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커스 그룹 연구

검색결과 366건 처리시간 0.023초

장애대학생도우미의 도우미활동 경험과 역할인지에 관한 연구 : 포커스 인터뷰 적용 (A Study on the Experience and Role Recognition of Helper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cus Interview)

  • 최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83-97
    • /
    • 2019
  • 본 연구는 부산시 S대학교에서 장애학생도우미로 활동하고 있는 학생들이 도우미활동 수행 중에 무엇을 경험하며, 그 결과 도우미 역할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이해하고자 12명을 대상으로 3개의 그룹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1. 장애와 장애대학생도우미 역할의 이해 부족(준비되지 않은 채 수행하게 되는 장애도우미, 일회성 장애교육) 2. 장애대학생 도우미 활동의 어려움(감정적 일체감, 장애학생의 정서적 의존, 느껴지는 차별, 나의 이미지) 3.도우미로서의 나의 역할(일반적인 역할, 나만의 역할) 4. 장애학생 도우미 지원제도의 바램(선별의 체계화, 활동비 모니터링, 교육체계강화) 이라는 4개의 개념이 추출되었고 이 개념을 바탕으로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장애학생도우미지원사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중환자전문간호사들의 실무경험: 포커스 그룹 연구 (Korean Critical Care Advanced Practice Nurses' Work Experience: A Focus Group Study)

  • 김금순;김복자;이영희;강지연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4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Korean critical care advanced practice nurses' work experience. Methods: Data was collected through 2 focus group interviews that were held in two different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Korea.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data were analysed using modifi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en theme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They are "Various and complex tasks", "Excellency of advanced nursing practice", "Pressure and responsibility accompanied with pride", "Role identity confusion", "Role conflict", "Leaping and evolving role", "Gap between role and outcome evaluation", "Underestimated outcomes", "Where are my outcomes?" "Searching for outcomes: publicize the rol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to understand the role of Korean critical care advanced practice nurses and to guide to outcome evaluation of their role effectiveness. Developing qualitative outcome indicators, cost-effectiveness ananlysis of Korean critical care advanced practice nurses' role, and accumulation of evidences through researches on outcome evaluation will be needed to successfully settle down advanced practice nursing in Korea.

  • PDF

온라인 검색도구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립기록관 검색도구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Online Finding Aids: Based on the Assessment of National Archives)

  • 이윤령;이해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5-100
    • /
    • 2014
  • 국가기록원 등 많은 기록관에서 온라인 검색도구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여러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호주, 영국, 미국의 국립기록관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검색도구현황을 분석하였다. 또 호주, 영국, 미국 국립기록관의 검색도구를 직접 사용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파악해 보도록 하기 위해, 실제 이용자들을 선정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기반으로, 전반적 기능 및 계층별 검색, 검색옵션 및 주제어검색, 검색결과제시, 기록정보콘텐츠 서비스 등의 측면에서 온라인 검색도구의 개선 및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분노 표현 및 대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청소년과 청소년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The Qualitative Study on Youth Experiences of Anger Expression and Management -Focus Group Interview with Youth and Youth Experts-)

  • 고기숙;이지숙;유동환;윤용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45-462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분노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법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청소년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청소년들의 분노정서, 분노표현, 분노조절 및 대처 등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9명, 청소년 9명, 두 그룹을 구성하여 포커스 그룹면접 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내용은 일반적인 질적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고, 총 12개의 범주, 34개의 하위범주, 13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청소년 분노표현 및 대처에 관한 분석 결과 도출된 총 12개의 범주는 다음과 같다. 안정적 돌봄의 결여, 분노 촉발 상황들, 왜곡된 사고와 분노의 관계, 분노로 인한 신체 및 심리적 증상, 분노표현의 다양한 형태들, 억제된 분노, 분노조절의 어려움, 분노조절을 위한 청소년의 시도, 적절한 분노 표현법에 대한 갈망, 분노의 심리 메커니즘, 분노조절을 위한 전문가의 효과적인 방식들, 새로운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요구에 직면 등이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분노 문제가 있는 청소년들에 대한 전문 상담 및 치료적 접근,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기반의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사회적 지지체계의 확충, 청소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 분노대처 전문 교육 및 워크숍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그룹 음악과 심상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Inquiry on Group Music and Imagery Experiences)

  • 김지혜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7권2호
    • /
    • pp.101-117
    • /
    • 2020
  • 본 연구는 그룹 음악과 심상(Music and Imagery: MI) 경험을 심층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치료사가 배제된 동료 그룹 MI경험이 있는 전문 음악치료사 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사례 자료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그룹에서 음악을 공유하거나 선곡해보고, 지지감을 경험하는 초기의 성공적 그룹경험을 통해 그룹과 음악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신뢰감은 참여자들에게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는 확장된 음악, 정서, 심상, 관계적 경험으로 이어지는 기반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자들에게 그룹의 지지적 특성이 MI경험에서 새로운 경험과 시도를 도전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MI경험에서 그룹이 더욱 확장된 정서와 통찰경험을 촉진하는 치료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나아가 음악심리치료 중재의 그룹 적용을 위한 적용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PBL 부분통합 교과과정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PBL Hybrid Curriculum Examin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 김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43-354
    • /
    • 2019
  •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PBL 부분통합 교과과정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이며, 총 25명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의미있는 주제를 찾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PBL 부분통합 교과과정의 비효율성 2) 학습에 대한 불안 3) PBL 운영에 대한 불만 4) 조별활동의 어려움 5) PBL에 대한 수용 6) 변화와 만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을 제안한다. PBL에서 학습내용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과 과정평가 비중을 높여 PBL 평가의 본래 취지를 살려야 할 것이며 PBL 전문가와 전문부서에 의한 세분화된 튜터 교육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청소년 성장환경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Adolescent's Growth Environment in Busan)

  • 김교정;정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72-285
    • /
    • 2008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성장과 적응을 위한 현재의 환경개선과 서비스 프로그램의 탐색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부산광역시 다문화청소년 5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 8명은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행하였다. 첫째, 설문지 분석결과로 초등학교 재학이 가장 많으며 출생별 서비스에 대한 욕구의 차이와 경제적수준에 따른 대인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둘째, 다문화청소년 전문가 그룹인터뷰결과, 다문화청소년 현재의 문제로는 학업수준과 대인관계로 지적되었다. 다문화청소년 당사자 욕구파악을 토대로 가족차원의 통합적인 서비스를 중심으로 그리고 동화주의의 차원이 아니라 그들의 문화를 인정하고 그들이 직접 참여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논의되었다. 이에 대한 제언으로. 당사자참여의 서비스 기획과 전문성을 위한 인력배치와 인센티브제도 정착, 지역 조직간의 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가족단위의 통합지원서비스와 마지막으로 지역사회가 참여하는 분위기 조성이 제언되었다.

임상간호사의 리더십 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적용 (Leadership Experience of Clinical Nurses: Applying Focus Group Interviews)

  • 이병숙;어용숙;이미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71-68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leadership experience of clinical nurses. Methods: During 2014, data were colle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held with a total of 20 clinical nurses participating.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s they were spoken and transcrib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Fifteen categories emerged from the five main themes. 1) Thoughts on the leadership category: to lead others, to cope with problem situations adequately and to serve as a shield against difficulties. 2) Situations requiring leadership: situation that requires correct judgement, coping and situations that need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3-1) Leadership behaviors: other-oriented approach and self-oriented approach. 3-2) Leadership behavior consequences: relevant compensation and unfair termination. 4-1) Facilitators of leadership: confidence and passion for nursing and external support and resources. 4-2) Barriers to leadership: non-supportive organization culture and deficiency in own leadership competencies. 5) Strategies of leadership development: strengthen leadership through self-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leadership development.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clinical nurses' leadership role in healthcare. Enhancement can be achieved through leadership programs focused on enlarging leadership experience, constant self-development, leadership training, and development of leadership competencies suited to the nursing environment.

노인장기요양시설 서비스의 질 평가 탐색 : 포커스 그룹 연구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in Aged Care Facilities : A Focus Group Study)

  • 이정석;이용미;황라일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3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eaning and contents of high-quality aged care facilities and provide basic data for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in such facilities. Methods: The focus group interviews and participants consisted of two user groups, for a total of 16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living in facilities and four service provider groups, for a total of 26 chief managers and caregivers working in aged care facilitie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s they occurred. Content analysis was used and debriefing notes were referred to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Results: Four themes of a high-quality aged care facility emerged from the analysis; 1) a place to rest for comfortable later years; 2) systematic value-based management; 3) providing professional care; 4) comprehensive service provision in response to diverse need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client centered care and ethical mindset of providers, which had not been included in the existing quality evaluation programs. Based on these results, medical treatments, end-of-life care and more comprehensive and extended services including family care need to be provided in facilities to ensure good quality aged care.

공학 사용의 경험에 근거한 수학교사의 신념 연구 : 포커스그룹 인터뷰 (A Study on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about Their Use Technology Experiences: Focused Group Interviews)

  • 이은숙;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2호
    • /
    • pp.99-11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qualitatively conducted for getting the answer of this problem by searching the beliefs of mathematics teachers with experience in technology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s these belief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 of eight teachers and one university professor having technological experiences from three years to ten years with a higher degree than M.A.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focused group interviews for twice and individual interview as wel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through several readings of transcripts and then main themes were derived by classifying, comparing, and contrasting cod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s with the experiences of technological tools have the concrete belief that technology helps both students and teachers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and enhance various representational activities and motivations. The result also identified the impeding factors of three beliefs of mathematics teachers. From these beliefs and factors, this study would suggest how to help teachers hold their beliefs about using technologies to improve their teachings and students'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