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현적 특성

Search Result 3,45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Emotional Fashion Design Using Light (빛을 활용한 감성 패션디자인 연구)

  • Jo, Min-Yeong;Choe, G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214-217
    • /
    • 2009
  • 현대 패션분야에서 디자이너들의 예술적 표현의 주제이자 매체로서 활용되고 있는 빛은 보다 감성지향적인 방향으로 발전되는 추세로서, 빛을 활용한 감성 패션디자인에 대한 표현 방법과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패션디자인에서 빛을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빛의 반사, 이미지 표현, 발광, 투사에 의해 독창적으로 응용되어져 표현되어 왔으며, 다양한 빛의 표현을 위해 재료의 물성을 조작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빛의 유희, 명암이나 형태, 색채를 통한 빛의 재현, 발광물질이나 인공광에 의한 발광, 프로젝터를 통한 빛 이미지 등 다양한 표현방법이 활용되고 있었다. 빛이 활용된 감성 패션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으로는 상호작용성, 영상성, 투명성, 실험성으로 분류되었다. 상호작용성은 착용자의 행위에 의한 변형과 신체의 변화나 감정의 변화에 의한 불빛이나 영상 패턴이 바뀌는 등 형태나 컬러, 영상의 변형 등 착용자의 메시지 전달이나, 감정표현, 신체보호, 그리고 재미를 유발하는 효과를 자아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성은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것과 내부 광원에 의한 발광성으로 분류되며, 드레스에 장착된 수많은 LED 에 의한 영상을 만들거나 이미지를 확대시키는 방법으로 표현된 영상성은 심미적인 효과가 우선시되었다. 투명성은 주로 비닐, 플라스틱, 기능적 소재 등 투명한 소재들을 이용하여 대부분 재료의 특성이 조형적 특성으로 분석되었고, 외부와의 개방성과 위장가능성의 효과를 준다거나, 투명한 재질에 이미지가 변화하는 이미지의 중첩성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성은 새로운 실험적 도구로서의 패션을 표현하고자 할 때, '빛'을 매개체로 하여 관심을 유도하고 재미를 더해주며, 신비주의적 환상이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빛을 활용한 패션디자인은 빛을 매개체로 하여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유의 조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User′s Characteristic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Avatar Acceptance (사용자 특성이 아바타 수용에 미치는 영향)

  • Lee, Seung Hyun;Choi,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93-108
    • /
    • 2003
  • 최근 들어 신세대들은 온라인을 통해서 아바타를 활용하여 가상공간 속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바타는 ‘분신’, ‘화신’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로 가상공간에서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이다. 가상공간 속에서 오프라인 상에서 표현하지 못한 자신만의 캐릭터를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개인의 개성을 표출하고 있다. 이러한 아바타의 출현으로 인터넷에서의 자기표현 방식이 외향적인 형태로 변화하는데 이는 새로운 표현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새로운 개념을 수용하는데 있어서 그들이 잠재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특성에 따라서 아바타의 표현이 다각적으로 연출되고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는 신세대들의 자기표현 방식이 다양하기 때문이다고 할 수 있겠다. 신세대들은 또한 새로운 정보통신 기술이 매체를 통해 보급될 경우 수용도가 다른 세대에 비해 빠르다. 이렇듯 아바타의 도입과 활용은 신세대의 자기표현의 상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웹과 핸드폰을 통해서 2D 기반의 아바타가 활용되고 있으며, 신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어지고 있는 3D 핸드폰 아바타의 수용도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아바타 개발과 활용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신세대들의 특성에 따른 아바타의 수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아바타의 수용에 관한 이론은 심리적 특성 이론으로 자아 존중감, 유행 선도력, 소비가치 등이 있으며, 사용자 수용 이론으로 혁신 성향, 유흥 성향 등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신세대 대학생들의 특성에 따라서 아바타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들의 특성을 심리적 특성이론과 사용자 수용이론으로 구분하여 이 특성에 따라서 향후 개발될 3D 핸드폰 아바타의 수용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대한 자료 수집방법은 D대학교의 교양과목인 “사이버문화의 이해와 활용”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170부를 설문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한 총 164부를 유효한 설문으로 확보하였다. SPSSWIN 10.0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Cronbach's Alpha값을 통한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성 분석을 하고, 연구변수로 선정한 각 요소들의 아바타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특성과 사용자 수용 특성은 아바타 수용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 결과가 나타났다.

  • PDF

A Descriptor for Characteristics of Local Motion in a Video (비디오 영상에서 지역적 움직임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기술자)

  • 김형준;김회율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359-36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영상에서 지역적 움직임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지역적 움직임 활동(motion activity)에 관한 기술자(descriptor)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화면 전체에 대해 지역적으로 높은 움직임 활동 정도를 갖는 영역에 대한 공간적 정보를 기술하고, 카메라 움직임에 무관하게 물체의 움직임 활동 특성을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 움직임 벡터의 통계적 특성과 화면 분할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움직임 활동의 공간적 특성을 이용하면 동영상에서 화면의 일부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을 이용한 검색이 가능하고, 물체 추적, 감시 시스템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실험으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해서 움직임 활동이 높은 영역의 추출과정을 보이고, 이를 이용한 검색 결과를 보인다.

  • PDF

언명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

  • Seong, Hae-Gyeong
    • 한국게임학회지
    • /
    • v.6 no.1
    • /
    • pp.55-57
    • /
    • 2009
  • 멀티미디어 정보 표현에 있어서 서로 다른 미디어간의 동기화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멀티미디어 특성이 적용된 게임 개발에 있어서 각각의 시각 객체들이 시간 경과에 따라 공간 영역에서 동시에 움직여야 하므로 게임에서 필요한 멀티미디어적인 게임 요소들을 게임 운용상에 적절히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게임 장면을 통한 시간과 공간 개념의 동기화가 필요하고 게임 객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시공간 특성이 논리적으로 설계되어 게임을 운용시켜야 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혼합된 형태의 미디어로 구성된 데이터의 표현을 위해서는 객체가 나타내는 상대적인 위치와 상대적인 시간을 나타내 주는 공간 합성과 시간 합성을 명시할 수 있는 정형화된 표현 연구가 요구된다. 간(刊)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시간적 동기화와 공간적 동기화 각각에 대한 표현에 많이 치우쳐 있으므로 시간과 공간이 통합된 미디어들의 동기화 표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시공간이 통합되지 않는 기존의 멀티미디어 표현법을 게임 개발에 적용할 때에는 게임에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간의 원활한 동기화 표현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게임 시나리오 스케치에서 나타난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개념이 적절히 표현될 수 있는 정형적 연구가 필요하다. 간(刊)본 논문에서는 시간 개념과 공간 개념이 통합된 형태의 시공간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하여 명세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시간 및 공간 개념을 적절히 변형하여 표현될 수 있도록 시간 및 공간 동기화가 통합된 새로운 표현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게임 요소들의 시간적, 공간적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언명으로 정의하고 시공간 관계성에 대한 확장을 제시한다. 간(刊)본 논문이 제안하는 언명 기반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an Assertion-based Multimedia objects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model : AMSTES)는 시간과 공간 모두에 적용되는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동기화 표현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 생성을 위한 시공간 공식을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Expressional Feature of <> by Art Spigelman (아트 슈피겔만의 <<쥐>>에 관한 표현적 특성 연구)

  • Choi, Ji-Young;Kim, Chee-Yo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9 no.3
    • /
    • pp.413-422
    • /
    • 2008
  • On Expressional Feature of by Art Spigelman who won the Pulitzer Prize in 1992, first in the works background of Spigelman, $60{\sim}70's$ the author sends an adolescence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work investigated a periodic situation and the environment where becomes the creation background of <> and researched. Second, in narrative special quality it was researched about fablelic narration, narration of documentary, doublespeak, frame formula configuration. Third, in formal quality, <> being based on Scott McClould's cartoon theories analyzed with structure. Last, <> was investigated in form.structural completion degrees with Spigelman peculiar expressive techniques, photos, informality illustrations, maps that were expressed the realism strongly were analyzed.

  • PDF

Representation of Spatio-Temporal Relations for Understanding Object Motion in Video (비디오의 객체 움직임 이해를 위한 시공간 관계 표현)

  • Choi, Jun-Ho;Cho, Mi-Young;Kim, Pa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883-885
    • /
    • 2005
  • 비디오 데이터에서 의미적 인식을 위해 활용되는 요소 중 하나가 객체에 대한 움직임 정보로 이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색인과 내용 기반 검색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객체기반 비디오 검색과 비디오의 움직임 해석을 위한 시공간 관계 표현 방법을 제시한다. 비디오의 객체표현 방법은 Polygon-based Bounding Volume의 3차원 Mesh 모델을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비디오 내 개체의 구조적 내용을 저차원적 속성과 움직임에 대한 기본 구조로 활용하였다. 또한, 움직임 객체에 대해 시공간적 특성과 시각적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표현되도록 하였다. 각 Vertex는 시각적 특징 중 일부분이고, 비디오 내 개체의 공간적 특성과 개체의 움직임은 Volume Trajectory로 모델링되고, 개체와 개체간의 시공간적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Operation을 정의한다.

  • PDF

Space-variant Image Representation based on Properties of Ganglion Cells in Retina (망막의 신경절 세포 특성에 기반한 다해상도 영상 표현 방법)

  • 강성훈;이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351-35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영상 처리를 위해 생물 시각 시스템의 특성을 반영하는 영상 표현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방법들이 단순화된 특성들만을 이용한 것인데 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고등 생물의 시각이 독립된 처리 경로를 가진 다는 점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각 처리 경로의 시작이 되는 두 가지의 신경절 세포가 가지는 수용장의 분포 및 크기의 특성을 독립적으로 고려하여 각각 인식 및 움직임 정보 처리에 효율적인 영상 표현을 얻어낸다. 제안된 방법에 대한 실험 및 분석을 통하여 본 방법이 영상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축약시켜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A Feature Re-weighting Approach for the Non-Metric Feature Space (가변적인 길이의 특성 정보를 지원하는 특성 가중치 조정 기법)

  • Lee Robert-Samuel;Kim Sang-Hee;Park Ho-Hyun;Lee Seok-Lyong;Chung Chin-Wa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3 no.4
    • /
    • pp.372-383
    • /
    • 2006
  • Among the approaches to image database management,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CBIR) is viewed as having the best support for effective searching and browsing of large digital image libraries. Typical CBIR systems allow a user to provide a query image, from which low-level features are extracted and used to find 'similar' images in a database. However, there exists the semantic gap between human visual perception and low-level representations.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overcoming this semantic gap involves relevance feedback to perform feature re-weighting. Current approaches to feature re-weighting require the number of components for a feature representation to be the same for every image in consideration. Following this assumption, they map each component to an axis in the n-dimensional space, which we call the metric space; likewise the feature representation is stored in a fixed-length vector. However, with the emergence of features that do not have a fixed number of components in their representation, existing feature re-weighting approaches are invalida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feature re-weighting technique that supports feature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can be mapped into a metric space. Our approach analyses the feature distances calculated between the query image and the images in the database. Two-sided confidence intervals are used with the distances to obtain the information for feature re-weighting. There is no restriction on how the distances are calculated for each feature. This provides freedom for how feature representations are structured, i.e. there is no requirement for features to be represented in fixed-length vectors or metric space.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approach and in a comparison with other work, we can see how it outperforms previous work.

Design of the surface characteristics measurement system for objective expression of texture (질감의 객관적 표현을 위한 표면 특성 측정장치의 설계)

  • 문지성;권영화;이주영;강대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6-21
    • /
    • 1997
  • 인간은 접촉을 통해 여러 가지 정보를 받아들이고 있으며 피부와 물체표면과의 접촉에 의한 느낌은 인간의 감성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같은 질감에 대한 느낌을 측정하여 객관적인 값으로 표현된다면 의류, 종이, 자동차등 대부분의 산업분야에서 제풀을 디자인하는데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인간이 촉감을 느낄 때의 Mechanism과 촉감에 가장 큰 관계를 가지는 마찰력에 대해 조사하여, 이를 응용한 표면 특성 측정장치를 설계 제작하였다. 또한 인간이 제품의 표면질감을 느낄 때의 주관적인 표현을 직물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대표형용사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주관적인 질감 표현과 같은 직물을 표면 특성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얻어낸 측정값과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질감의 객관적인 표현을 연구하는데 이용하였다.

  • PDF

A Study on Expression of Contemporary Ceramic Decoration Using Pop Art (팝아트 기법을 활용한 현대 도자 장식 표현 연구)

  • Choi, Jung-Hwa;Choi, Yoon-J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1
    • /
    • pp.447-45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pop art style and motif expressions in the works of artists by analyzing the theoretical study of pop art and analyze how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re applied to ceramic wor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work, various images of everyday objects in popular culture are expressed in various ways such as bright and colorful colors, silk screen, lettering, photo montage, cartoon expression, object, collage, decoupage, It is believed that the art of ceramics will be created as a creative work that reinterprets the artistic value rather than reproducing the art based on the technique of pop art. I look forward to th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