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폴리비닐부티랄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침전법에 의한 폴리비닐부티랄의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of Poly(vinyl butyral) by Precipitation Method and Its Characterization)

  • 서광원;김덕준
    • 폴리머
    • /
    • 제26권2호
    • /
    • pp.168-173
    • /
    • 2002
  • 폴리비닐알코올(PVA)을 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폴리비닐부티랄(PVB)을 합성하였다. PVB는 물을 용매로 침전법에 의하여 입자형태로 제조되었으며 생성된 PVB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 측정하였다. 제조된 PVB입자는 100~700 $\mu\textrm{m}$의 입도분포내에서 약 380$\mu\textrm{m}$의 평균입자크기를 나타내었다. PVB의 화학구조는 FT/IR과 NMR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적정분석 결과 아세탈화정도는 약 77%로 나타났다. DSC 분석결과 PVA가 PVB로 아세탈화됨에 따라 PVA의 결정성이 사라졌으며, 유리전이온도가 $70^{\circ}C$근처에서 나타났다. TGA 분석결과 제조된 PVB는 반응물인 PVA에 비해 열적으로 매우 안정하여 $300^{\circ}C$까지 열분해를 보이지 않았다. 용해도 분석결과 PVB는 PVA와는 달리 알콜류에는 용해되었으나 물에는 용해되지 않았다.

고종횡비 금속 나노튜브 기반 투명전극 제조기술 (Fabrication of Long Metal Nanowire by Electrospinning Process for the Transparent Electrode)

  • 이창면;허진영;이홍기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2.1-132.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투명전극 제조를 목적으로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미세구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Ag^+$이온이 용해된 폴리비닐부티랄(PVB) 고분자 용액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투명기판 위에 전기방사 하여 $Ag^+$이온/PVB 복합나노와이어를 제조한 후 이를 UV 조사로 환원하여 선택적으로 촉매를 형성하였다. 이후 연속적인 무전해 구리 도금을 통하여 촉매 위에 미세구리배선을 형성함으로써,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개발 공정을 통해 제조된 투명전극은 기존 Ag나노와이어 기반 투명전극에서 발생하던 접촉저항에 대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전기적,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차세대 유연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폐자동차 유리의 재활용 현황 (Overview and Recycling of Waste Automobile Glass)

  • 윤진호;박경수;홍명환;박재량;이찬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1호
    • /
    • pp.51-57
    • /
    • 2015
  • 유리는 고대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최첨단 기술이 추가된 스마트 유리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유리는 라이프 사이클이 기존 유리보다 빠르기 때문에 교체 주기에 발맞춰서 재활용을 위해 보다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스마트 유리 중에서 재활용 기술 개발이 가장 시급한 분야는 자동차 분야이며 자동차 폐차 시에 폐기되는 스마트 유리의 양은 연간 약 23,000톤 이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자동차 유리의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의 재활용 기술과 재활용 방안 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비국부 층간 결합 모델을 고려한 다중적층 유리의 페리다이나믹 충돌 파괴 해석 (Peridynamic Impact Fracture Analysis of Multilayered Glass with Nonlocal Ghost Interlayer Model)

  • 하윤도;안태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373-38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다중적층 유리의 고속 충돌체에 의한 충돌/침투 파괴 현상을 해석하기 위해 페리다이나믹 동적 해석 기법을 적용한다. 대부분의 다중적층 유리 구조물들은 다수의 주요 유리층들이 상대적으로 매우 얇은 탄성 필름으로 접착되어서 만들어진다. 따라서 다중적층 구조물의 수치해석 모델을 구성하는 것은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든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절점을 대신하여 가상의 절점들을 주요층들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호작용시키는 비국부 가상 층간구조 모델링을 도입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다중적층 구조를 모델링하였다. 또한 고속 충돌체와의 충돌 및 침투 현상을 해석하기 위해 페리다이나믹 비국부 접촉 모델이 고려되었다. 7개의 유리층과 하나의 탄성 백킹층이 폴리비닐부티랄 필름으로 부착된 다중적층 유리의 충돌 파괴 해석을 통해 제안된 해석 모델의 손상 파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폴리비닐 부티랄에 붙힌 지르코늄 알콕시드 졸을 사용한 전기방사에서 지르코니아 나노섬유 제조와 광발광 (Photoluminescence and Fabrication of Zirconia Nanofibers from Electrospinning an Alkoxide Sol Templated on a Polyvinyl Butyral)

  • 고태경;한규석;임태균;오성규;한상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43-352
    • /
    • 2010
  • A zirconia gel/polymer hybrid nanofiber was produced in a nonwoven fabric mode by electrospinning a sol derived from hydrolysis of zirconium butoxide with a polyvinyl butyr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hydroxyl groups on the vinyl alcohol units in the backbone of the polymer were involved in the hydrolysis as well as grafting the hydrolyzed zirconium butoxide. In addition, use of acetic acid as a catalyst resulted in further hydrolysis and condensation in the sol, which led to the growth of -Zr-O-Zr- networks among the polymer chains. These networks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crystalline zirconia structure upon heating. The as-spun fiber was smooth but partially wrinkled on the surface. The average fiber diameter was $690{\pm}110\;nm$. The fiber exhibited a strong but broad blue photoluminescence with its maximum intensity at a wavelength of ~410 nm at room temperature. When the fiber was heat-treated at $400^{\circ}C$, the fiber diameter shrunk to $250{\pm}60\;nm$. Nanocrystals which belonged to a tetragonal zirconia phase and were ~5 nm in size appeared. A strong white photoluminescence was observed in this fiber. This suggests that oxygen or carbon defects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the nanocrystals play a role in generating the photoluminescence. Further heating to $800^{\circ}C$ resulted in a monoclinic phase beginning to form In the heat-treated fibers, coloring occurred but varied depending on the heating temperature. Crystallization, coloring, and phase transition to the monoclinic structure influenced the photoluminescence. At $600^{\circ}C$, the fiber appeared to be fully crystallized to a tetragonal zirconia ph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