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폭풍시

Search Result 12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가스폭발에 의한 폭풍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박승일;오규형;이진영;라선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72-177
    • /
    • 2002
  • 가스폭발 시 폭발 압력에 의해 건물의 일부 또는 전체적인 파괴와 함께 외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은 주로 폭풍파의 압력과 고온의 화염이다. 그 중에서도 폭풍압은 건물에서의 가스폭발 시 파열면을 통과한 급격한 압력 방출에 의해 생겨나는 물리적인 현상으로 그 충격은 때에 따라서 구조물을 붕괴시킬 만큼 크다. 폭발에 의해 발생되는 폭풍압에 의한 피해가 크기 때문에 과거부터 폭풍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중략)

  • PDF

Hindcast of Storm Surge in the Southeastern Coast Using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남동해안 폭풍해일 산정)

  • Kim, Cha-Kyum;Lee, Jong Ta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4B
    • /
    • pp.369-376
    • /
    • 2011
  • A three and two dimensional (3D and 2D) numerical models were established to study the storm surge induced by Typoon Maemi in Masan and Pusan Ports. The typhoon landed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at 21:00, September 12, 2003 with a central pressure of 950 hPa. The observed maximum storm surge in Masan Port was 230 cm, and the computed peak storm surge using the 3D and the 2D models were 238 cm and 208 cm, respectively. The observed maximum storm surge in Pusan Port was 89 cm, and the peak storm surge of the 3D and the 2D models were 91 cm and 79 cm, respectively. The hindcasted storm surge using 3D model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and the 3D model at peak time was more accurate than the 2D. The storm-induced currents were computed using the 3D model. The currents in the surface layer of Masan Bay went into the inner bay with 30~60 cm/sec, while the currents in the bottom layer flowed out with 20~40 cm/sec.

자기 폭풍 시 나타난 상대론적 전자 플럭스 변화와 ULF와 whistler 크기의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 관찰

  • 이지나;황정아;이은상;민경욱;이대영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83-83
    • /
    • 2003
  • 자기 폭풍 발생시에 지구 자기권 내에서 MeV 에너지대의 전자 플럭스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남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Relativistic Electron Events (REE) 가속 기작의 주요 후보로 Ultra-Low Frequency(ULF)와 whistler 파동의 역할이 제시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1997부터 1999년에 발생한 대표적인 자기 폭풍들을 선택하여, 상대론적 전자 플럭스가 증가한 경우, 감소한 경우 그리고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보았다. 각각의 event들에 대해 CANOPUS 지상자기장 관측소에서 얻은 지자기 값을 이용하여 위 각각의 세 경우에 대해 ULF 파동의 크기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똑같은 자기 폭풍 현상에서 POLAR 위성의 관측 값을 이용하여 whistler 영역의 파동 강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자기 폭풍과 REE, 그리고 ULF의 변화가 L-shell값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도 알아본다.

  • PDF

국내 공항 주변환경에서의 전리층 폭풍이 항공용 지역위성항법 보강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및 비행 시험을 통한 Code-Carrier Divergence Test 결과 분석

  • Ju, Jeong-Min;Heo, Yun-Jeong;Jo, Jeong-Ho;Heo, Mun-Beom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35.3-35.3
    • /
    • 2010
  • 항공용 지역위성항법 보강시스템(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 GBAS)은 지상에서 위성항법시스템에 대한 위치보정정보와 무결성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여 공항 주변 항공기의 정밀 이착륙을 돕는 지상기반의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위성항법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리층 영향을 받게 되는데 특히 전리층 폭풍(Ionospheric storm)의 경우 공간적으로 급격한 위치오차 차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안정적인 항공기의 정밀이착륙을 위해서는 전리층 폭풍의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현재 항공용 지역위성항법 보강시스템의 지상시스템(Ground Facility)과 항공기 탑재시스템에서의 전리층 폭풍에 대한 정확한 감시와 전리층 폭풍의 지배적 영향을 받는 위상항법신호를 제거하거나 보완하는 방식 등 전리층 폭풍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들이 계속해서 연구 중이다. 이 논문에서는 2001년과 2003년 미국에서 발생한 전리층 폭풍에 대한 위성항법데이터 분석 결과와 기존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전리층 폭풍에 대한 모델링과 지상시스템과 항공기 간의 공간적 상이현상(Spacial decorrelation)을 고려하여 전리층 폭풍이 항공기 이착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전리층 폭풍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을 하기 위해서는 전리층 폭풍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전리층 폭풍 발생 시 획득한 위성항법 데이터를 이용한 통계학적 분석이 선행되며 이러한 분석결과와 항공기 이착륙에 절차를 반영하여 항공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수학적 모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모델을 국내 공항에서 실제 비행시험을 통하여 획득한 위성항법데이터에 적용하여 전리층 폭풍이 국내 공항에서 항공기 이착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대표적 전리층 폭풍 감지기법 중 하나인 Code-Carrier Divergence Test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도 함께 제시하였다. 이 논문의 결과는 항공용 지역위성항법 보강시스템에 대한 전리층 폭풍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 연구의 기반이 되며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한 다양한 시뮬레이션환경의 하나로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IGS 전리층 보정정보를 이용한 한반도 상공 전리층 기울기 변화 분석

  • Heo, Yun-Jeong;Lee, Eun-Seong;Heo, Mun-Beo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65-165
    • /
    • 2012
  • 육상, 해양, 항공 등의 응용분야에 위성항법보강시스템의 활용을 위해서는 시스템의 정확성, 무결성, 연속성, 가용성 요구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무결성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측위 오차 및 위협 요인들을 지상국에서 감시해야한다. 특히, 전리층 변화는 지역적으로 경향 및 세기가 달라 전리층 폭풍 발생 시 지상국과 이동체에서 받은 위성항법 신호에 포함된 전리층 지연 오차의 편차가 심하여 위성항법 사용자의 무결성, 즉 안정성이 위협을 받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당지역의 전리층 변화에 대한 사전 정보를 통해 지역별로 적합한 위협 모델을 구성하여 전리층 활동 감시가 필요하다. 전리층 기울기는 전리층 지연값 분포의 불균일 여부를 정량화한 값으로, 전리층 폭풍 발생시 기울기가 급증하여 전리층 폭풍 감지를 위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육상 교통 위성항법보강시스템의 무결성 감시에 전리층 변화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기본 연구로 IGS에서 제공하는 전리층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한반도 상공에 대한 전리층 기울기 분포 및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전리층 기울기에 대한 보정정보 오차범위 설정이나 전리층 폭풍 발생 판단에 필요한 임계값 설정 등에 적용하고자 한다.

  • PDF

Storm Surge Analysis using Archimedean Copulas (Copulas에 기반한 우리나라 동해안 폭풍해일 분석)

  • Hwang, Jeongwoo;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21-421
    • /
    • 2017
  •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coastal areas from the continuous storm surge in Korea,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wave movement and properties accurately during the storm event.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storm simulation, and to quantify coastal risks from the storm event, the dependencies between wave height, wave period, and storm duration should be analyzed. In this study, therefore, copulas were used to develop multivariate statistical models of sea storms. A case study of the east coast of Korea was conducted, and the dependencies between wave height, wave period, water level, storm duration and storm interarrival time were investigated using Kendall's tau correlation coefficient. As a result of the study, only wave height, wave period, and storm duration appeared to be correlated.

  • PDF

How sun spot activity affects on positioning accuracy?: Case study of solar storm (태양 흑점활동이 측위오차에 미치는 영향: 태양폭풍 사례연구)

  • Yoo, Yun-Ja;Cho, Deuk-Jae;Park,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7-28
    • /
    • 2011
  • A solar flares have the 11-year cycle and release a large energy which may produce coronal mass ejections (CME). The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predicted that the sun spot activity will be maximized in 2013-2014. A strong solar flare can cause the disturbance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including various communication of TV, radio broadcasting. The actual solar storm in 1989 caused power outages in Canada during 9 hours and about 600 million people had experienced a blackout. Such a solar storm can shorten the GPS satellite's life span about 5 to 10 years which can be resulted in economic loss considering the amount of multi-billion won. This paper analyzed the recent solar storm of X-class occurred on 15th of February about 10:45 this year that was reached Korea (Bohyun observatory) on 18th of February about 10:30 (local time), and compared with the data of before and after a week. The proton data of 18th of February considered that the solar strom reached on earth showed a fluctuation compared to the data of before and after a week. The positioning results at Daejeon also showed higher positioning error compared to the data of before and after a week results.

  • PDF

Storm Surge Inundation Modelling Considering Interactions among Surge-Tide-Riverine Flow (해일-조석-하천 상호작용을 고려한 폭풍해일범람 모델링)

  • Lee, Chilwoo;Son,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7-14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003년 태풍 'MAEMI'에 의해 피해를 가장 많이 입은 경남 마산시를 중심으로 폭풍해일 범람도를 작성하였다. 해양과 하천 하류부가 만나는 마산시에서는 해일, 조석, 하천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므로 이에 대한 단계적 적용을 통해 범람 중첩효과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수치모델은 네덜란드 Deltares사에서 개발한 준3차원 해수유동 모델 Delft3D이다. Delft3D는 폭풍해일 이외 지진해일, 부유물 이송, 오염물 확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파랑, 조석력, 바람에 의한 전단력, 온도, 염도에 의한 밀도류, 대기압 변화, 조간대 모의 등 다양한 영향을 고려할 수 있다. 수치모의시 모델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중격자기법을 사용(최소 25m 격자)하였으며, 수심 자료는 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도와 국립해양조사원 수치해도의 수평 수직적 통합을 통해 구성하였다. 태풍 'MAEMI'의 Best Track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3시간 간격의 중심기압, 풍속, 중심위치를 Holland's Model에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조석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개방경계에서 TPXO 7.2를 사용한 분조값을 입력하였다. 또한 하천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하천 단면에서의 동적 수위경계조건(또는 유량경계조건)을 추가적으로 부여하였다. 수치해석결과, 마산 수위 관측소에서 관측된 태풍 'MAEMI'의 해일고와 유사한 결과가 산출되었다. 범람역 해석결과는 해일, 조석, 하천을 동시적으로 고려하였을 경우에 실제 침수흔적도인 마산시재해침수지도와 가장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 PDF

Analysis of Principal Storm Surge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낙동강 하류역의 주요 폭풍해일고 검토)

  • Kim, Da-In;Kim, Kang-Min;Lee, Joong-Woo;Kwon, So-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4-35
    • /
    • 2018
  • 낙동강 하류역은 최근의 퇴적우세 지형변화와 더불어,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강도 강화 등으로 인한 해일고 증가가 우려된다. 따라서, 과거 태풍자료를 수집 분석한 후 연구지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태풍을 모델 태풍으로 선정하여 낙동강 하류역에 위치한 주요지점별 폭풍해일고 변화를 파악하였다. 실험결과, 최대 폭풍해일고는 태풍 매미 내습시에 나타났으며, 하단 매립지 전면에서 1.1~1.5m, 명지주거단지 전면에서 1.2~1.3m, 녹산국가산업단지 전면에서 1.3~1.5m로 하단 매립지 전면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향후, 과거 지형변화를 고려한 폭풍해일고 검토를 통하여 최근의 급격한 지형변화로 인한 영향을 파악한 대비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f Storm Surges Characteristics on the Korean Coast Using Tide/Storm Surges Prediction Model and Tidal Elevation Data of Tidal Stations (조석/폭풍해일 예측 모델과 검조소 조위자료를 활용한 한반도 연안 폭풍해일 특성 연구)

  • You, Sung-Hyup;Lee, Woo-J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2 no.6
    • /
    • pp.361-373
    • /
    • 2010
  • Analysis has been made on the tide/storm surges characteristics near the Korean marginal seas in the 2008 and 2009 years using operational ocean prediction model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In order to evaluate its performance, it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by tidal stations around Korean Peninsula. The model used in this study predicts very well the characteristics of tide/storm surges near the Korean Peninsula. Simulated storm surges show the evident effects of Typhoons in summer season. The averaged root mean square error(RMSE) of 48 hr forecasting between the modeled and observed storm surges are 0.272 and 0.420 m in 2008 and 2009, respectively. Due to strong sea winds, the highest storm surges heights was found in summer season of 2008, however, in 2009, the high storm surges heights was also found in other seasons. When Typhoon Kalmaegi(2008) and Morokot(2009) approached to Korean Peninsular, the accuracy of model predictions is almost same as annual mean value but the precision accuracy for Typhoon Morakot is lower than of Typhoon Kalmaegi similar to annual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