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폴리프로필렌 보강 섬유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2초

폴리프로필렌 섬유보강 환경친화형 포장재료의 개발 (Development of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Environmental Friendly Pavement Material for Farm Road)

  • 성찬용;김영익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1호
    • /
    • pp.35-40
    • /
    • 2004
  • This study is performed to examine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co-concrete using soil, natural coarse aggregate, excellent soil compound and polypropylene fiber. The test result shows that mass loss ratio i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coarse aggregate and excellent soil compound.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s a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coarse aggregate, excellent soil compound and polypropylene fiber.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i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coarse aggregate and excellent soil compound, but it is increased in 0.2% polypropylene fiber content. The lowest coefficient of permeability is showed in $5.066\times 10^{-9}$cm/s. These eco-concrete can be used for farm road.

나일론 6과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유리섬유가 보강된삼상 복합재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ree Phase Glass Fiber/Nylon 6/Polyproylene Composites)

  • 서문호
    • 유변학
    • /
    • 제10권2호
    • /
    • pp.57-64
    • /
    • 1998
  • A pultrusion resin impregnation (PRI) die, which has been developed recently in our laboratory, was used to pre-pare various composite system. The continuous fiber reinforced composites of glass fiber/polypropylene(GFPP) and glass fiber/polyamide 6 (GFPA) were first manufactured by means of the PRI die and then cut into chopped pellets of predet-ermined length. These pellets and either virgin or modified thermoplastic resin were melt-mixed by a twin screw extruder to prepare GF/PA/PP and GF/PA/PPMA system.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se blends were investigated and discussed in terms of their morphological observations. These preliminary results revealed that this new impregnation die could be suc-cessfully applied to produce prepregs suitavle for the final shaping process.

  • PDF

다발형 폴리아미드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평가 (Evaluation on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Concrete Using Entanglement Polyamide Fiber)

  • 전중규;김규용;전찬기;이수철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23-233
    • /
    • 2012
  • 콘크리트의 보강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강섬유는 강성이 크고 중량이 무거워 안전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강섬유의 부식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 및 높은 리바운드 손실량이 등이 개선사항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와같이 2009년 개정된 규정에 의해 강섬유 외의 재료보강이 가능해짐에 따라 콘크리트 보강재료로서 강섬유 이외의 다양한 섬유의 적용성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강섬유는 기타섬유에 비해 강성이 크고, 섬유의 형상에 따라 부착성능을 개선하였만, 유기섬유의 경우 강섬유에 비해 일반적으로 탄성계수 및 인장강도가 낮고 섬유의 뭉침현상이 발생하여 콘크리트 보강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섬유 개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섬유를 다발형 단일 개체로서 공기 압출성형을 통해 부착 비표면적을 크게 하여 역학적 성능을 고려하고, 섬유의 표면을 계면 활성제로 개질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킨 폴리아미드섬유와 강섬유, PP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를 비교하여 현장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섬유혼합토와 지오그리드 사이의 마찰 특성 평가 (Friction Properties between Fiber-Mixed Soil and Geogrid)

  • 조삼덕;이광우;안주환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27-37
    • /
    • 2003
  • 섬유혼합토의 전단강도 및 마찰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혼합되는 흙의 입도분포와 흙입자의 형상 등과 같은 흙의 공학적 특성과 섬유의 형상, 길이, 직경, 인장강도, 탄성계수, 마찰계수, 섬유 혼합률 등과 같은 섬유의 물리적 역학적 특성 그리고 구속응력, 다짐상태 등의 외적 인자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흙종류, 섬유종류, 섬유혼합률 그리고 다짐도에 따른 섬유혼합토의 마찰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련의 전단마찰시험 및 인발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학적으로 그 특성이 다소 불량한 두 가지 종류의 흙시료(통일분류법상 SM 및 ML)에 세 가지 종류의 폴리프로필렌 섬유(망사 38mm, 망사 60mm 및 단사 60mm)를 0.2% 및 0.3%의 혼합률로 혼합한 섬유혼합토를 다짐도 85% 및 95%로 조성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보강재로는 지오그리드를 사용하였다.

  • PDF

하이브리드 섬유 혼입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 및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Mixed Hybrid Fibers)

  • 신용석;이지민;유명환;조철희;김정섭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67-75
    • /
    • 2010
  • 본 연구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화재시 내화성능 확보를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강섬유(Steel Fib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Fiber; 이하PP)와 PP섬유와 강섬유를 하이브리드 섬유를 혼입한 설계기준강도 40MPa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및 폭렬 방지 방법을 검토하고, 섬유 혼입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휨 및 전단보강근이 없는 보의 구조적 특성 연구를 통하여 섬유 혼입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휨과 전단 저항거동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 하이브리드 섬유를 보강하면 균열 및 폭렬 발생, 중성화 억제 효과 등을 나타내었다. 부재실험에서는 초기균열제어, 연성과 최대내력 증대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재생 PET 섬유가 혼입된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구조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Mixed with Recycled PET Fiber)

  • 김성배;김현영;이나현;김장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A호
    • /
    • pp.543-55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만든 플라스틱 단섬유의 구조재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가장 널리 상용되는 합성섬유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섬유와 비교하였으며, 섬유의 혼입률을 0%, 0.5%, 0.75%, 1.0%로 변화시켜 혼입률에 따른 영향을 함께 검토하였다. 실험으로는 압축강도, 쪼갬인장강도 등의 재료 특성과 재생 PET(recycled PET fibers; RPET) 섬유가 혼입된 RC 부재에서의 극한성능과 연성을 평가하기 위해 RC보의 휨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압축강도는 섬유의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기존 PP섬유와 유사하였다. 반면 쪼갬인장강도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구조 부재에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RPET을 혼입한 RC 보의 극한강도, 상대 연성비, 에너지 흡수능력이 OPC 시편에 비해 확연히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극한 휨강도와 연성비가 증가하는 현상은 PP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RPET 섬유는 콘크리트 부재의 보강섬유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섬유혼합토의 동적물성변형특성 (Dynamic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Fiber Reinforced Soils)

  • 정성용;김대일;박철수;목영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968-97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입도의 사질토에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의 단섬유(staple fiber)를 중량비 0.3%로 혼합한 섬유혼합도의 거동특성과 보강효과를 평가하였다. 곡류계수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균등계수를 변화시켜 성형한 공사체에 공진주시험을 수행하였다. 섬유혼합토의 최대전단탄성계수는 비혼합토에 비해 최대 30%까지 증가하였고, 비선형 영역에서의 전단탄성계수 감소량도 억제되었다. 섬유혼합토의 정규화 전단탄성계수 감소곡선이 Seed와 Idriss의 대표곡선 상한값 쪽으로 이동해, 비혼합토보다 얇은 밴드로 분포하여 섬유의 혼합이 흙의 강성 증가에 효과적임을 증명되었다.

  • PDF

섬유/모래로 보강된 미연소탄소탄소 고함량 플라이애쉬의 지반공학적특성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Fly Ash Containing High Content of Unburned Carbons Reinforced with Fibers and Sand)

  • 윤보영;이창호;추현욱;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35-46
    • /
    • 2017
  • 미연소탄소 함량이 높은 플라이애쉬(High carbon contents fly ash, HCFA)는 콘크리트 혼화재로의 사용이 부적합하여 대부분 매립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연소탄소함량이 높은 플라이애쉬의 지반공학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섬유(Polypropylene fiber, PP fiber)와 모래로 보강하여 일축압축시험과 벤더엘리먼트가 설치된 일차원 수정 압축실험을 진행하였다. 섬유의 보강효과로 섬유비가 증가함에 따라 일축압축강도(UCS), 일축압축강도시의 변형률과 동일 간극비 상에서의 최대전단탄성계수(Maximum Shear Modulus, $G_{max}$)가 증가하였다. 모래로 보강된 경우 혼합물의 UCS는 다소 증가하였으나 UCS 시의 변형률은 모래비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모래입자는 HCFA 입자간의 접촉을 방해하여 혼합물의 $G_{max}$를 감소시켰다. 그러나 20% 이상의 모래비에 대하여 동일 에너지로 다짐하였을 시, 조밀한 상태로 조성되며 그로 인한 보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섬유나 모래로 보강된 HCFA의 압축지수(Compression index, $C_c$)는 보강재의 종류와 관계없이 주로 초기 간극비에 의해 결정되었다.

보강 섬유 종류에 따른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내에서 철근의 겹침 이음 성능 (Effect of Reinforcing Fiber Types on Lap Splice Performance of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HPFRCC))

  • 전에스더;윤현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53-161
    • /
    • 2007
  • 본 논문은 다양한 연성 능력을 갖는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 내에서 철근의 겹침 이음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시멘트 복합체의 연성은 보강 섬유의 종류 및 혼입률에 따라 좌우되게 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섬유는 폴리프로필렌(PP)와 폴리에틸렌(PE),그리고 PE 섬유와 5연선의 강섬유를 하이브리드하여 사용하였으며, PP 섬유의 혼입률은 2.0%, PE 및 하이브리드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의 혼입률은 1.5%로 하였다. 철근의 겹침이음길이는 일반 콘크리트에서 철근의 겹침 이음에 사용되는 ACI 규준에 의해 산정하였다.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 내에서 철근의 겹침 이음 실험을 수행한 결과, PE1.5 및 PE0.75+SC0.75 시험체의 겹침 이음 강도가 콘크리트에 비해 $82{\sim}91%$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PE1.5 및 PE0.75+SC0.75 시험체의 겹침 이음 강도 및 에너지 흡수 능력이 PP2.0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철근의 겹침 이음 성능은 섬유의 혼입률보다는 섬유의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에 의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는 시멘트 복합체 내에서 섬유의 가교 작용으로 인해 미세균열의 분산 특성 및 최대강도 이후 연성적인 강도 저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프로필렌섬유보강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의 특성 (Properties of Porous Polymer Concrete Reinforced Polypropylene Fiber)

  • 김영익;성찬용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4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6권2호
    • /
    • pp.723-726
    • /
    • 2004
  • Porous polymer concrete can be applied to roads, sidewalks, river embankment, drain pipes, conduits, retaining walls, yards, parking lots, plazas, interlocking blocks, etc.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ntent ratio of polypropylene fiber to improve bending strength, impact resistance and freezing and thawing rssistance of porous polymer concrete. Also, this study is performed to develop the porous polymer concrete using recycled coarse aggregate and blast furnace slag for application of structures needed permeability. At 7 days of curing,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water permeability and flexural load are in the ragge of $17\~21MPa,\;5\~7MPa,\;4.1\times10^{-2}\~7.7\times10^{-2}cm/s$, respectively. It is concluded that the recycled aggregate can be used in the porous polymer concre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