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폴리염화바이페닐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화학 및 열적 처리를 이용한 폴리염화바이페닐(PCB)의 제거 (Disposal of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 by a Combined Chemical with Thermal Treatment)

  • 유건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86-293
    • /
    • 1999
  • 변압기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염화바이페닐(PCB)의 제거를 위해서 화학적 처리와 제어된 산화반응에 의한 열적처리를 상호 결합시킨 한 포괄적인 공정이 이루어 졌다. 화학시약을 이용한 화학처리에서 완전히 처분할 수 없었던 폴리염화바이페닐은 오일의 순환중 에 적절한 흡착제로 걸러진 후 열처리되었다. 열처리에 의해서 폴리염화바이페닐은 99.99% 이상 파괴 되었으며 독성 부산물인 PCDDs나 PCDFs는 처리과정 중에 형성되지 않았다. 변압기에 있는 오일이나 무기지지체는 공정 후에 재회복 되었다. 화학 및 열적처리를 결합시킨 이 공정은 환경적으로 유익하며, 다른 유용한 기술보다도 사용하기 쉽고 효과적이며 경제적 이었다.

  • PDF

역류산화공정을 이용한 고농도 PCBs 함유 절연유의 처리 (Treatment of Highly Concentrated PCB Containing Insulating Oil by Countercurrent Oxidation Process)

  • 이창순;김대익;유건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143-150
    • /
    • 2017
  • 절연유에 높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폴리염화바이페닐(PCB)을 처리하기 위해서 역류산화공정이 개발되었고 그 평가가 이루어졌다. 학산금속공업(주)로부터 구한 절연유 중의 PCBs의 함량은 1,512 ppm이었다. 역류산화공정은 산소의 흐름 속도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기 스스로 이동하는 자발적인 불꽃을 이용한다. 불꽃은 활성탄에 흡착되어 있는 PCBs를 제거함과 동시에 활성탄을 재생시킨다. 불꽃의 온도는 활성탄의 질량 손실과 역류산화공정 동안 배출되는 CO와 $CO_2$의 상대적인 비에 의해 결정하였고, 온도는 $650{\sim}850^{\circ}C$의 범위를 보였다. PCBs의 제거 효율은 무게비로 활성탄에 5%가 적재된 절연유를 1번의 역류산화공정을 거쳤을 때 99.99%이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60%의 절연유를 활성탄에 적재하여 3번의 연속적인 역류산화공정을 거쳤을 때 같은 제거 효율을 얻었다. 덧붙여서, 역류산화공정 동안 활성탄의 비표면적은 신탄의 수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역류산화반응은 쉽고 경제적으로 절연유에 있는 고농도의 PCBs를 제거하는데 대단히 효과적이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입자상 활성탄의 흡착과 재생에 의한 PCBs 오염제거 (Decontamination of PCBs by Hybrid Adsorption/Regeneration on Granular Activated Carbon)

  • 홍용표;최종하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7-124
    • /
    • 2002
  • 활성탄에 흡착되어 있는 유기질을 처리하기 위하여 역류산화반응이 개발되었고 그것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 졌다. 역류산화반응이란 산소의 흐름과 반대로 이동하는 자발적인 불꽃을 이용하여 유기질을 파괴 및 제거함과 동시에 폐활성탄을 재생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실험결과를 고찰해 보면, 활성탄의 질량손실과 불꽃의 온도가 산소의 흐름속도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였고, 재생탄의 비표면적이 거의 완전히 회복되었으며, 특히 활성탄에 흡착되어 있는 열에 안정한 PCBs를 거의 완전히 파괴 및 제거(99.99%이상)할 수 있었다.

폐절연유를 이용한 숙련도 평가용 PCBs 표준물질의 적용성 평가 (Estimation on the application of Reference Materials for PCBs Proficiency Testing from the transformer oil)

  • 김우일;권명희;전태완;김동훈;전진원;심기태;연진모
    • 분석과학
    • /
    • 제23권3호
    • /
    • pp.247-254
    • /
    • 2010
  • 본 연구는 폐기물분석전문기관이 신뢰성 있는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위한 폴리 염화바이페닐(PCBs) 정도관리 숙련도 평가용 표준물질을 개발할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CBs함유 절연유와 PCBs가 함유되지 않은 절연유(PCB free oil)에 PCBs 표준액을 첨가하여 조제한 표준물질로 PCBs에 대한 숙련도평가용 표준물질을 제조하였다. PCBs 표준액 첨가에 의한 균질화도를 검토한 결과, Arochlor 1254 (6 ppm)과 Arochlor 1254:1260(1:1) (5 ppm)을 첨가한 경우 최대 60일, Arochlor 1260 (3.5 ppm)을 첨가한 경우 최대 90일이 지나야 균질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된 표준물질을 10회 이상 반복 측정한 결과, PCBs 제조 표준물질은 상대표준편차 3.51~5.01%로 균질성이 있다고 판단되었으며, 일원분산분석법(one way ANOVA)에 따라 균질도를 평가한 결과 모든 시료가 균질하다고 판단되었다. 제조된 표준물질을 무작위로 10개의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를 기준값으로 선택하였으며, 측정과정과 균질도에 의한 확장불확도값은 0.26~0.49로 조사되었다.

PCBs 독성 예측을 위한 주요 분자표현자 선택 기법 및 계산독성학 기반 QSAR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QSAR Model Based on the Key Molecular Descriptors Selection and Computational Toxicology for Prediction of Toxicity of PCBs)

  • 김동우;이승철;김민정;이은지;유창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5호
    • /
    • pp.621-629
    • /
    • 2016
  • EU의 REACH 제도 도입에 따라 각종 화학물질에 대한 독성 및 활성 정보 확보를 위해 화학물질의 분자구조 정보를 기반으로 화학물질의 독성 및 활성을 예측하는 정량적구조활성관계(QSAR)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QSAR 모델에 사용되는 분자표현자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화학물질의 물성 및 활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주요한 분자표현자를 선택하는 과정은 QSAR 모델 개발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의 분자구조 정보를 나타내는 주요 분자표현자의 통계적 선택 방법과 부분최소자승법(Partial least square: PLS) 기반의 새로운 QSAR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QSAR 모델은 130종의 폴리염화바이페닐(Polychlorinated biphenyl: PCB)에 대한 분배계수(log P)와 14종의 PCBs에 대한 반수 치사 농도(Lethal concentration 50%: $LC_{50}$) 예측에 사용되고, 제안된 QSAR 모델 예측 정확도는 기존의 OECD QSAR Toolbox에서 제공하는 QSAR 모델과 비교하였다. 관심 화학물질의 분자표현자와 활성정보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주요 분자표현자를 선별하기 위해서, 상관계수(r)와 variable importance on projections (VIP)기법을 적용하였으며, 화학물질의 독성 및 활성정보를 예측하기 위해 선별된 분자표현자와 활성정보를 이용해 부분최소자승법(PLS)를 사용하였다. 회귀계수($R^2$)와 prediction residual error sum of square (PRESS)을 이용한 성능평가결과, 제안된 QSAR 모델은 OECD QSAR Toolbox의 QSAR 모델보다 PCBs의 log P와 $LC_{50}$에 대하여 각각 26%, 91% 향상된 예측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계산독성학 기반의 QSAR 모델은 화학물질의 독성 및 활성정보에 대한 예측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방법은 유독 화학물질의 인체 및 환경 위해성 평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