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라이버시 침해

Search Result 43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tudy on How Service Usefulness and Privacy Concern Influence on Service Acceptance (서비스의 유용성과 프라이버시 염려도가 개인화 된 서비스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Zoon-Ky;Choi, Hee-Jai;Choi, Seon-Ah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2 no.4
    • /
    • pp.37-51
    • /
    • 2007
  • As the highly improved Internet and information technology has led to the diversification of users' demands, personalization service attract lots of attention as a means to meet highly diversified demand of users. However, personalization service costs a lot. Also concerns over a possible violation of privacy have been raised since the service uses technology to find out the users' profiles. This research studies the advantages individuals acquire from personalization service and how privacy concern influences service acceptance. Research on related documents and information gathering from e-commerce sites derived six representative types of service.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to research privacy concern according to services, service usefulness, and service acceptance. As expected, privacy concern has a negative relation to acceptance while service usefulness has a positive relation to it, thereby resulting in an offset between two variables. Moreover, they play a different role depending on what kinds of service or in 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paper will help the e-commerce sites provide personalization service by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while protecting users' privacy.

  • PDF

Exploiting Friend's Username to De-anonymize Users across Heterogeneous Social Networking Sites (이종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친구계정의 이름을 이용한 사용자 식별 기법)

  • Kim, Dongkyu;Park, Seog
    • Journal of KIISE
    • /
    • v.41 no.12
    • /
    • pp.1110-1116
    • /
    • 2014
  • Nowadays, social networking sites (SNSs), such as Twitter, LinkedIn, and Tumblr, are coming into the forefront, due to the growth in the number of users. While users voluntarily provide their information in SNSs, privacy leakages resulting from the use of SNSs is becoming a problem owing to the evolution of large data processing techniques and the raising awareness of privac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tudies on protecting privacy on SNSs, based on graph and machine learning, have been conducted. However, examples of privacy leakages resulting from the advent of a new SNS are consistently being uncove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ique enabling a user to detect privacy leakages beforehand in the case where the service provider or third-party application developer threatens the SNS user's privacy maliciously.

A Study on RFID Privacy Protection Guidelines In Ubiquitous Society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가이드라인 분석)

  • Roh, Sun-Sik;Lee, D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2
    • /
    • pp.780-78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RFID를 기반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요인을 분석하고 RFID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요구 사항을 도출한다. 또한 세계 각국 및 국제 단체에서 RFID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세계 각구의 법제 동향 및 가이드라인 제정 동향에 대하여 분석한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의 RFID 프라이버시 보호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여 적용방안을 제시한다. 최종적으로 RFID 기술 구현에 따른 RFID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을 제시한다.

  • PD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ser citizenship behavior, aberrant user behavior, social connectedness, privacy concern, and user satisfaction (SNS 이용자 시민행동, 불량행동, 사회적 유대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및 이용자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 Kim, Yoo-Jung;Kim, Jae-Young;Han, Jae-M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1
    • /
    • pp.4994-5004
    • /
    • 2012
  •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voluntary user participation such as user citizenship behavior and aberrant user behavior in the SNS context. Also it examines on how user participation behavior affects social connectedness, privacy concern, and user satisfaction. The empirical assessment of the research model was conducted using a total of 143 responses. The findings show that user citizenship behavior impacts on social connectednes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whereas aberrant user behavior does not influence on social connectedness. Aberrant user behavior is proven not to be related to social connectedness, and to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cern for privacy invasion. Also, the results show that privacy concern is not associated with social connectedness. Finally, social connectedness is shown to be a key determinant of SNS user satisfaction whereas privacy concern is not related to user satisfaction.

정보유출방지와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고찰

  • Kim, Jin-Hyung;Kim, Hyung-Jong
    • Review of KIISC
    • /
    • v.21 no.5
    • /
    • pp.45-49
    • /
    • 2011
  • 네트워크 등의 환경에서 정보의 사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PC 및 다기능의 단말 등을 사용하여 내부 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적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에 따라 내부 정보 접근이 용이 해 지면서 내부 정보 유출의 가능성이 증가 하게 되었다. 실제로 최근 발생한 정보유출 사건들은 단순 정보유출이나 일회성 공격에 지나지 않고, 자산의 유출로 인해 기업의 존폐를 흔들 만큼 그 영향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유출사고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정보를 취급하는 정부기관 및 기업은 이를 막기 위하여 정보유출방지시스템을 운영한다. 그러나 정보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솔루션이 확인 하는 데이터에는 정보유출방지시스템에 연결되어있는 사용자들의 개인정보가 포함되어있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는 어떠한 경우에서도 반드시 보호되어야 한다는 관점으로 볼 때, 정보유출탐지시스템 설계 시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보호가 가능한 솔루션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정보유출 방지를 위한 기술이 갖는 프라이버시 침해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막기 위한 요소기술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는 정보유출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에 대한 연구 내용을 요약하는 형태로 작성되었다.

A Study on Deep Learning Privacy (딥러닝 프라이버시에 관한 연구)

  • Si-Hyeon Roh;Byoung-Young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4.05a
    • /
    • pp.207-209
    • /
    • 2024
  • 딥러닝은 선형 연산과 비선형 연산을 조합하여 목표로 하는 시스템을 잘 표현할 수 있는 함수를 찾기 위해 사용하며, 이미지 분류 및 생성, 거대 언어 모델 및 객체 인식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딥러닝 연산을 위해서는 모델과, 연산을 수행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하나의 공간에 저장되어야 한다. 모델과 데이터를 데이터 소유자가 관리할 경우, 데이터 소유자가 모델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으며, 이는 모델을 적대적 예제 생성 공격에 취약하도록 만드는 원인이 된다. 한편 모델과 데이터를 모델 소유자가 관리할 경우, 모델 소유자는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여 데이터 소유자의 정보를 악의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모델과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모두 보호하기 위해 주어진 딥러닝 모델의 암호화와 복호화를 수행하는 EncNet 을 구현하였으며, MNIST 와 Cifat-10 데이터셋에 대하여 실효성을 테스트하였다.

A Study on Continued Inten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by Applying Privacy Calculus Model: Facebook and KakaoTalk Cases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을 적용한 SNS 지속 사용 의도에 대한 연구: 페이스북과 카카오톡 사례 중심으로)

  • Min, Jinyoung;Kim, Byoungsoo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5 no.1
    • /
    • pp.105-122
    • /
    • 2013
  • Given the prolifer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it has become important to understand its user's continued use behavior. As users' privacy concerns in SNS have been identified as a critical barrier against forming this continued intention,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inducing continued intention by mitigating privacy concerns. However, this paper suggests to approach users' continued intention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mitigating privacy concerns but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increasing potential benefits. Under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privacy calculus model, we conducted cross sectional survey on 150 Facebook and 150 KakaoTalk users. The result suggests that trust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continued intention and between network externality and continued intention, and the influence of support for network formation on continued intention. The effect of network externality on continued intention, however, is not significant among Facebook users while it is significant among KakaoTalk users.

  • PDF

Forward Security Protection Protocol of RFID System using New Key Generation Method (새로운 키 생성 방법을 통한 RFID시스템의 전방위보안성 보호 프로토콜)

  • Cho Jung-Hwan;Cho Jung-Sik;Yeo Sang-Soo;Kim Sung 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9-21
    • /
    • 2005
  • 현대의 산업화 사회에서는 자동인식을 통해서 사람과 사물을 식별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바코드를 이용한 접촉식 판별기술이 있고,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들 수 있다. RFID의 경우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대량의 사물을 동시에 인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어떠한 상황에서 리더의 요청에 응답을 하는 리더-태그 시스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문제를 막기 위해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Miyako Ohkubo의 Hash체인을 이용한 프라이버시 보호 기법은 정보유출, 위치추적공격(Location Tracking Attack), 전방위보안성(Forward Security)과 같은 프라이버시 침해문제들로부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 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Hash함수를 태그에 구현하는 것은 현재까지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또, Martin Feldhofer의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를 사용한 프로토콜은 실제로 태그에 구현 가능하면서 내부구조가 8bit인 AES를 사용함으로써 암호학적인 강도를 높였으나,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에서 단점을 드러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AES기반에서의 개선된 RFID 프라이버시 보호 프로토콜은 실제적으로 태그에 구현 가능한 AES를 이용한 암호화 체인을 통해서 프라이버시 보호에 우수하면서 실제 사용이 가능한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1]. 그러나, 이 프로토콜은 생성되는 키 값들이 물리적 공격을 통해서 노출이 되었을 때, 이전의 seed값과 키 값들이 노출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프라이버시보호에 새로운 키 생성 방법을 통한 강력한 프로토콜을 제안 한다.하였으나 사료효율은 증진시켰으며, 후자(사양, 사료)와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거세비육돈에서 1) androgen과 estrogen은 공히 자발적인 사료섭취와 등지방 침적을 억제하고 IGF-I 분비를 증가시키며, 2) 성선스테로이드호르몬의 이 같은 성장에 미치는 효과의 일부는 IGF-I을 통해 매개될 수도 있을을 시사한다. 약 $70 {\~} 90\%$의 phenoxyethanol이 유상에 존재하였다. 또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도 phenoxyethanol이 수상에 많이 존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형 내 oil tomposition을 변화시킴으로써 phenoxyethanol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투과를 감소시켜 보다 피부 자극이 적은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리라 보여 진다. 첨가하여 제조한 curd yoghurt는 저장성과 관능적인 면에서 우수한 상품적 가치가 인정되는 새로운 기능성 신제품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여자의 경우 0.8이상이 되어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범위에 속하는 수준이었다. 삼두근의 두겹 두께는 남녀 각각 $20.2\pm8.58cm,\;22.2\pm4.40mm$으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상태는 전체 대상자의 $84.4\%$가 대부분이 하루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있었으며 식사속도는 허겁지겁 빨리 섭취하는 경우가 남자는 $31.0\%$, 여자는 $21.4\%$로 나타났고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은 보통 속도 혹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식사를 하였다. 평소 식사량은 조금 적게 혹은 적당하게 섭취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는 배부르게 먹는 경 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식사는 혼자 하는 경우가 남자

  • PDF

인터넷과 프라이버시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8 s.363
    • /
    • pp.43-69
    • /
    • 1999
  • 인터넷의 등장은 개인을 발가벗겨 인간 고유의 사생활 본능마저 앗아가고 있다. 인터넷의 이용현황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와 문제점, 국내외의 사례 그리고 기술과 법적 대응방안을 점검해 본다.

  • PDF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Awareness for the Privacy of the Users at the School Libraries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조사연구)

  • Sim, Jae-yun;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6 no.4
    • /
    • pp.31-63
    • /
    • 2015
  •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awarenesses of librarians of issues regarding the privacy of the users of school libraries. It sought to determine if, by raising the issue of the importance of the need for the protec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s of the school libraries, and the implications of not paying attention to the rules in effect, the awareness regarding the privacy of the users of school libraries would be improved. For this,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privacy of the students, the legal basis for the protection of the privacy of the domestic and foreign students, and the types of the infringements upon the protection of their personal information were investigated. A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awareness of issues related to the privacy of the users of the library. The research showe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awarenesses regarding the privacy of the users of the school libraries appeared low, and low recognition was also found regarding the awareness of the cases of the infringements upon the privacy of the users of the school libraries; regarding the awareness in relation to the protection of privacy; regarding the seriousness of the privacy problems of the users; and regarding the factors that can encroach upon the privacy of the users. Second, regarding the seriousness felt when the library records of the users of the school libraries are leaked to the outside, 41.6% of the respondents responded by saying "It is serious", and 18.4% responded by saying "It is not serious".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wareness regarding whether the consent of the person concerned is needed in case a third party requests access to reading the records in the library, 68.5% of the respondent responded "It is needed", and only 10.4% responded "It is not needed". Last, in the investigation into whether the respondents had the experience of being educated as to the rules related to the privacy of the users at a school or an external organization, over 8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id not receiv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