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상 방법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ent2dl : Augmenting Distributional Semantics to Symbolic Sentence Meaning Representation based on Description Logic SROIQ (sent2dl : 기술논리 SROIQ 기반 기호적 문장 의미 표상에 분산 표상 더하기)

  • Schin, Seung-Woo;Oh, Ju-Min;Noh, Hyung-Jong;Lee, Yeon-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199-204
    • /
    • 2020
  • 기존의 자연어 의미 표상 방법은 크게 나눠보았을 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전통적인 기호 기반 의미 표상 방법론이다. 이 방법론들은 논리적이고 해석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구축에 시간이 많이 들고 정작 기호 자체의 의미를 더욱 미시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최근 대두된 분산 표상의 경우 단어 하나하나의 의미는 상대적으로 잘 파악하는 반면, 문장 등의 복잡한 구조의 의미를 나타내는 데 있어 상대적으로 약한 측면을 보이며 해석가능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둘의 장점을 섞어서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의미 표상을 제안하였으며, 이 표상이 유의미하게 문장의 의미를 담고 있음을 비지도 문장 군집화 문제를 통해 간접적으로 보였다.

  • PDF

An Analysis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Representation through Interaction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수학적 문제해결에서 상호작용을 통한 표상의 변환 과정 분석)

  • Lee, Min Ae;Kang, Wa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6 no.3
    • /
    • pp.427-450
    • /
    • 2012
  • Using representations is essential for students to organize their thinking, to solve problems and to communicate each other. Students express information or situations suggested by problems easily and organize and infer them systematically using representations. Also, teachers are able to comprehend students' levels of understanding and thinking process better through them, and influence their represent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of students uprightly and to seek implications for proper teaching of representations, by analyzing representations of student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representation via interactions.

  • PDF

Analyzing the Form, Presentation, and Interactivity of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Matter Units of Elementary Science Digital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디지털교과서의 물질 영역에 나타난 외적 표상의 양식과 제시 방법, 상호작용성 분석)

  • Kim, Haerheen;Shin, Kidoug;Noh, Taehee;Kim, Minhwan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1 no.2
    • /
    • pp.418-431
    • /
    • 2022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orm, presentation, and interactivity of external representations presented in the matter uni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digital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tic framework of the previous stud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matter units in the 3rd-6th grade science digital textbook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body texts" and "inquiries" area. The results revealed that visual-verbal and visual-nonverbal representations were presented the most. Conversely, audial-nonverbal representations were presented at a high frequency only in the body texts, and audial-verbal representations were presented at a low frequency in both the body texts and the inquiries. Regarding the presentation, when verbal and visual-nonverbal representations appeared together, visual-verbal and visual-nonverbal representations were primarily presented together. In some cases where visual-verbal, audial-verbal, and visual-nonverbal representations were presented together, information on visual-verbal and audial-verbal representations was presented redundantly. Audial-nonverbal representations unrelated to contents were presented along with other external representations, and the frequency was particularly high in the body texts. Regarding the contiguity, no visual-verbal and visual-nonverbal representations were presented on different pages, and no audial-verbal representations were presented asynchronously with visual-nonverbal representations. Regarding the interactivity, explanatory feedback and low-level manipulations were mainly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to improve digital textbooks a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ple representation-based learning.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Knowledge Embedding (지식 임베딩 심층학습을 이용한 단어 의미 중의성 해소)

  • Oh, Dongsuk;Yang, Kisu;Kim, Kuekyeng;Whang, Taesun;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272-275
    • /
    • 2019
  • 단어 중의성 해소 방법은 지식 정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지식 기반 방법과 각종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지도학습 방법이 있다. 지도학습 방법은 높은 성능을 보이지만 대량의 정제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다. 반대로 지식 기반 방법은 대량의 정제된 학습데이터는 필요없지만 높은 성능을 기대할수 없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지식내에 있는 정보와 정제된 학습데이터를 기계학습 모델에 학습하여 단어 중의성 해소 방법을 해결하고 있다.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지식 정보는 상위어(Hypernym)와 하위어(Hyponym), 동의어(Synonym)가 가지는 의미설명(Gloss)정보이다. 이 정보의 표상을 기존의 문장의 표상과 같이 활용하여 중의성 단어가 가지는 의미를 파악한다. 하지만 정확한 문장의 표상을 얻기 위해서는 단어의 표상을 잘 만들어줘야 하는데 기존의 방법론들은 모두 문장내의 문맥정보만을 파악하여 표현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정보와 문맥정보를 담은 단어의 표상정보를 만들기 위해 구문정보, 의미관계 그래프정보를 GCN(Graph Convolutional Network)를 활용하여 임베딩을 표현하였고, 기존의 모델에 반영하여 문맥정보만을 활용한 단어 표상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

  • PDF

Analysis of Representations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e ACODESA (Collaborative Learning, Scientific Debate and Self Reflection) Method (ACODESA(Collaborative Learning, Scientific Debate and Self Reflection) 방법을 적용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표상의 분석)

  • Kang, Young Ran;Cho, Cheong Soo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8 no.3
    • /
    • pp.203-216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changes of representations which had come up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math-gifted 6th grade students that ACODESA had been applied. The class was designed on a ACODESA procedure that enhancing the use of varied representations, and conducted for 40minutes, 4 times over the period. The recorded videos and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ere transcribed for analysing dat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which adopted Despina's using type of representation, there appeared types of 'adding', 'elaborating', and 'reducing'.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need for a class design that can make personal representations into that of public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s and confirmation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Improving Stack LSTMs by Combining Syllables and Morphemes for Korean Dependency Parsing (Stack LSTM 기반 한국어 의존 파싱을 위한 음절과 형태소의 결합 단어 표상 방법)

  • Na, Seung-Hoon;Shin, Jong-Hoon;Kim, Kangil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9-13
    • /
    • 2016
  • Stack LSTM기반 의존 파싱은 전이 기반 파싱에서 스택과 버퍼의 내용을 Stack LSTM으로 인코딩하여 이들을 조합하여 파서 상태 벡터(parser state representation)를 유도해 낸후 다음 전이 액션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Stack LSTM기반 의존 파싱에서는 버퍼 초기화를 위해 단어 표상 (word representation) 방식이 중요한데, 한국어와 같이 형태적으로 복잡한 언어 (morphologically rich language)의 경우에는 무수히 많은 단어가 파생될 수 있어 이들 언어에 대해 단어 임베딩 벡터를 직접적으로 얻는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Stack LSTM 을 한국어 의존 파싱에 적용하기 위해 음절-태그과 형태소의 표상들을 결합 (hybrid)하여 단어 표상을 얻어내는 합성 방법을 제안한다. Sejong 테스트셋에서 실험 결과, 제안 단어표상 방법은 음절-태그 및 형태소를 이용한 방법을 더욱 개선시켜 UAS 93.65% (Rigid평가셋에서는 90.44%)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Improving Stack LSTMs by Combining Syllables and Morphemes for Korean Dependency Parsing (Stack LSTM 기반 한국어 의존 파싱을 위한 음절과 형태소의 결합 단어 표상 방법)

  • Na, Seung-Hoon;Shin, Jong-Hoon;Kim, Kang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9-13
    • /
    • 2016
  • Stack LSTM기반 의존 파싱은 전이 기반 파싱에서 스택과 버퍼의 내용을 Stack LSTM으로 인코딩하여 이들을 조합하여 파서 상태 벡터(parser state representation)를 유도해 낸후 다음 전이 액션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Stack LSTM기반 의존 파싱에서는 버퍼 초기화를 위해 단어 표상 (word representation) 방식이 중요한데, 한국어와 같이 형태적으로 복잡한 언어 (morphologically rich language)의 경우에는 무수히 많은 단어가 파생될 수 있어 이들 언어에 대해 단어 임베딩 벡터를 직접적으로 얻는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Stack LSTM 을 한국어 의존 파싱에 적용하기 위해 음절-태그과 형태소의 표상들을 결합 (hybrid)하여 단어 표상을 얻어내는 합성 방법을 제안한다. Sejong 테스트셋에서 실험 결과, 제안 단어 표상 방법은 음절-태그 및 형태소를 이용한 방법을 더욱 개선시켜 UAS 93.65% (Rigid평가셋에서는 90.44%)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Representation Structure of Korean Dialogue (한국어 대화의 표상구조)

  • 이동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496-498
    • /
    • 2002
  • 한국어 대화에서는 상황에 따라 주어나 목적어가 대화 속의 발화문에서 완전히 생략되기도 하고, 존대현상이 일어나기도 하고, 존대대명사가 사용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특징적인 언어현상이 일어나는 한국어 대화를 처리하고 그것의 표상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대화참석자에 관한 정보, 발화문의 화형에 관한 정보, 대화에 관련된 사람들의 사회적 지위에 있어서의 상대적 순위에 관한 정보, 대화에 나타나는 발화문 사이의 정보흐름에 관한 정보 등을 명시적으로 표시하고 이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또한 이러한 상황정보를 한국어대화표상구조에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한국어대화표상구조의 구축은 담화표상이론(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과 분할담화표상이론(Segmented 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을 수정, 확대하여 이루어진다.

  • PDF

Development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Tool using Knowledge Representation (지식 표상 방법을 이용한 정보 검색 시각화 도구 개발)

  • Ji, Hye-Sung;Park, Ki-Nam;Lim, Heui-Se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9
    • /
    • pp.383-390
    • /
    • 2012
  • In this paper, we suggest an information retrieval visualization tool using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method. Information retrieval visualization tool suggested in this paper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extract retrieval intention using user's search history data and visualize extracted retrieval intention in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method structure. A psychological knowledge representation methodology was adopted for schema for retrieval intention representation and its effectiveness has been proved through the behavioral experiments. Result of experiment revealed that information retrieval visualization tool has been improved approximately 39% in user satisfaction compared to existing retrieval method, suggesting a measure to solve re-retrieval problem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retrieval.

A Basis of Database Semantics: from Feature Structures to Tables (데이터베이스 의미론의 기초: 자질 구조에서 테이블로)

  • Lee, Ki-Y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297-303
    • /
    • 1999
  • 오늘날 전산망을 통해 대량의 다양한 언어 정보가 일상 언어로 교환되고 있다. 따라서 대량의 이러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언어 정보 처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Hausser (1999)와 이기용(1999)는 그러한 언어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데이터베이스 의미론을 주장하였다. 이 의미론의 특징은 자연언어의 정보 처리 시스템 구축에 상업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다는 점이다. 이때 야기되는 문제 중의 하나가 표상(representation)의 문제이다. 그 이유는 언어학의 표상 방법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표상 방법과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에서는 테이블 (table) 형식으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이 논문의 주안점(主眼点)은 언어학에서 흔히 쓰이는 표상 방법, 즉 문장의 통사 구조를 표시하는 수형(tree)이나 의미 구조를 표시하는 논리 형태(logical form), 또는 단어나 구의 특성을 나타내는 자질 구조(feature structure)를 테이블 형식으로 대체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더욱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테이블에 대한 각종 연산, 특히 두 테이블을 연결(link)하는 작업이 가능하고 이런 연산 과정을 통해 정보를 통합하거나 여과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정보를 하나의 테이블에 표상하거나 정보 자료의 분산 저장과 자료의 순수성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 논문은 곧 이러한 점을 가급적 간단한 예를 들어 설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