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층강도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19초

해역별 준설토의 침강압밀 및 매립지 표층강도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ation-Consolidation and Surface Strength for Dredging and Landfill Areas in Each Coast)

  • 이상웅;구본효;최차석;이준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7호
    • /
    • pp.15-22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해역별 준설토의 침강압밀 특성 및 투기장 내 매립된 준설매립토의 표층강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준설토의 자중압밀특성 분석을 위하여 Column test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기존의 문헌자료 및 해역별 준설토 투기장 설계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휴대용 콘 관입시험기를 이용하여 서해 및 남해 연안 주요 매립지에서 현장시험을 수행하고 준설토의 매립 후 표층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침강압밀계수는 남해안 지역의 준설토가 서해안 준설토 보다 초기 함수비에 대해 좀 더 예민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준설매립지의 표층강도는 서해안이 남해안보다 큰 강도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준설매립분야의 해석 및 설계를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표층처리를 위한 현장의 강도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bility of Soil Strength for Surface Treatment)

  • 양태선;김병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45-52
    • /
    • 2005
  • 대부분의 항만구조물은 초연약 지반상에 축조되고 있으며 도로나 건물부지에는 지반개량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사례연구를 통하여 표층처리후의 복토사례에 대하여 몇가지 고려사항을 언급하였다. 또한, 모래나 산토를 이용한 복토공법에 대하여 강도적용이 고려되었다. 국내 복토공법 토목섬유 인장강도는 15t/m, 복토두께는 1.6~3.1m, 점토지반의 표층강도는 $0.2{\sim}1.2t/m^2$이 대표적이다. 표층처리공 시공시 발생되는 지반교란, 점토유출, 장비전도 등의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상아질의 깊이에 따른 단일 단계 접착제의 결합강도 비교 (COMPARATIVE BOND STRENGTH OF SINGLE STEP ADHESIVES TO DIFFERENT DENTINAL DEPTHS)

  • 조영곤;진철희;민정범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4호
    • /
    • pp.319-326
    • /
    • 2005
  • 본 연구는 단일 단계 접착제의 표층과 심층 상아질에 대한 미세인장 결합강도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발거된 상$\cdot$하악 대구치의 교합면측에 있는 표층 상아질과 심층 상아질을 각각 15개씩 노출시킨 후, 사용된 접착제에 따라 AQ군, L-Pop군, Xeno군으로 분류하여 복합레진을 축조하였다. 각 시편은 상아질과 복합레진 계면의 단면적이 $1.0mm^2$이 되도록 절단하였고, 각 군 당 20개의 시편을 사용하였다. 각 군의 미세인장 결합강도의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층과 심층 상아질 모두에서 Xeno III는 다른 접착제보다 가장 높은 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p<0.05). 또한 모든 접착제는 심층 상아질에서 보다 표층 상아질에서 더 높은 결합강도를 나타내었으나 이들 간에 통계학적 인 유의성은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모형토조실험에 의한 초연약지반의 표층개량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Surface Improvement of High Soft Ground Using Calibration Chamber Test)

  • 방성택;연용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39-46
    • /
    • 2019
  • 준설점토를 활용한 연약지반은 장비주행성 및 진입로의 확보를 위해 시멘트 계 고화재 및 무기질 고화재 등을 활용한 표층고화처리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환경에 유해한 물질의 용출로 인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환경과 기능성을 모두 만족하는 표층고화처리 공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표층처리 공법으로는 조기강도와 장기적인 안정 등을 고려하여 시멘트계 고화재를 이용한 표층고화처리공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지반개량 효과가 크고 경제적 효율성으로 인해 국 내외에서는 시멘트계 고화재를 이용한 표층개량에 대한 연구과 수행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환경과 기능성의 문제가 제기되어 시멘트에서 발생되는 6가크롬(Cr6+), 수은(Hg) 등의 유해물질로 인해 지반오염과 환경문제가 발생되어 다양한 친환경적인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자연함수비의 준설점토를 시멘트와 친토양고화재를 혼합한 혼합토를 대상으로 동일한 배합조건 및 양생조건에 따른 일축압축강도를 분석하고 이 결과를 기준으로 표층개량범위 적용 및 실내모형토조시험을 수행하여 초연약지반의 강도특성 및 지지력 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지반 개량재에 의한 보강사면의 강우시 표면침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ainfall-induced Erosion of Land Surface on Reinforced Slope Using Soil Improvement Material)

  • 김유성;김재홍;방인황;서세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49-59
    • /
    • 2013
  • 본 논문은 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얕은 사면파괴와 토석류의 원인인 사면 표층에서의 침식과 세굴을 분석하기 위해 무보강 사면에 대한 모형토조 실험을 수행하고, 표면침식의 방지를 위해 flyash를 주재료로 사용한 식생가능 지반 개량재를 이용한 보강사면의 침식작용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2011년 국토해양부의 비탈면 설계기준에 따르면 우기시 사면의 안정성 평가는 지하수위를 지표면에 위치하여 해석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불포화 침투해석을 통한 사면 표층의 얕은파괴에 대한 설계기준을 제시하였다. 추가된 사면 안정성평가를 위해 본 연구에서 언급할 지반 개량재는 기존의 사면표층보호공법인 식생공법이나 이질재료를 덧붙여 보강하는 공법이 아닌 침식 및 세굴에 취약한 원지반토의 전단강도를 증가시켜 침식 및 세굴에 저항을 증가시키고, 표면에 식생이 가능한 지반개량재이다(Bhang, 2007). 본 연구에서 적용한 부분은 사면 표층의 강도 확인과 침식에 대한 감소, 그리고 사면의 안정성 평가에 대한 주된 논의를 하였다. 강우로 인한 표면침식을 확인하기 위해 강우재현장치를 실내에 구축하였으며, 실험결과로 표면침식의 크기는 시료의 전단강도의 크기에 따라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무보강 사면과 보강 사면의 표층에서 침식정도의 비율은 실험결과 1:5 정도로 큰 차이를 보였고, 표층에 흐르는 빗물로 인한 세류침식은 강우량 45mm(강우강도 110mm/hr 일 때, 25분 경과)의 크기일 때 무보강 사면에서 발생하였으나, 보강사면에서는 보다 강한 330mm(강우강도 110mm/hr 일 때, 3시간 경과)의 강우량에서도 세류침식을 발견할 수 없었다. 두 가지 사면의 안정성 검토에서, 우기시에 무보강 사면은 표층에서 사면파괴가 발생하였다. 사면 안정성을 위해 soil nailing으로 사면을 보강할 때보다 flyash로 제작한 지반 개량재로 표층을 보강할 때,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효율성 제고와 더불어 보다 신속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구통계학과 콘관입시험기를 이용한 과압밀의 비배수전단강도의 분석 (ANALYSIS OF UNDRAINED SHEAR STRENGTH OF OVERCONSOLIDATED CLAY USING GEOSTATISTICS AND CONE PENETRATION TEST)

  • 윤길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5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1-33
    • /
    • 1995
  • 지반공학 및 지반환경분야에서 문제의 관건은 표층과 흙의 성질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다. 표층의 상황은 어느 현장이나 공간적으로 그 성질을 달리하므로 기술자의 경험이나 지구통계학을 이용하여 적절한 현장의 상태를 분석하게 된다. 휴스톤대학에 위치한 미국국립시험현장에서 수행한 28개의 콘관입시험을 통해 얻은 자료를 가지고 지구통계학적분석을 하여 비배수 전단강도의 3차원적 형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구통계학의 유용함과 현장의 변화가 상당함을 쉽게 이해하게 된다.

  • PDF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용 혼합물의 강도특성 (The Strength Properties of Permeable Hot Mix Asphalt for Surface Course)

  • 이관호;함상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296-3301
    • /
    • 2011
  • 배수성포장은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데, 주요 효과로는 수막현상 최소화, 빗물에 의한 미끄럼저항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차량과 포장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켜준다. 도로소음 및 수막현상 감소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수성 포장 표층의 역학적 특성(강도 및 탄성계수)을 평가하는 것이다. 시험에 사용된 시편은 선회다짐기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배수성포장의 상부표층 및 하부표층용 시편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마샬안정도시험(KS F 2377), 자유단공진주시험(KS F 2730), 일축압축시험(KS F 2314), 슈미트햄머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일축압축강도 및 슈미트햄머를 이용한 강도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친환경고화재와 탄소섬유 보강토의 일축압축강도 특성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Stabilizers and Carbon Fiber Reinforced Soil)

  • 오세욱;양승환;김홍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8호
    • /
    • pp.13-19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풍화토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세굴 및 표층 붕괴 면의 표층 보강을 목적으로 탄소섬유와 친환경고화재(E.S.B.)를 혼합하여 일축 압축강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E.S.B.와 탄소섬유의 최적 배합비를 결정하기 위해 E.S.B.는 10%, 20%, 30%의 조건을 설정하였고, 탄소섬유는 0.3%, 0.6%, 0.9%, 1.2%로 설정하였다. 또한, 건조밀도 및 재령 기간에 따른 일축 압축강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최대건조단위 중량의 85%, 95%를 적용하고 재령 기간 3일, 7일, 28일로 설정하였다. 비탈면 표층 보강을 위한 기준 강도는 ACI 230.1R-09(2009)에서 7일 기준 4MPa, 28일 기준 6MPa로 제안하고 있다. 압축시험 결과 E.S.B. 보강토의 일축 압축강도는 다짐도 95%인 경우 E.S.B. 혼합비율 10% 이상에서 기준 강도를 충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친환경고화재(E.S.B.) 보강토에 탄소섬유를 혼합한 결과 일축 압축강도에 의한 항복점 이후 탄소섬유를 혼합한 조건에서 연성 형태의 파괴 형상이 나타나 항복 이후 발생하는 전도에 대하여 보완할 수 있으며, 탄소섬유 0.6% 혼합비율에서 최대강도를 발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탄소섬유 보강토는 탄소섬유를 혼합하지 않은 조건과 비교하여 일축 압축강도가 약 54~70%의 강도증가율이 나타났다.

가막만 표층 퇴적물의 금속 물질 분포 및 지화학적 특성

  • 이재성;김성수;정래흥;김귀영;박승윤;박종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65-166
    • /
    • 2000
  • 가막만은 반폐쇄성 해역으로 해수의 유통이 잘 되지 않고 주변에 여수시의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곳이다. 또한 양식어장 증가 및 화학공장의 건설 등 다양한 오염원의 증가로 만 북부에서는 하계에 빈산소 현상이 주년 나타나고 있어 수산피해가 우려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표층퇴적물과 주상 퇴적물에 함유된 유기물과 금속성분을 분석하여 각 성분의 지화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 물질의 오염원 분포 및 강도를 추정하는데 있다. (중략)

  • PDF

연약지반 표층혼합처리를 위한 조기강도 발현형 고화재의 개발 (Development of early strength type hardening Agent for Surface Soil Stabilization Method)

  • 기태경;김기훈;이병기;권오봉;김경민;박상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0-81
    • /
    • 2013
  • There is the increasing number of constructing soil or structure on the soft ground during public works. Usually cement or slag cement has been the traditional material for surface soil stabilization method. Recently, early strength development properties of hardening agent is required for driving abilities of execution equipment and shortening of the construction tim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arly compressive strength hardening agent for surface soil stabilization. The study was confirmed performance and availability of hardening agent using early strength type cement and industrial by-product minerals through early strength development properties in accordance with water cement ratio, content of hardening agent for soft soi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