aimed to develop the technologies which can be utilized in gathering the information of constructing or constructed buildings and structures. The AR technique that does not require additional devices except for the camera was implemented to simplify the system and improve utility in inaccessible area. In order to do so, the position of camera's perspective center and direction of camera was estimated using exterior orientation techniques. And 3D drawing model of building was projected and overlapped using this information. The result shows that by using this technique, the virtual drawing image was registered on real image with few pixels of error. The technique and procedure introduced in this paper simplifies the hardware organization of AR system that makes it easier for the AR technology to be utilized with ease in construction site. Moreover, this technique will help the AR to be utilized even in inaccessible areas. In addition to this, it is expected that combining this technique and 4D CAD technology can provide the project manager with more intuitive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that simplifies the monitoring work of construction progress and planning.

Prototype-based Cost Estimating Model for Building Interior Construction in Design Development Stage (프로토타입기반 기본설계단계 건축마감공사비 산정 모델)

  • Kim, Hae-Gon;Park, Sung-Chul;Hong, Tae-Hoon;Hyun, Chang-Taek;Koo, Kyo-Ji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8 no.4
    • /
    • pp.110-118
    • /
    • 2007
  • For deciding the owner's budget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in the predesign stage, the probabilistic methodologies for estimating the cost are often studied, however these parameter-based conceptual estimating methodology has limitation of applying it to the practical business because it hardly can link the design decision-making and the cost estimating and control. Besides if the result of detail estimating after detail design is over the budget, locally and arbitrarily control the level of interior design and fix the design. This research proposed the prototype-based cost estimating model for building interior construction which leads to estimate the interior cost easily linking with design decision-making and supports to evaluate the design alternatives in the schematic design and the design development stage for office buildings. The model divides the building on the design process by Element Breakdown Structure and presents the design alternative by selecting the elements of each room from the database accumulated the historical office buildings' prototypes and estimates the cost. The 2 case studies presented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as the linking tool integrating the design and construction data and applicability to the practical design on the presented prototype-based model.

The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a Collaborative Design Prototyping Tool for Digital Products (디지털 제품의 협동적 디자인을 위한 프로토타이핑 도구 개발 및 활용 사례 연구)

  • Nam, Tek-Ji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4
    • /
    • pp.119-128
    • /
    • 2004
  • There is a lack of user centered design methods that support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designers and end-users for designing hardware and software integrated digital products. This paper presents the application of Collaborative Design and a new collaborative design prototyping tool for interactive digital product design projects. The tool consists of STCtools(State Transition Chart tools) software, hardware modeling materials, and physical interface toolkits for integrating software and hardware. STCtools allow users to create and edit States, to compose Events describing transitions between States, and to run intermediate or final results of STC. Using the hardware modeling materials and the physical interface toolkit, designers and end-users can collaborately examine the hardware and software integrated concepts in an early stage of the design process. Three collaborative design workshops of designing a portable digital guide for a theme park were accomplish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too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ool supported iterative concept development and interactions between designers and end users. Although several user interface problems of STCtools were identified, the participants gave positive feedback on the role of the tool in collaborative concept generation and deploymen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not only to the collaboration between designers and end users, but also to the collaboration between designers, and between designers and other professionals.

  • PDF

Design of a Marine Leisure Information Retrieval Agent for Mobile Terminal Support of WIPI Environment (WIPI 환경의 모바일 단말기 지원을 위한 해양 레저 정보 탐색 에이전트의 설계)

  • Choi, Hong-Seok;Jung, Sung-Hun;Lim, Ja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1
    • /
    • pp.171-174
    • /
    • 2005
  • According as marine leisure industry has developed and the demand of leisure culture has increased rapidly, a desire about service which supply marine safety and connect marine information is enlarging. The performance of personal mobile device has improved and been evolved by composition terminal. So, it became possible that storage and expression of multimedia information as well as simple communication facility. Domestic wireless internet has given development strain to developer and contents Provider(CP) because of different platform. And this has become hindrance factor of wireless internet activation. But, recently, the use of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the wireless internet standard platform, could use different wireless application programs and also guarantee the independency for hardware. We wish to develop contents of download form that supply geographic information of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ENC) in the marine that is digitalized to carrying along terminal of WIPI base and various informations for marine leisure. For this, DB that offer ENC and additional information should be constructed. Also, we need server (CPS; Contents provider Server) that offer required contents. In this paper, we design web retrieval agent which store request information to database. When consumer required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personal mobile device, CPS can inform that by real time. So, we wish to develop agent component that parse informations in various World Wide Webs, and store to database.

  • PDF

Review of educa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desirable attitudes toward gerontological nursing (노인간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고찰)

  • Yeom, Hyun-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
    • /
    • pp.561-571
    • /
    • 2016
  •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innovative educational strategies that have been implemented successfully in US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programs to facilitate appropriate attitudes about caring for older adul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arch of PubMed and CINAHL using the key words, gerontological or geriatric, attitudes about aging or older people, baccalaureate or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or curriculum. Results: The successful strategies are categorized as follows: 1)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tegrating aging issues and gerontological contents into diverse nursing courses, 2) active participation of community-dwelling healthy older individuals as an educational mentor, 3)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to investigate the misconceptions and attitudes about aging, and 4) discussion through critical thinking and self-reflection toward aging. Implications: For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within nursing courses, it is essential to derive the key contents for gerontological nursing applicable to integration into diverse nursing cours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dministrative support for implementing innovative strategies and constructing consistent partnerships with the community for activ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s a mentor. Lastly,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strategies for enhancing desirable attitudes toward gerontological nursing and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apability of a faculty are key issues.

Measurement of Preference for coffee component using Time-Intensity curve (Time-Intensity curve를 이용한 커피성분의 선호도 측정)

  • 오지영;민병찬;정순철;민병운;김상균;김유나;신정상;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01-406
    • /
    • 1999
  • 생활이 풍족해질수록 사람들은 음식이나 음료를 통하여 미각을 즐기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미각이 발달한 사람들은 다른 감각이 발달한 사람들보다 소비 욕구가 왕성하여 상품정보에 밝은 편이고 신제품에 대한 호기심도 많아 주요고객으로 환영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미각은 소비성향의 척도가 될 수 있으며, 이것이 상품개발에 중요한 지표가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맛에 민감하다거나 둔감하다고 표현되는 개인의 미각물질에 대한 감도는 개인마다 일정치 않다. 이것은 미각물질에 따라 개인의 상대적인 역치의 고조나 미각 강도의 대소가 다르거나 감도가 다른 미각물질에 대한 수용구조에 개인차가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개인차가 있는 미각을 표준화된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미각강도 측정을 위한 Time-Intensity curve는 1958년 음식물의 특성에 대해 관심을 가졌던 Nielson에 의해 개발되었는데 최근에 Takagi와 Asakura가 Time-Intensity curve분석과 기록을 위해 microcomputer를 이용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그들의 방범은 Time-Intensity curve를 모니터에 보여주고 data를 floppy discs에 기록하여 software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것을 좀더 편리하고 단순하게 만들기 위해 감각의 강도를 전기적 저항의 interface를 통하여 computer에 입력하는 대신에 mouse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새로이 개발된 Time-Intensity curve를 이용하여 커피성분 중 설탕과 프림의 농도에 변화를 주어 맛의 좋고 싫음의 미각강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상품개발의 중요한 지표가 되는 미각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었고 이것은 향후 commercial한 상품의 개발에 유용한 지표가 될 것이라고 본다.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연구 조직에서 일하는 외국인 연구자들의 동기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관관계, 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을 통해 활용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설문 분석을 통하여 동기 및 성과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전통적인 동기 이론들과 부합한다. 대부분의 변수가 동기 및 성과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조직 협력 문화, 외국인 연구자의 의사소통 및 협력성, 외국인 연구자의 연구 능력 관련 변수들 및 연구 프로젝트의 기술수명주기, 외국인 연구자의 기존 기술지식의 흡수 등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가 주로 중국 및 러시아 과학자들을 활용하여 상업화하는 외국인 연구인력 활용 패턴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즉 우호적인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는 연구 조직에서, 이미 과학기술 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고 연구 능력도 높은 외국인 과학기술자를, 한국에서 기술이 태동 또는 성장하고 있는 연구 분야에서 활용하는 것이 가장 성과가 좋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국내에서 최초로 수행된 본 연구는 외국인 연구 인력의 활용 성과가 매우 높으며, 우리의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을 보완하는 유효한 수단으로써 외국인 연구 인력이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외국인 연구 인력을 잘 활용하기 위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활용 환경, 연구 인력이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외국인 연구 인력을 잘 활용하기 위하여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활용 환경, 연구 인력관리. 인력 교류사업, 외국인 과학자 지원 창구 등으로 나누어서 정리하였다. 연구시설, 주거시설 등의 하드웨어적 환경에 대한 개선도 중요하지만 연구 인력의 관리 능력 제고, 인력 교류 사업의 개선, 정보 제공 등 소프트웨어적인 활용 능력을 제고하는데 정책적인 관심을 기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