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피양 암종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5초

폐의 저 등급 점액표피양 암 - 2 Cases - (Low Grade Mucoepidermoid Carcinomas of the Lung)

  • 최영호;김태식;신재승;황재준;손영상;김학제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25-230
    • /
    • 1998
  • 폐에 발생하는 점액표피양 암종은 기관 및 기관지 점막하선에서 발생하는 드문 악성종양이다. 저자들은 좌측 주기관지와 우측중간 기관지에 발생한 점액표피양 암종을 각각 수상절제술 및 폐엽절제술로 치료하였다. 수술 후 별 합병증 없이 각각 3년, 18개월간 추적관찰중이다.

  • PDF

다형선종 수술 후 발생한 이하선 점액표피양암종 (A Case of Mucoepidermoid Carcinoma after Superficial Parotidectomy for Pleomorphic Adenoma)

  • 유준혁;박민우;백승국;채양석;정광윤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1-33
    • /
    • 2012
  • Mucoepidermoid carcinoma is most frequent malignant tumor of parotid gland. However, mucoepidermoid carcinoma arising from pleomorphic adenoma has been disputed and rarely reported. 54-year-old woman with pleomorphic adenoma underwent superficial parotidectomy. And 15 years later, she diagnosed mucoepidermoid carcinoma at the same side. We report the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

한국인의 구강내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 빈도와 조직병리학적 특성 (The Prevalence and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Oral Minor Salivary Gland Tumors in Korean Patients)

  • 유미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07-214
    • /
    • 2008
  • 본 연구는 구강내 발생하는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 빈도와 조직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후향적 연구로서 한국인에서 나타나는 소타액선 종양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1990년부터 2006년 8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영동 세브란스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에 내원한 200명의 소타액선 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치과 및 의과 임상 기록지 검토와 H/E 슬라이드를 재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00명의 환자 중 양성 종양은 123예(61.5%), 악성종양은 77예(38.5%)였으며 남성에서는 87예, 여성에서는 113예였다. 2. 가장 흔하게 발생한 소타액선 종양은 다형성 선종이며 선양 낭성 암종, 점액표피암종, 와틴씨 종양, 선암종과 다형성 선종에서 발생한 악성 종양, 림프관종 등의 순이었다. 3. 호발 부위는 경구개(42.5%), 연구개(9%), 협점막(6%), 입술(3.5%) 부위였다. 4. 발생 연령은 4세부터 70세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50대에서 가장 많았다. 양성 종양의 발생 평균 연령은 46.2세였으며 악성 종양의 발생 평균 연령이 56.1세였다. 5. 다형성 선종은 가장 호발한 소타액선 종양으로서 모두 104예였으며 남성 38명, 여성 66명에서 발생하였다. 평균 발생 연령은 46.7세였으며 구개 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은 관 구조 형성, 별 모양, 다각형, 방추형, 형질세포양(plasmacytoid), 연골양, 점액양 구조를 보였으며 불완전한 피막과 종양 피막을 뚫고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6. 선양 낭성 암종은 가장 호발한 악성 타액선 종양으로 모두 32예였으며 남성 16명, 여성 16명에서 발생하였다. 평균 발생 연령은 57.4세였으며 경구개 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은 cribriform pattern, 관상 구조, 판상 구조 형성, 종양 세포의 신경 주위 침습 등을 보였다. 7. 점액표피암종은 모두 25예였으며 남성 10명, 여성 15명에서 발생하였다. 평균 발생 연령은 50.0세였으며 경구개 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은 점액 세포, epidermoid-type 세포, intermediate cell의 분포가 대부분 저등급을 보였다. 이외에도 와틴씨 종양, 선암종과 다형성 선종에서 발생한 악성종양, 림프관종 등이 발생하였다. 8. 한국인의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 빈도는 양성 종양이 높으며 특히 다형성 선종이 많았고 여성 발생, 구개 부위 발생이 많았으며 다형성 저등급 선암종 등 특정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이 극히 적었다.

  • PDF

점액 표피양 암종의 치험례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MOUTH FLOOR)

  • 손용준;노재형;고영규;김종하;이희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1호
    • /
    • pp.70-78
    • /
    • 1997
  • Mucoepidermoid carcinoma occurs more freguently than any other in the major sacivary glands. It is relatively more common in parotid than in submandibular gland. Stewart at al published the first large series of these tumors in 1945 and suggested the name "Mocoepidermoid tumor". Now it is divided three categories : low-grade, intermediate-grade, high-grade. And Mucoepidermoid carcinomas are composed of mucous cells, epidermoid cells, and intermediate cells. We freated low-grade mucoepidermoid carcinoma patient with induction chemotherapy, surpery, and adjuvomt chemotherapy.

  • PDF

이하선 다형성 선종의 괴사 (NECROSIS OF A PAROTID GLAND PLEOMORPHIC ADENOMA : A CASE REPORT)

  • 유선열;백승;박홍주;최홍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2호
    • /
    • pp.165-169
    • /
    • 2004
  • 본 증례는 우측 이하선에 종물을 가진 50세 여자 환자에서 술전에 시행한 세침흡인검사와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및 술중에 시행한 동결생검에서 괴사소견으로 인해 점액표피양암종으로 진단되어 우측 이하선 전적출술과 경부청소술 등을 시행하였으나 수술 후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괴사를 동반한 다형성 선종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괴사를 동반한 다형성 선종에서 보이는 편평 상피세포는 점액표피양암종에서 나타나는 편평세포의 특징으로 오진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본 증례는 악성종양으로 잘못 진단할 수 있는 다형성 선종의 괴사와 조직병리학적 특징들을 이해함으로써 임상의사들의 오진 가능성을 예방하고 다형성 선종의 진단과 치료에 주의해야 함을 시사한다.

구강저암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floor of Mouth Cancer)

  • 이국행;심윤상;오경균;이용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93-93
    • /
    • 1993
  • 저자들은 1985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병리 조직학적 확진을 받은 100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그 임상상과 병기별 분류, 치료에 따른 결과와 생존율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연령별로는 50대, 60대의 순이었으며, 남녀비는 4.6:1로 남자에서 많았다. 흡연자가 95명이었고, 하루에 필터담배 1갑 이상을 흡연하는 경우가 13명이었다. 음주의 경우 하루에 2홉들이 소주 1병 이상을 섭취하는 음주자가 51명이었다. 대부분의 경우인 95례에서 편평세포암종이었고, 그 이외에 선양낭포암종, 점액표피양암종 등이 있었다. 병기별로는 4기가 62례로 가장 많았고, 림프절 전이의 경우 71례에서 병리 조직학적으로 확진되었다. 2례에서 원격전이가 있었고, 1례에서 다발암이 확인되었다. 치료방법에 따른 5년 생존율은 주로 초기 암종의 경우 외과 단독요법만을 시행하였고, 71.4%의 좋은 결과를 얻었다. 항암약물요법에 상관없이 방사선조사를 시행한 경우는 대다수가 진행성 암종이었고, 전례에서 사망하였다. 방사선 외과 복합요법의 경우, 5년 생존율은 32.4%이었다.

  • PDF

하악에 발생한 중심성 점액표피양암종: 증례보고 (Central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Mandible: Case Report)

  • 이충상;김소미;남웅;차인호;김형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5호
    • /
    • pp.440-444
    • /
    • 2011
  • Mucoepidermoid carcinoma generally arises from salivary glands and represents 5~10% of all salivary tumors. Arising within the jaws as primary central bony lesions, central mucoepidermoid carcinomas are extremely rare, accounting for only 2~3% of all mucoepidermoid tumors. Central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mandible was first reported in 1939 and since then approximately 100 cases have been documented in the literature. Several hypothese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the pathogenesis of intraosseous salivary tumors. The most likely source of most intraosseous tumors is odontogenic epithelium. Waldron and Mustoe suggested that central mucoepidermoid carcinoma be included in primary intraosseous carcinoma of the jaw. We report here on a case of central mucoepidermoid carcinoma affecting the mandible and discuss the clinical, radiographic, and histological findings.

다수의 전이병소를 수반한 하악골의 중심성 점액표피양암종 (CENTRAL MUCOEPIDERMOID CARCINOMA ARISING IN MANDIBLE WITH MULTIPLE METASTASES)

  • 소병천;이영호;최순철;박태원;유동수
    • 치과방사선
    • /
    • 제27권1호
    • /
    • pp.263-271
    • /
    • 1997
  • The authors diagnosed a 54-year-old male as central mucoepidennoid carcinoma after undergoing clinical, radi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The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ed : 1. Clinically, the patient complained of the painless unilateral swelling of the left mandibular molar region and had a pus discharge through the fistula. Painful nodule was palpated on the scalp of the left frontal area and it was regarded as a metastatic lesion. 2. Plain radiographs showed the ill-defined permeative radiolucent lesion. The osteolytic lesions were also detected in the cranial bone, number 9 and 11 ribs, scapula, and vertebral bodies. 3. The mandibular CT and PNS MRI showed the swelling of the left mandible and the enlargement of the several lymph nodes of 1.5 cm in size. 4. Histopathologically, many solid epidermoid type cells were mixed with mucus-secreting cells and they were arranged in duct-like structure. Most of them were epidermoid type, which indicates a high grade tumor. Mucins could be found in mucicamrine staining.

  • PDF

소아 비인강에서 발생한 점액표피양암종 1례 (A case of nasopharyngeal mucoepidermoid carcinoma in a 5 year-old female patient)

  • 윤소연;김미주;김민범;홍현준;송기재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9-92
    • /
    • 2018
  •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only represent 0.08% of all childhood tumors. Especially, nasopharyngeal mucoepidermoid carcinoma(MEC) in pediatric age is an extremely rare malignancy. We hereby report a case of nasopharyngeal MEC in 5 year-old female patient. The patient underwent the complete removal of the tumor by endonasal endoscopic approach. Adjuva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not considered. After 3.5 years of follow-up, there are no sign of recurrence and metastasis. Minor salivary gland tumor must be considered as a differential diagnosis of angiofibroma in nasopharynx in pediatric age. To our knowledge, the case we describe is the third case of nasopharyngeal MEC in pediatric age reported in literature.

점액표피양암종 세포주에서 Kochia scoparia 추출물의 세포자멸과 자가포식 유도 효과 (Apoptosis and Autophagy Induced by Methanol Extract of Kochia scoparia in Human Mucoepidermoid Carcinoma Cell Line)

  • 도미향;유미현;김욱규
    •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167-174
    • /
    • 2018
  • Natural products are vastly utilized as a source of chemotherapeutic agents for human cancers. Kochia scopraia is traditionally used for the cure of urological and dermatological diseases. Recently, methanol extract of Kochia scoparia (MEKS) has been shown to have anti-cancer activity to various human cancers. However, there is no report demonstrating the anti-cancer activity of MEKS in human mucoepidermoid carcinoma (MEC) cells. In this study, the authors studied the effects of MEKS on the cell proliferation and underlying mechanism in YD15 human MEC cells. MEKS decreased YD15 cell proliferation proven by trypan blue exclusion assay and induced apoptosis, evidenced by cell cycle analysis and western blotting. Autophagy induction by MEKS was verified by western blotting. In addition, MEKS regulated the expression of phosphorylated Akt, phosphorylated p38 and Nrf2 protein. This results can imply that MEKS might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human MEC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