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면근전도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32초

EMG신호 센싱과 로봇팔의 수직제어시스템 구현 (Realization for EMG Signal Sensing and Vertical Control System of Robotizing Arm)

  • 한상일;류광렬;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161-164
    • /
    • 2008
  • 본 논문은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고 로봇팔의 수직제어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이다. EMG 신호는 사람의 팔 근육에 흐르는 미세한 생체신호가 표면전극센서에 의해서 사용하여 검출되고 고성능 증폭, 필터링, ADC과 로봇팔의 서보 모터 구동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실험은 팔근육 움직임에 따른 EMG신호와 로봇팔의 다단계 수직제어 각도를 모니터링 한다. 시스템의 실험결과 수직제어각도는 2도 정도이며 평균오차는 5%이다.

  • PDF

근 질환자의 표면 근전도 신호에 대한 근섬유 전도속도 측정방법 (A measurement method of muscle fiber conduction velocity for surface EMG signal of muscle diseased patient)

  • 이진;정정균;신승현;박인선;고현윤;김성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5-38
    • /
    • 1997
  • A new approach to the measurement of muscle fiber conduction velocity by surface electro-myography(EMG) is developed, based upon a robust time-delay estimation algorithm. Unlike previously reported methods, it does not require the Gaussian assumption of raw EMG signal, and can be applied accurately in non-gaussian impulsive EMG signal. For ive healthy subjects the conduction velocity in the biceps brachii and vastus medialis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various other techniques. As a result, the average muscle fiber conduction velocity was $4.59{\pm}0.20m/s$ in case of biceps brachii and $5.67{\pm}0.33m/s$ in vastus medialis.

  • PDF

점진적 저항증가와 점진적 저항감소 운동에서의 표면 근전도 신호 비교 (Comparison of the Surface Electromyographic Signal of Progressive Resistance Increase and Progressive Resistance Decrease Exercise)

  • 한경주;최보경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0권1호
    • /
    • pp.11-16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sign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between progressive resistive increase exercise (PRIE) and progressive resistive decrease exercise (PRDE). Methods: Forty healthy mal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PRIE group or the PRDE group.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RIE and PRDE methods, with 10 RM for each subject. EMG activity was recorded from the rectus femoris muscle. Outcome data were collected for both groups pre-exercise, immediately post-exercise, then at 5 and 10 minutes post-exercise. Repeated measures 2-way ANOVA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the root mean square (RMS) in EMG activity. Results: We showed that RMS values, when compared with pre-exercise, were decreased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were increased at 5 and 10 minutes after exercise (p<0.05). The RMS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can indicate that both the PRIE and PRDE protocols will be improve strength with equivalent efficac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ddress exercise duration, frequency of exercise sessions, and rest times than the PRIE and PRDE protocols with regard to the changes in strength improvement without a large amount of muscle fatigue.

  • PDF

상반신의 근육뼈대계 통증이 치과위생사의 스케일링 작업에 미치는 특성에 대한 표면 근전도 분석 (Analysis Characteristic the Using Surface EMG of Scaling Working of the Dental Hygienist with Upper Body Musculoskeletal Pain)

  • 남건우;하미숙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6
    • /
    • 2012
  • Purpose :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the muscle activity that happens during scaling practice subject to 20 dental hygienic students with musculoskeletal pain and then propose a basic data according to the working attitude of the Dental Hygienist. Method : The Nordic-style questionnaire is used to define experimental group with musculoskeletal pain and control group. During the scaling the surface EMG device is used to measure the muscle activity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tudy design : The surface EMG is measure RMS(root mean square) of suboccipital muscle, biceps brachii, upper trapezius, and brachioradialis muscle activity. Results :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MS of upper trapezius and brachioradialis is increased during scaling practice(p<0.05), but the control group's RMS is not changed(p>0.05). Conclusion : Musculoskeletal pain may contribute to increase muscle activity of neck & arm during scaling practice. In the future we think there is a need to raise the office efficiency by subjecting to dental hyginiest that are in the clinics and performing experiments.

  • PDF

경부 맥킨지 운동용 재활로봇의 개발 (Development of a Rehabilitation Robot for Mckenzie Cervical Exercise)

  • 신상효;문인혁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73-7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경부통증완화에 효과적인 맥킨지 운동(Mckenzie exercise)이 가능한 경부 재활로봇(cervical rehabilitation robot)을 제안한다. 이 로봇은 목의 좌우 측방굴곡, 전방향의 굴곡 및 후방향의 신전이 가능하도록 2자유도를 가지며, 맥킨지의 경부 스트레칭과 등척성 운동이 가능하다. 재활로봇의 기구부는 의자에 거치할 수 있어 가정에서 의자에 앉은 채로 맥킨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실험에서는 피험자가 프로토타입 경부 재활로봇을 착용하고 맥킨지 운동을 수행시 전후좌우의 굴곡과 신전 각도를 측정하고, 동시에 목주위의 표면 근전도와 머리부착부위의 압력을 측정하여 로봇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경부 맥킨지 운동용 재활로봇이 적용가능함을 보였다.

상부 승모근 근막 통증 환자에게 경피신경자극이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Muscl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in Subjects With Myofascial Pain Syndrome)

  • 고은경;권오윤;김영;정도영;서현순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9-7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상부 승모근의 근막통증(myofascial pain syndrome; MPS)를 대상으로 이완상태에서 근 활성도를 측정해보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주로 이용되는 경피신경자극 치료 후 근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근막 통증으로 진단을 받은 총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주관적 시각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와 압통 역치 측정계(pressure threshold meter)를 이용하여 경피신경자극 전, 후 통증의 정도를 평가하였고,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이완시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치료 기구는 경피신경자극기(TENS: HAT-2000)를 이용하였다. 치료 전과 비교하여 VAS는 통증이 심한 쪽과 약한 쪽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압통 역치는 통증이 심한 쪽과 약한 쪽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근 활성도는 통증이 심한 쪽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 PDF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운동단위의 정보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Motor Unit Information using Surface EMG)

  • 김성환;이호용;손동일;정철기;고도영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6권11호
    • /
    • pp.2040-2050
    • /
    • 2007
  • In this study, we present a novel method for estimating the information of MU(motor unit) which is the basic element of human muscle by using surface EMG. Some of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field could only estimate the numbers of MU that is activated. However, in our study the MU-simulator based on the line source model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MU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s of MU and muscle fiber, conduction velocity, MU diameter, fiber diameter, and end plate position. The SMUAP(single motor unit action potential) detector was designed and CMAP(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by electrical stimulus was recorded. With these data, the MU-simulator can estimate the MU information by varying muscle paramater settings through MSE(mean square error) method. Our results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comparable with the method of anatomical studies. Moreover, our system can be utilized to build a tool for diagnosis and treatment assessment of neuromuscular patients.

균형운동 시 지면의 종류에 따른 균형능력 및 근활성도의 변화 비교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he Muscle Activity and Balance Ability by a Kind of Ground During Blance Exercise)

  • 김명철;한슬기;오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598-4603
    • /
    • 2012
  • 본 연구는 균형운동 시 모래지면, 균형매트, 단단한 지면의 차이에 따른 균형능력 및 앞정강근, 가자미근, 넙다리두갈래근 근활성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90명을 무작위로 모래지면군, 균형매트군, 단단한 지면군으로 구분하여 세 그룹 모두 동일한 운동 프로그램을 서로 다른 지면에서 6주간 실시하였으며, 운동 전 후에 Air-balance system 3D를 통해 8방향별 체중이동 각도값과 표면근전도를 통해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 그룹(모래지면군, 균형매트군) 모두 단단한 지면군에 비해 균형능력과 앞정강근과 가자미근의 근활성도가 더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모래지면의 불안정 지지면으로써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면근전도를 이용한 신경근 전기자극 치료변수에 따른 근피로도 분석 (Analysis of Surface EMG Power Spectrum and Muscle Fatigue Depending on the Variable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 김기원;김준선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6권5호
    • /
    • pp.280-289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stimulation variables which should be considered when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is applied for a muscle under the normal innervation to minimize muscle fatigue and increase force-generating ability. Methods: A total of 23 healthy 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1:1 group, 1:3 group, 1:5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on-off ratio of NMES. The subjects performed a fatigue task, consisting of 10 times of isometric contraction sustained by NMES. NMES using Russian current stimulation was applied to muscle fatigue and divided into three sessions by pulse frequency (10 bps, 30 bps, 90 bps). The EMG was recorded using an MP 100 system from the quadriceps femoris muscle in four groups. Results: The differences of delta MdF and delta MF of between on-off ratio groups of 10 bps, 30 bps, and 90 bps pulse frequencies were very significant (p<0.0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ost hoc of 10, 90 bps, it was greater in the 1:1 group and the 1:3 group compared with the 1:5 group, and no fatigue was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In 30 bps, it was greater in the 1:1 group compared with 1:3, 1:5, and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Among NMES variables to minimize muscle fatigue, the larger on-off ratio by pulse frequency showed the lower muscle fatigue. Therefore, on-off ratio needs to be great enough, and will be more efficient with the frequency 30 bps rather than of 10 bps and 90 bps.

인체모형 옮기기 시 발의 배치와 옮기는 지면 높이가 허리척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t Placement and Height of Bed Surface on Load of the Lumbar Spine During Transfer Activity)

  • 김원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83-291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인체모형을 이용하여 옮기기 활동을 하는 동안 발의 배치(11자 배치와 $90^{\circ}$배치)와 옮기는 지면의 높이(휠체어 좌석과 같은 높이와 다른 높이)가 허리척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자발적으로 실험참여에 동의한 건강한 남성 15명을 대상으로 4가지 조건에 따라 옮기기 활동을 실시 하였다. 옮기기 활동 동안 허리척추의 작업부담을 알아보기 위해, 위팔두갈래근, 척추세움근, 넙다리근의 근활성도를 표면근전도로 측정하였고, 힘판을 이용하여 수직 지면반발력을 측정하였고, L4/L5에 가해지는 압박력을 3DSSPP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오른쪽 넙다리근의 근활성도를 제외한 나머지 근육의 근활성도는 각 조건 사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직 지면반발력은 각 조건 사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또한 L4/L5에 가해지는 압박력은 같은 높이인 경우 발의 배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따라서 옮기기 시 발을 11자로 배치하는 것보다 발을 90°로 배치하는 것이 체중이 한쪽으로 쏠리는 경향과 L4/L5 압박력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환자 옮기기 시 이를 적용하는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