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품종개량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31초

감미단백질 모넬린 발현 딸기 형질전환 식물체 개발 (Development of transgenic strawberry plants expressing monellin, a sweet protein)

  • 민성란;고석민;유재일;박지현;이소영;이인하;김현숙;김태일;최필선;정원중;김석원;김종현;유장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180-185
    • /
    • 2015
  • '여봉'과 '매향' 딸기 식물체로부터 잎 절편을 형질전환 재료로 이용하였다. CaMV 35S promoter에 모넬린 유전자가 연결된 pGA482-pS1D 벡터가 들어있는 아그로박테리움 EHA105 균주를 매개로 형질전환을 수행하였다. 공동 배양 후 잎 절편체로부터 캘러스 형성과 식물체 재분화율은 '여봉' 품종이 '매향' 품종보다 높았으며 이들 형질전환 식물체는 정상적으로 생육하여 개화하였다. PCR 및 Southern blot 분석을 통해 1-2 카피의 모넬린 유전자가 형질전환 딸기 식물체에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Northern blot 분석을 통하여 두 품종에서 모두 모넬린 유전자가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비록 장기간 계대배양된 이들 딸기 형질전환 식물체에서는 모넬린 유전자가 escape 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본 연구에서 확립된 형질전환 시스템은 딸기의 유전적 개량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유전자총과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여러 가지 한국 잔디류의 형질전환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a transformation protocol combination particle bombardment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in different zoysiagrass cultivars)

  • 김종보;김경덕;박대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1-148
    • /
    • 2004
  • 다양한 Zoysiagrass 4가지 품종들을 식물재료로 사용하여 Agrobacterium만 이용한 방법 그리고 particle bombardment로 배발생캘러스에 상처를 낸 후, Agrobacterium으로 공동배양 시키는 2가지 다른 형질전환 방법을 비교하였다. 예비실험에서 일반적으로 형질전환에 널리 사용되는 kanamycin과 PPT(phospinitricin)의 적적선발농도에 대해서 실험하였는데, kanamycin의 경우 300mg/l 그리고 PPT의 경위 50mg/l의 농도에서 가장 효과적인 선발 효율을 나타내었다. Agrobacterium을 이용한 형질전환은 Agrobacterium을 2일간 배양시킨 다음, 박테리아 농도를 O.D 600nm=1.0-1.2로 맞추고, 배발생캘러스를 30분간 간염 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이었는데, particle bombardment를 이용하여 캘러스에 상처를 유발시킨 후, Agrobacterium으로 감염시키면 3배 이상 높은 형질전환 수율을 획득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잔디 형질전환에 있어서 particle bombardment과 Agrobacterium을 병행하여 실시한 최초의 보고이고, 이러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향후 한국잔디를 포함하여 다른 난지형 및 한지형 잔디의 품종개량에 널리 이용되리라 생각된다.

재래종 배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Traditional Cultivars of Pear (Pyrus pyrifolia N.))

  • 박은령;최진호;김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0-185
    • /
    • 2002
  • SDE 추출법과 GC/MS 분석방법으로 재래품종인 봉리, 황실리, 영목리 배를 시료로 하여 각각 72종, 59종, 66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모든 품종에서 ethyl acetate가 주요한 ester 화합물로 확인되었으며, 다량의 ethanol과 acet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다. 황실리와 영목리에서 다량 확인된 nonanoic acid는 봉리에 소량 함유되었으며, 봉리에서 주요 성분으로 확인된 butyl acetate가 황실리와 영목리에서는 동정되지 않았으나, 황실리와 영목리에서는 단지 $4{\sim}5$개의 ester류가 전체 향기구성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관능기로 분류하여 볼 때, 분리 동정된 성분들 중에서 봉리는 ester와 alcohol류, 황실리에서는 alcohol류 그리고 영목리에서는 ester, acid, alcohol류가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어 세 가지 재래품 종간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에 차이점이 있었으며, 서양배와 개량품종 배와도 차이점을 보여주었다. 봉리, 황실리, 영목리에서 추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함량은 각각 6.069, 4.285, 6.552mg/kg을 차지하였다.

액상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시 품종, 계절, 인공수정 횟수 및 정자농도가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eeds, Insemination Time, Breeding Season, Sperm Concentr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ows Inseminated by Liquid Boar Semen)

  • 김인철;박창식;이규승;서길웅;한성욱
    • 농업과학연구
    • /
    • 제28권2호
    • /
    • pp.85-91
    • /
    • 2001
  • 돼지에서 액상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이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축산기술연구소 종축개량부 (충남, 성환) 돼지 인공수정센터에서 사육중인 인공수정용 종모돈을 이용하여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액상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시 종모돈의 품종, 인공수정 횟수, 계절 및 정자농도가 번식성적에 마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돼지 인공수정시 번식성적 향상과 실용화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액상정액 인공수정시 정액을 생산한 종모돈의 품종 (Landrace, Yorkshire, Duroc)간 번식성적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발정당 2회 또는 3회 인공수정 시에도 번식성적에 차이가 없었다. 인공수정을 실시한 계절별로 번식성적을 조사하였으나 계절간 차이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액상정액 인공수정시 1회 주입정자의 최저농도를 구명코자 활력 70% 이상인 정자수를 기준으로 80 ml 병당 정자농도를 3.0, 2.5, 2.0 및 $1.5{\times}10^9$로 조절하여 인공수정한 결과 수태 율, 분만 율, 총산자수 및 생존산자수에서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아 1회 주입정자농도는 운동성 정자 기준으로 $1.5{\times}10^9/80ml$ 이상으로 조절하면 인공수정에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돼지에서 동결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시 종모돈의 품종, 인공수정 횟수, 정자농도, 농장 및 연도가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eed, Insemination Time, Sperm Concentration, Farm and Year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ows Inseminated by Frozen Boar Semen)

  • 김인철;이장희;김현종;이성호;박창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1-117
    • /
    • 2002
  • 돼지에서 동결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이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축산기술연구소 종축개량부 (충남, 성환)의 돼지 인공수정센터에서 사육중인 종모돈을 이용하여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동결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시 종모돈의 품종, 인공수정 횟수, 정자농도, 농장 및 연도가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동결정액이 인공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5$m\ell$ maxi-straw에 포장된 동결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시 번식성적을 조사한 결과 종모돈의 품종 (Landrace, Yorkshire, Duroc)간 차이가 없었다. 1회 발정당 수정횟수는 2회 수정과 3회 수정시 차이가 없었으며, 1회 주입정자 농도도 5.0, 4.0 및 3.0$\times$$10^{9}$ /dose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양돈장의 관리방법과 인공수정사의 기술은 수태율과 산자수에 영향을 주었다. 1995년부터 1999년까지 5년간 농장에서 매년 인공수정한 결과수태율은 68.3~74.6%, 분만율은 61.7~67.6%, 총산자수는 8.7~9.6두 그리고 생존산자수는 8.1~8.7두로 각각 나타났다.

녹색찰현미로 이용 가능한 "녹원찰벼"의 돌연변이 육종 (A New Green-Kerneled Glutinous Rice Mutant Variety, "Nogwonchalbyeo" Developed by Gamma Ray Irradiation)

  • 강시용;신인철;김동섭;이긍주;김진백;이덕열;이상영;이동진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03-307
    • /
    • 2008
  • 출수가 늦어 남해안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던 재래종 녹미(일명; 생동찰벼)를 개량하여 전국적으로 안전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신품종 "녹원찰벼"를 육성하였다. 생동찰벼의 종자에 감마선 200 Gy를 조사하여 $M_2$세대에서 출수가 빠르고 키가 작은 우량 계통을 선발하였다. 계통선발과 지역적응성 시험을 거쳐 유망계통 원농 17호(녹원찰벼)를 최종적으로 선발하여 품종등록하였다. 녹원찰벼는 생동찰벼와 비교하여 중부지방에서 이삭 피는 시기가 생동찰벼보다 15일정도 빠른 8월 17-20일경이었고 간장은 15 cm 정도 작은 91 cm이었다. 녹원찰벼의 현미 수량은 생동찰벼보다 10% 정도 증가하였다. 녹원찰벼의 백미 및 현미중의 아미노산 함량은 다른 대조 품종보다 10-60% 높았다. 엽록소 함량은 대조품종 신선찰벼 및 남평벼보다 비해 2배 높았다. 등숙기에 엽록소 소실이 늦어 녹색 현미 찹쌀로 이용이 가능하여, 일반 쌀에 섞거나 현미밥을 지으면 연한 황록색의 시각적인 효과와 고소하고 차진 특성이 있다. 병해충에도 강하여 앞으로 친환경 기능성 쌀로 이용확대가 기대된다.

쌀면전용 고아밀로스 중생 통일형 벼 '새미면' ('Saemimyeon', a Tongil-Type Medium-Late Maturing Rice Variety with High Amylose ContentUsed for Rice Noodle Preparation)

  • 조준현;이종희;박노봉;손영보;오성환;한상익;송유천;서우덕;박동수;남민희;이지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22-528
    • /
    • 2018
  • 통일형 중생종 '새미면'은 가공업체의 가격경쟁력 및 가공적성에 대한 요구에 부흥하기 위하여 개발된 아밀로스 함량이 높은 쌀국수 전용품종이다. 내병성 등 재배 안정성 및 수량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IR50^*2$/YR18241-B-B-115-1-1 계통에 초다수 성인 '밀양181호(한아름)'을 삼원 교잡한 후 잡종집단 육성 및 선발 등 계통관리를 하였다. 2010년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생산력 검정시험 결과 초다수성이며 직립형인 YR24235-10-1-3 계통을 선발하여 '밀양278호'로 명명한 후 중부 및 남부 평야지 6개소에서 지역적응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새미면'의 출수기는 8월 12일로 중생종이며 도열병, 줄무늬잎마름병, 및 흰잎마름병(K1-K3a)에 저항성이고 벼멸구 등 주요 해충에는 감수성이다. '새미면'은 쌀국수 및 쌀파스타 제조에 중요한 요소인 아밀로스함량이 26.7%이며 알카리붕괴도가 3.5로 낮은 특성을 보였다. '새미면'은 쌀수량이 7.08 MT/ha로서 대비품종인 '다산'에 비해 6% 높았으며, 남부 및 중부 평야지에 적합한 품종이다.

들깨의 성분개량 연구 III. 들깨 품종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Quality Improvement in Perilla III. Varietal Differences of Protein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in Perilla)

  • 이정일;박충범;손석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5-22
    • /
    • 1993
  • 들깨 국내 수집 유전자원 80종에 대한 종실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고단백 양질 아미노산 품종육성에 오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최고 28.5%, 최저 17,9%, 평균 24.6%였다. 2. 단백질 함량은 숙기와 천입중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종피색에서는 암갈색에서 백색에 가까울수록 높았는데 암갈색에 비해 은회색은 1.4% 더 높았다. 3. 들깨 수집 유전자원 80종의 총 필수아미노산은 품종에 따라 최고 44.85%, 최저 36.41%, 평균 40.55% 였으며 일반 아미노산 함량은 최고 60.01%, 최저 47.23%, 평균 55.29%였다. 4. 필수 아미노산 함량과 종피색간에는 고도의 정상관(r=0.3389**) 관계로서 종피색이 암갈색에서 백색에 가까울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5. 들깨에서 필수 아미노산중 함량이 많은 것은 arginine과 leucine, 가장 적었던 것은 methionine 이었고, 일반 아미노산중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e와 asparagine이었다. 6. 필수아미노산 중에서 lysine, methionine, valine 등의 평균함량은 FAO 권장량 보다 높았다.

  • PDF

참깨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제2보 지역차이 및 기상환경에 따른 참깨 지방산변화 (Breeding of Sesame (Sesamum indicum L.) for Oil Quality Improvement II. FattyAcid Composition of Sesame Seeds under Different Climatic Conditions and Locations)

  • 이정일;이승택;오성근;강철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0-95
    • /
    • 1981
  • 참깨 재배지역 차이에 따른 품종문제를 추적하여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였다. 1. 참깨 재배지역에 따른 품질은 남부지역에서 생산된 것보다 중북부지역에서 생산된 것이 리놀산함량이 많았다. 2. 러놀산함량은 등열기간 중 적산온도와 r =-0.595**의 부상관관계를 일사량과는 r=0.613**의 정상관을 보여서 등열기간의 적산온도가 낮고 일사양이 많으며 강우량도 많은 조건에서 리놀산함량 높았다. 3. 오레인산함량에서는 리놀산의 경우와 달리 남부지방에서 생산된 참깨가 중북부산 참깨보다 오레인산함량이 더 높았다. 4. 오레인산함량은 등숙기간 중 적정평균 온도와 r=0.644**의 정상관관계를 일사량과는 r=-0.456**의 부상관 관계를 보였다. 5. 참깨 지방산중 오레인산과 리놀산함량은 이두 지방산함량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음으로 서로 상대적인 함량관계를 가지고 있는 경향이다. 6. 참깨의 유질은 주산지인 남부보다 중북부산 참깨의 품질이 더 우수하다.

  • PDF

II. 2000년대(年代)를 위한 신비종(新肥種)의 개발(開發)

  • 박선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호
    • /
    • pp.5-38
    • /
    • 1991
  • 비료(肥料)를 공업적(工業的)으로 제조(製造)하여 농업(農業)에 사용(使用)하기 시작(始作)한 이래(以來) 신비종(新肥種)의 개발(開發)에 대한 관심(關心)은 부단(不斷)히 계속(繼續)되어 왔으며 현재(現在)에도 어느 국가(國家)나 생산업계(生産業界)에서 개발(開發)을 위한 노력(努力)을 많이 기우리고 있음이 현실(現實)일 것이다. 어느 국가(國家)와 어느 시대(時代)에 있어서나 현존(現存) 비종(肥種)을 생산(生産)함에는 소비(消費)와 생산면(生産面)에서 상응(相應)하는 사정(事情)이 있었을 것이며 또한 미래(未來)에도 신비종(新肥種)을 개량(改良)하거나 창제(創製)함에는 여러 가지 관련문제(關聯問題)를 검토(檢討)하여 새로운 요구(要求)에 합리적(合理的)으로 부합(符合)되도록 설계(設計)해야 할 것이다. 비료(肥料)는 현대(現代) 농업(農業)에서 불가피(不可避)하게 사용(使用)되는 기본자재(基本資材)이며 세계적(世界的)으로 그 소비(消費)가 증가(增加)되나 국가별(國家別) 농업(農業)의 특수성(特殊性)에 맞추어서 비료(肥料)의 형태(形態)와 생산량(生産量)에 차이(差異)가 있게 되며 또 변화(變化), 개량(改良)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농업(農業)이 최근(最近) 급속(急速)히 변화(變化)되면서 생산수단(生産手段)과 경영(經營)에도 큰 변혁(變革)이 불가피(不可避)하게 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생산수단(生産手段)의 개량(改良)은 농산물(農産物) 생산가(生産價)를 낮추고 노력(勞力)의 투입(投入)을 줄이며 우수품질(優秀品質)의 농산물(農産物)을 안정적(安定的)으로 생산(生産)하기 위한 대응책(對應策)이 될 것이다. 비료(肥料)의 사용(使用)은 이러한 시대적(時代的) 요구(要求)에 맞추어 신비종(新肥種)이 개발(開發)되고 시용기술면(施用技術面)에서 발전(發展)이 있어야 될 것이다. 미래(未來)의 우리 나라 농업(農業)을 위하여 개발(開發)되어야 할 비종(肥種)의 형태(形態)와 그에 관련(關聯)되는 요건(要件)은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시비효율(施肥效率)을 높히기 위하여서나 성력재배(省力裁培)를 위하여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 특히 질소비료(窒素肥料)의 신비종(新肥種) 개발(開發)이 절실(切實)히 필요(必要)하다고 판단(判斷)됨. 신비종(新肥種)은 대상작물(對象作物)의 종류(種類), 재배방식(裁培方式) 및 기계화(機械化) 상태(狀態)에 적합(適合)한 형태별(形態別)로 제조(製造)됨이 바람직함. 완효성(緩效性) 질소비료(窒素肥料)의 제조(製造)에는 화학합성(化學合成), 성형화(成形化), 흡착화(吸着化) 및 피복화(被覆化) 방식중(方式中) 성형화(成形化)에 의한 것이 최다(最多)이나 피복화(被覆化)도 재료(材料)와 기술(技術)의 발전(發展)에 따라 증가(增加)의 경향(傾向)임. 2. 현존(現存) 복합비료(複合肥料)의 토양(土壤) 및 작물(作物)에 대한 적합성(適合性)을 재검토(再檢討)하여 효율(效率)을 높히도록 개량(改良)함. 3. 소시비방식(少施肥方式)의 영농(營農)으로서 환경(環境)을 오염(汚染)으로부터 방호(防護)할 것이며 4. 작물종류(作物種類)(품종포함(品種包含)) 유전자형별(遺傳子型別) 비료감응성(肥料感應性)을 검정(檢定)하여 소시비(少施肥), 고효율(高效率)을 기(期)하도록함. 5 작물(作物)의 영양생리학(營養生理學) 분야(分野)에서도 비료외적(肥料外的)인 성장관련요인(成長關聯要因)의 작용(作用)을 연구(硏究)하여 응용(應用)의 가능성(可能性)을 추구(追究)함이 미래(未來)의 한 과제(課題)가 될 것으로 생각됨. 예(例): 유전공학적(遺傳工學的) 기법(技法)에 의한 성장인자(成長因子)의 개량(改良) 또는 시비효율(施肥效率)의 증대(增大) 작물성장(作物成長)과 미생물활동(微生物活動)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 등(等). 6. 가용(可用) 자원(資源)의 비료화(肥料化)를 위하여 타산업(他産業)의 부산물(副産物) 및 폐기물(廢棄物) (특히 유기질(有機質) 자원(資源))을 효율적(效率的)으로 재활용(再活用)하도록 함.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