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층 수온

Search Result 45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On the Marine Environment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in Early Summer 2004 (이른 여름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특성)

  • Yoon, Yang-Ho;Park, Jong-Sick;Soh, Ho-Young;Hwang, Doo-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8 no.2
    • /
    • pp.100-110
    • /
    • 2005
  • We carried oui a study on the marine environment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such as chlorophyll a, species composition, dominant species and standing crop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during early summer of 2004.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 T-S diagram, thre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were identified. We classified them into the coastal water mass, the cold water mass and the oceanic water mass. The first was characterized by the low temperature and the low salinity originated from China territory, the secondary was characterized by the low temperature, the low salinity and the high density originated from bottom cold water of Yellow Sea, and the third was done by the high temperature and salinity originated from Tsushima warm current. The internal discontinuous layer among them was farmed at the intermediate depth (about $5{\sim}30m$ layer). And the thermal front by upwelling region between the cold water mass and Tsushima warm current appeared in the central parts of the South Sea of Korea.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urface and stratified layers was a total of 44 species belonging to 26 genera. Dominant species were Prorocentrum triestinum, Scrippsiella trochoidea, Skeletonema costatum & Leptocylindrus mediterraneus.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in the surface layer fluctuated between $0.3{\times}10^3$ cells/L and $10.8{\times}10^3$ cells/L. Diatoms appeared mainly in the Tsushima warm current regions, and flagellates occurred in the frontal zone and the low salinity regions where was the transfer areas of Chinese continental coastal waters. Chlorophyll a concentration by controlled phytoflagellate ratio in the South Sea of Korea was high values in the frontal zone and sub-surface layer. It was high concentration in the upwelling and coastal waters regions, but low concentration in the Tsushima warm current regions. The Chl-a maximum layers appeared in the thermochline depth or sub-surface layer lower than thermocline. The phytoplankton production in the South Sea of Korea was controlled by the expanded coastal waters of Chinese Continent which include a high concentrations of nutrients.

  • PDF

The Ecosystem of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I.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Primary Productivity in September, 1994 (한국 동해 남부 연안생태계 연구 1. 1994년 9월에 있어서의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1차생산력)

  • LEE Joon-Baek;HAN Myung-Soo;YANG HanR-Seob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1 no.1
    • /
    • pp.45-55
    • /
    • 1998
  • Phytoplankton community and primary productivity have been investigated in a fall season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last Sea, Korea. A strong thermocline formed at the 20\~60\;m$ layer and a cold water mass also existed in the bottom around Yong-il Bay. The offshore of the surveyed area was likely to be influenced by relatively warmer water, whereas the inshore represented Higher primary productivity with lower water temperature and lower salinity. A total of 133 species of phytoplankton occurred, representing 107 spp. of diatom, 23 spp. of dinoflagellate 3 spp. of silicoflagellate. Skeletonema costatum and Asterionellepsis glacialis were most predominant with more than $30\%$ dominance ratio, while Leptocylindrus danicus was also dominant at all transect lines.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2.7{\times}10^3\;to\;141.6{\times}10^3\;cell^{\ell-1}$. Chlorophyll a concentration varied with stations and layers, but the $30\~50$ m layer showed maximun with about $1.18{\mu}g{\ell}^{-1}$ rather than at the surface layer. It is believed that the maximun in standing crops and chlorophyll of phytoplankton formed at the $20\~50$ m layer above the thermocline during the survey.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vity ranged from 0.32 to 3.04 mgC $m^{-3}\;hr^{-1}$, showing higher at the inshore than at the offshore. The range of integrated primary productivity was $263.3\~1085.5 mgC\;m^{-2}\;day^{-1}$ for the euphotic layer. Photosysthesis rates varied with the range from 0.76 to 8.04 mgC mgChl $\alpha^{-1}\;hr^{-1}$. Phytoplankton photosynthesis at the inshore was saturated at lower irradiance ($15\~35\%$ of surface) and showed higher efficiency, Thus, it revealed that the phytoplankton community probably adapted to the middle of euphotic layer because the depth of mixing layer became thinner due to the formation of thermocline.

  • PDF

Analysis of Turbid Water Distribution in Daegok and Sayoun Reservoir (대곡.사연댐의 호내 탁수거동 분석)

  • Lee, Sang-Uk;Kim, Jeong-Kon;Noh, Joon-Woo;Park,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94-1697
    • /
    • 2008
  • 하절기의 태풍 및 장마시 유입되는 탁수는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저해하는 요소로서, 현재 일부댐에 이러한 탁수의 장기화를 방지하고 탁수로 인한 하류부의 영향기간을 줄이기 위하여 선택취수시설이 설치되어 운영중에 있으며, 많은 댐을 대상으로 탁수발생 현상에 대하여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탁수거동 분석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화강수계의 대곡천에 위치한 대곡댐 및 사연댐에 대하여 강우시 호내에 유입된 탁수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CE-QUAL-W2 모형을 구축하였다. 유입 탁도자료는 2007년 하절기 강우시 실측된 결과를 이용하였으며, 탁수가 유입된 이후 일별로 호내에서 측정된 수심별수온 및 탁도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보정하였다. 유입 이전의 조사시 표층 및 심층의 수온차이가 $1^{\circ}C$ 미만으로서 수온성층이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탁수 유입시 탁수층이 중층 이하에서 바닥층까지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정결과 침강보다 자연적인 소멸 등의 침강 외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탁도가 저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댐축에의 탁수층 도달시간을 검토한 결과 대곡댐은 18시간 이내, 사연댐은 30시간 이내에 댐축에 도달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댐별 저수용량이 각각 9월 14일 기준으로 $10.3\;Mm^3$$17.2\;Mm^3$으로서 60% 가까운 차이를 보이나, 9월 18일 기준으로 $18.2\;Mm^3$, $24.2\;Mm^3$로 나타나 각각 $7.9\;Mm^3$, $7.0\;Mm^3$의 저수용량증가를 나타내었다. 실제로 유입된 양의 차이는 크지 않은 반면에 초기 체적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10.3\;Mm^3$, $17.2\;Mm^3$의 약 60% 차이)으로써 이러한 탁수층이 댐축에 도달하는 시간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Vertical Distributio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Eggs and Larvae (멸치, Engraulis japonica 난${\cdot}$치어의 연직분포)

  • KIM Jin-Yeong;CHOI Young-Mi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1 no.3
    • /
    • pp.139-144
    • /
    • 1988
  •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eggs and larvae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were studied based on ichthyoplankton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Sea of Japan off Korea during the summer of 1985 and 1986. Thermoclines occurred at the surface layer in the coastal area and at the sub-surface layer in the offshore area in the early summer of 1985. However, they occurred at the surface layer throughout the summer of 1986. Anchovy eggs and larvae were abundant in the offshore in 1985 and in the coastal area in 1986. It seems that the spawning ground of anchovy in 1985 shifted to the offshore owing to the sloping of thermoclin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layer of anchovy eggs by developmental stage, the eggs in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 were abundant at $0\~30m$ layer about 06:00. But the eggs in the late developmental stage were abundant at $30\~100m$ loom layer about 24 : 00.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chovy spawn at the $0\~30m$ layer at night and eggs tend to sink to the $30\~100m$ layer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 PDF

비단가리비 인공종묘 생산

  • 박기열
    • Korean Aquaculture
    • /
    • v.14 no.2
    • /
    • pp.52-65
    • /
    • 2002
  • 비단가리비의 인공 종묘 생산을 목적으로 전라남도 신안군 대흑산도 주변에 서식하는 비단가리비를 대상으로 인공 종묘 생산을 위한 산란 유발, 수정란의 발생 과정, 유생 사육, 채묘 및 중간 육성 등 양식 생물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어미의 각종 산란 유발 자극에 대한 반응은 Serotonin 주사, 온도 자극, 혼합 자극에서 반응율이 가장 높았으며, 자외선 조사 해수 자극은 수컷만 반응을 하였고 간출 자극은 반응이 없어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란의 크기는 $69.5{\mu}m$이었고, 수정 후 약 2시간에 2 세포기, 8시간 후에 8 세포기, 20시간 후에는 담륜자 유생으로 부화하였으며 40시간 후에는 D상 유생으로 되었다. 수온별 비단가리비 유생의 성장은 수온 $20^{\circ}C$에서 각장 $178.9{\mu}m$로 가장 좋았으며, 이 때의 생존율은 15.5%이었다. 그러나 수온 $15^{\circ}C$에서는 낮은 성장을 보여 각장 $135.9{\mu}m$로 성장하였으며, 생존율도 9.8%로 저조하였다. 수용 밀도별 사육 시험에서 $1m{\ell}$당 1개체와 5개체에서 성장 및 생존율이 양호하여 성장 및 생존율을 볼 때 적정 사육 밀도는 $1m{\ell}$당 5개체 이하로 나타났다. 먹이 생물 종류에 따른 유생의 성장을 알기 위하여 I, gal-baba, C, calcitrans, N, oculata를 단독 또는 혼합으로 공급하였을 때 실험 종료후 각장의 성장은 I, galbana+C. calcitrans+N. oculata구가 $194.2{\mu}$로 가장 좋았고 N. oculata구는 $162.2{\mu}m$로 가장 낮은 성장을 보였다. 생존율에서는 I. galbana+C. calcitransoculata구는 9.4%로 가장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채묘기별 유생의 부착률은 염화비닐판을 수평으로 놓은 것과 패각이 각각 3.43%와 3.17%로 가장 양호하였으나, 양파망과 염화비닐판을 수직으로 놓은 것은 각각 1.52%와 1.61%로 비교적 저조하였다. 수정 후 40일째부터 90일째까지 측정한 부착치패의 경과 일수에 따른 각장의 성장은 $SL=184.44e^{0.0335X}(r^2=0.9861)$의 회귀직선식으로서 나타났다. 중간육성 시험에서 수심별 성장을 분석한 결과, 비단가리비 치패는 저층보다 표층이 각장 5.92mm, 전중량 6.07g 정도 더 빨리 성장하였다.

  • PDF

동지나해의 초음파 산란층에 관한 연구 ( 1 ) ( Acoustic Scattering Layers in the East China Sea ( 1 ) )

  • Lee, Dae-Jae;Shin, Hyeong-Il;Park, J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26 no.1
    • /
    • pp.14-19
    • /
    • 1990
  • This paper describ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oustic echoes from the scattering layers by the aggregation of marine organisms which was measured by using a 50kHz echo sounder on board of the training ship SAEBADA belong to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during the summer, 1989 in the East China Sea. A data acquisition system was used to record digitally the envelope of the echoes and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echo amplitudes on the whole water column was examined as a function of time during the sunrise and sunset periods. Acoustic data showed that the abundance distribution of marine organisms according to depth in the servery area changed with time and that the organisms were most active during the twilight of morning, and the echo strength on the water column or scattering layer was also strongest during this time. Additional results of this survey suggest that other interest,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biomass depth distribution, could be also investigated in hydroacoustic method.

  • PDF

Lake Current in the Surface layer during Thermal Stratification on Shibere Lake, Yamanashi Prefecture, Japan (일본, 산이현 사미련호에 대한 성층기 표수층의 호류에 관하여)

  • ;Tadashi ARAI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2
    • /
    • pp.145-155
    • /
    • 2003
  • In this research, the primary factors affected to the formation of lake current of surface layer and thermal stratification of temperate lake have been analyzed, the daily change of water temperature, relationship with lake current and the research about the elements of meteorological phenomenon have been implemented. As a result, the lake current of surface layer occurring while the period of thermal stratification is showing the proportional difference of water temperature, thermal exchange caused by this has been known as the main energy source, and this is, secondly, considering as the interaction of the wind driven current by the prevailing wind.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night time when the water surface is cooled, and it is considering as the vertical convection is occurring than horizontal circumfluence. Also, there exists the water mass, which is circumfluent counterclockwise and clockwise direction separately. The prevailing md is rather affected to the moving direction and moving speed of water mass, but it doesn't affect to the whole flowing direction.

An Evaluation on Water Quality Variations according to Weir Operation using Multi-dimensional Public Domain Models (다차원 수리·수질모형을 통한 하천의 이상상황 대응 모의)

  • Kim, Sung Hoon;Lee, Sang-Wook;Kim, Yeon-su;Noh, Joo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2-102
    • /
    • 2017
  • 갈수시 하천의 수질문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제어된다. 수질 그 자체는 상류나 지류의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의 증가 또는 예상치 못한 추가적인 오염원의 유출에 직접 영향을 받으며, 조류 등의 발생도 영향인자인 수온 및 일사량 또는 바람에 의존적이다. 최근 수년간은 특히 빈번한 가뭄조건의 발생으로 인하여 갈수기의 강우 및 유출량이 저조하여 상대적으로 하천의 조류발생이 다수 발견되고 보고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수질의 이상상태를 일시적으로라도 제어하기 위한 방편으로 유량의 증가, 인위적인 하천 수위의 변동 및 유속 변동 등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상류의 댐과 하천의 다기능보 등의 조절을 탄력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시설물 운영효과는 수질문제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의 일시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수리 수질 모델링이 이상 수질 발생시의 방제 및 사후분석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넘어서, 사전 설정된 조건에 의한 예측모의와 가이드라인의 연계방식이 효과적일 것이다. 본 연구는 수질 이상이 빈번히 발생되었던 낙동강의 칠곡 하류 하천을 중심으로 2차원 CE-QUAL-W2 모형과 EFDC모형을 병행 모의하여 다기능보 인근의 표층과 저층의 수온(밀도) 성층화 및 이의 해소와 관련된 수리모의 및 수질인자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리모형 구축의 적정성은 현장의 실측 수온과 모의결과 비교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구축된 수리 수질 모델을 이용하여 추가방류량 3~23백만$m^3$ 규모에서 발생하는 수리적인 수층혼합 현상과 일시적으로 저감가능한 수질개선 효과가 의미있는 수준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예측하였다. 또한, 다기능보의 수문방류 모의시에 개방조건을 0.3~3.5m로 달리하여 방류기간 중 총방류량이 유사하더라도 최대방류량 또는 유속이 충분치 않은 경우에는 혼합효과가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에서 밝혀진 조건들을 향후 보다 효과적으로 수치모의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EFDC모형의 내부경계조건을 다기능보의 문비조건(RSG, Lift 등)에 맞게 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한 뒤 모형을 부분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 PDF

Automation Survey Device of Water Surface Evaporation in The Yongdam Dam Experimental Basin (용담댐시험유역에서의 수면증발량 자동관측)

  • Lee, Hyun Seok;Kim, Yong Kuk;Cho, Hyoung Jin;Chae, Won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41-541
    • /
    • 2015
  • 댐 물수지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는 강수량, 유입 방류량, 토양수분량, 증발산량 등이 있다. 현재 육지에서의 증발산량은 대부분 에디공분산시스템에 의해 관측되고 있으며, 많은 전문가들이 양질의 자료를 산출하고 있다. 하지만 수면에서의 증발량관측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기후특성상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됨에 따라 효율적인 댐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댐관리의 주요 인자인 수면증발량은 현재 용담댐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용담댐의 수면증발량 관측은 2013년부터 수행되고 있고, 수면위에 플랫폼을 설치하고 팬 내부에 수심이 1 m인 대형증발팬을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관측된 수위자료는 호내 수온을 고려하여 수면증발량으로 환산된다. 관측항목으로는 팬 내 외부 및 저수지 표층 수온, 팬 내부 정밀 수위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상요소들이 있다. 2013년에 생산한 수면증발량은 풍향풍속, 수온, 상대습도, 복사량, 강수량 자료를 통해 정확도를 검증하였으며, Penman(1984)공식을 활용하여 실측 수면증발량과 추정 수면증발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용담호에서 자동 관측되고 있는 수위변동 자료를 활용해 수면에서의 증발량을 분석하였다. 2014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관측기간 중 최대 일증발량은 9.7 mm/day, 월 최대 일평균증발량은 3.5 mm/month(10월)로 나타났다. 수면에서 가장 많은 증발량이 나타난 시기는 10월 (증발량 : 107.6 mm, 강수량 : 122.9 mm)로 강수량의 약 88 %가 증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9월과 5월 순이었다. 증발량이 가장 많다고 예상되었던 7월과 8월의 경우는 각각 18일과 21일간 강수가 발생하였으므로 대기 중의 높은 습도로 인해 증발량이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수면에서의 증발량이 기상환경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수자원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지점에서의 수면증발 관측 및 기상요소와의 상관 성분석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 PDF

Seasonal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toplanktonic Pigments in Coastal Sea Water from Ullungdo and Dokdo Islands (울릉도와 독도 근해해역의 이ㆍ화학적 특성과 광합성색소의 계절적 변화)

  • 정지안;조은영;차재훈;김미경;김기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18 no.4
    • /
    • pp.425-440
    • /
    • 2000
  •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s of coastal seawater were investigated to know the seasonal variations of biological oceanographic environments in the Islands of Ullungdo(U) and Dokdo(D). The samplings of sea water according to different depths were performed four seasons (May, June, August and November) in five stations along the coast of Ullungdo Island and 3 times (June, August and November) in three stations around the coast of Dokdo Island. The seasonal variations of sea water temperature showed that the formation of thermocline in August was distinct in comparison to the other seasons. The sea water in the surface was influenced by low temperature-high salinity in May and with high temperature-low salinity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amount of seston was high in May (5.3-15.0mg/l) and was low in August (1.4-4.9mg/l) in ullungdo island. for the nutrients or sea water in Ullungdo Island, the concentrations of nitrate and ammonium were higher than Dokdo Island (nitrate-max. of U in August : 0.10-11.50$\mu\textrm{g}$/1, max. of D in August : 2.92-8.10$\mu\textrm{g}$/l : ammonium-max. of U in November : 14.18-20.69$\mu\textrm{g}$/l, max. of D in June : 0-1.78 $\mu\textrm{g}$/l). The high concen-tration of chlorophylls showed on the deeper layer from 30 m to 50 m in August (U 30 m : 0.85$\mu\textrm{g}$/l ; D 50m : 1.02 $\mu\textrm{g}$/l), while the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s were even in May, June and November in the deeper layer of surface layer. In conclusion, the establishment of thermocline in deeper area of the euphotic layer in August was a trigger far the development of phytoplankton, while the complex physico-chemical system by diverse currents and vertical mixing of sea water in the area induced the even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both epilimnion and hypolimnion in May, June and Novemb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