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포장지역

Search Result 93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ctual Distributing States of the Fresh Wild Vegetables at Five-Day Traditional Markets in Gangwon and Jeonnam Districts (강원과 전남 지역 오일장에서 신선 나물류의 유통 실태 분석)

  • Cho, Ja-Yong;Park, Yong-Seo;Kwack, Soo-Nyeon;Im, Myung-Hee;Lee, Mi-Kyung;Heo, Buk-Gu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4 no.6
    • /
    • pp.716-721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resources of wild edible greens,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marketing of fresh wild vegetables. We have also investigated the distributing factors at five-day traditional markets (Taebaek, Hongcheon and Hoengseong) in Gangwon district, and in Jeonnam district (Naju, Damyang and Jangseong), in May and June 2007. At each market, there were 34 to 49 diverse shops selling fresh wild vegetables except at Naju, where there were 22 shops. Between 27 to 29 kinds of fresh wild vegetable were on sale at the traditional markets in Gangwon district, and 15 to 19 kinds were on sale along with many horticultural plants in Jeonnam district. Fresh wild vegetables including Aster scaber, Petasites japonicus, Pteridium aquilinum var. latussculum, Malva verticillata,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Lactuca sativa, leaves of Capsicum annuum, and Oenanthe javanica were on sale in the markets in both districts. Those selling fresh wild vegetables were typically over 51 years of age (88%), and among these over 66.4% were over 61 years old. Less than 6 kinds of fresh wild vegetable accounted for over 72.1% of the vegetables sold. Edible wild greens were mainly packed in vinyl bags (over 77%).

Ric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in China (중국의 쌀 생산, 유통 및 이용현황)

  • Liao, Xiyu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2.08a
    • /
    • pp.13-31
    • /
    • 2002
  • 쌀은 중국에서 중요한 식량작물로 제9차 5개년 계획(1966-2000년) 동안 재배면적 31.4백만 ha이며 생산량은 단위 ha당 6,303kg으로 198백만톤에 이르며 이는 재배면적으로는 식량작물의 27.7%, 그리고 생산량으로는 전체식량작물의 40%를 각각 점하고 있다. 이러한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각각 세계전체면적과 생산량의 20.7%와 33.7%를 차지하는 많은 량이다. 중국의 남부지역은 전지역의 73.5%가 이모작으로 재배되며 주품종은 Indica이다. 중국의 중부지역은 이모작과 일모작의 재배형태가 2:3으로 공존하고 있으며 양쯔강 이북은 주로 일모작의 형태이다. 중국의 쌀 재배면적은 1960년대 이후 점차 증가하다가 1980년대 후반으로 정체되었다가 최근 90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재배면적의 감소가 가속화되고 있으나 단보당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1년 중국의 쌀소비량은 138백만톤으로 이의 85.2%는 식량용으로, 5.8%는 사료용으로, 1.3%는 가공용, 1.5-2.0%는 수출용으로 그리고 1.2%는 종자용으로 소비되었다. WTO체제에 들어서도 중국의 쌀 생산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않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로는 충분한 생산능려과 자급률, 쌀의 낮은(4%) 국제교역비율, 총생산량에 대한 낮은 쿼터비율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WTO체제 가입에 따른 압력 또한 존재하는 것이 사실인데 그것은 낮은 품질, 국제가격보다 높은 국내가격 등을 들 수 있다. 향후 중국 쌀의 발전적 전략들로는 쌀의 안정적 발전을 지속하는 일, 쌀 재배구조 조정과 함께 높은 미질을 가지는 품종육종, 기계화를 비롯한 경작기술의 발달, 쌀과 부산물 가공기술의 개발연구, 특징 기능을 함유하는 유전공학적 기술의 적용, 토지와 도시화 그리고 식량순환에 시스템의 개혁 등 과학기술을 고양하는 일 등을 들 수 있다.TEX>$\times$10cm의 소식일수록 짧아서 재식주수와 경장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다. 9 경직경은 30$\times$10cm, 40$\times$10cm의 소식일수록 크고 20$\times$10cm의 밀식일수록 작았다 10. 수량구성요소인 주근장과 수량인 건근중은 30$\times$10cm, 40$\times$10cm의 재식주수가 적을수록 높아서 재식주수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11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경직경이 크고 주근장이 길어서 10a당 건근중이 많은 30$\times$10cm(33주/$m^2$)가 알맞은 재식거리였다.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농약취급시의 건강장해예방행동을 촉구하는 등의 효과도 높은 것으로 예방의학적인 유용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대두 단백질로 코팅된 golden delicious는 상온에서60일 동안 보관하였을 경우, 사과표피의 색도 변화를 현저히 지연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control과 비교하여 성공적으로 사과에 코팅하였으며, 상온에서 보관하여을 때 사과의 품질을 30일 이상 연장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대두단백질 필름이 과일 등의 포장제로서 이용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요 소를 지닌 병렬적 합성어([$

  • PDF

The natural habitat and distribution of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in Korea (개느삼의 분포와 자생지 환경특성)

  • Cheon, Kyeong-Sik;Jang, Su-Kil;Lee, Woo-Tchul;Yoo, Ki-Ou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9 no.4
    • /
    • pp.254-263
    • /
    • 2009
  •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were investigated to compil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e species Echinosophora koreensis is distributed within fourteen regions of the Korean Province of Gangwon, including Yanggu-gun, Inje-gun, Cheorwon-gun, Chuncheon-si and Hongcheon-gun. Natural habitats were located at altitudes of 192-626 m, with inclinations of $1-45^{\circ}$. One hundred and fifty seven vascular plant taxa were identified from 42 quadrats in 14 habitats. Dominant species among the woody plants, based on importance value, were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dentata in the tree (T1) layer,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in subtree (T2) layer, and Fraxinus rhynchophylla, Prunus sargentii, Zanthoxylum schinifilium, and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in the shrub (S) layer. Importance values for members of the herb layer were: Echinosophora koreensis 28.34%;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10.21%; Spodiopogon sibiricus 7.60%; Atractylodes ovata 4.77% and Carex lanceolata 4.13%. The importance values of the last four species were high, so they were at affinity with Echinosophora koreensis in their habitats. Average species diversity was 1.03, and evenness and dominance were found to be 0.82 and 0.16, respectively. The soil types were sandy loam and loam. Average field capacity was 13.28%, and the organic matter and soil pH were 6.70% and 5.77, respectively.

Screening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al Enterotoxin a, b, c gene in Strains Isolated from Strawberry Farms in Western Gyeongnam (서부 경남지역 딸기 농장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의 분리와 Staphylococcal enterotoxin a, b, c gene 검색)

  • Kim, Se-Ri;Shim, Won-Bo;Kim, Ji-Hun;Hwang, Seung-Jae;Park, Seon-Ja;Ha, Sang-Do;Kim, Keun-Sung;Lee, Kyu-Ho;Kim, Min-Gon;Kim, Kwang-Yup;Kim, Cheol-Ho;Chung, Duck-Hwa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7 no.2
    • /
    • pp.321-327
    • /
    • 2005
  • Staphylococcus aureus is spread worldwide and can result in food poisoning outbreaks. Among samples collected from soil, water, protected houses, packing houses, employees, strawberries, and leaves, and analyzed for S. aureus contamination, 16% samples 'showed S. aureus contamination, particularly on employees' hands, scissors, and strawberries. Examination of enterotoxins A, B, and C genes of S. aureus by PCR revealed sea and seb in 92 and 38% of total strains, respectively, whereas sec was not detected. In conclusion, implementation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 is necessary for preventing food-borne diseases of staphylococcal origin,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farm-to-table products.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Hot Pepper, Soybean, Maize, and Chinese Cabbage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경북지역 고추, 콩, 옥수수, 배추밭의 잡초종 발생 분포와 우점 양상)

  • Kim, Sang Kuk;Kim, Hak Yoon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4 no.2
    • /
    • pp.95-103
    • /
    • 2015
  •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dominance of weeds occurred in four summer crop fields, hot pepper, soybean, maize, and Chinese cabbage in Gyeongbuk province. The weeds were summarized as 32 family and 132 species in hot pepper field, 31 family and 116 species in soybean field, 37 family 134 species in maize field, finally 35 family and 170 species in Chinese cabbage field. Among these weeds occurred in the four summer crop fields, the compositae was commonly dominant family, it occupied 17.4% in hot pepper field, 18.1% in soybean field, 11.9% in maize field, and 16.5% in Chinese cabbage field. The major five families including compositatae, graminae, polygonaceae, convolvulaceae and cruciferae were occupied 43.2% in hot pepper field, 47.4% in soybean field, 42.5% in maize field, and 43.5% in Chinese cabbage field,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most dominant weed in the hot pepper, soybean, maize, and Chinese cabbage fields was Portulaca oleracea, Digitaria ciliaris, and Rorippa palustris, respectively. This information could be useful for estimation of future weed occurrence, weed population dynamics and establishment of weed control methods in food crop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Onion, Garlic, Potato, and Barley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경북지역 양파, 마늘, 감자, 보리밭의 잡초 분포 및 우점 특성)

  • Kim, Sang-Kuk;Shin, Jong-Hee;Park, Sang-Gu;Kim, Se-Jong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4 no.2
    • /
    • pp.77-84
    • /
    • 2015
  • We surveye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weeds in onion, garlic, potato, and barley fields including 304 sites of Gyeongsangbuk-do. The weeds were summarized as 30 family and 125 species in onion crop field, 29 family and 101 species in garlic field, 30 family 88 species in potato field, finally 27 family and 108 species. Compositae was dominant family (26.4%, 33 species), followed by Polygonaceae (8.8%, 11 species), Cruciferae (8.8%, 11 species) in onion field. Compositae was also dominant family (24.8%, 25 species) in garlic field, it was 22.7% (20 species) in potato field, and it was also 24.1% (26 species) in barley field, respectively. Among these winter crops, major five families were occupied 61.1, 58.4, 58.0 and 57.5% in turn at barley, onion, potato and garlic fields. The PCA-covariance plot analysis for investigation of occurrence pattern of weeds by four winter crop fields revealed that the occurrence pattern of weed species in barley field was distinguished by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Stellaria alsine var. undulate and Stellaria aquatica.

호주, 인도네시아와 중국에서의 유황연구 비교

  • Blair G.J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90-103
    • /
    • 1996
  • 식물 양분으로서 유황의 중요성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더욱이 대기에서 유래된 유황함량이 감소되고 집약적인 농업으로 유황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호주에서 유황 부족 현상이 1915에 확인된 이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1980년까지 과석 사용으로 유황의 결핍상황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작물 재배가 집약화되고 과석이 고농도비료로 대체되어 사용되면서 유황부족 현상이 증가되었다. 호주의 다우 지역에서 수행된 인광석 시험포장 30군데 중$43\%$가 2년 차에서 효과가 있었다. 토양 유황 검정사업을 통해 유황 분포상황을 파악하게 되었고 시기에 맞는 연구를 통하여 유황 비료 시용으로 유황 결핍을 극복할수 있는 비료정책 발전에 기여하게 되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유황 부족 현상은 과석과 유기질 비료 시용에서 중과석과 요소로 대체되면서 진전되었다. 쌀 생산을 위한 국가 계획에 유안을 질소로서 $25\%$ 포함시킨 효과적인 지도 활동으로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시비관리로 유황 부족 지역에 유황을 시용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쌀 생산을 위한 유황비료 종류, 시용시기 및 위치 등에 관한 연구가 실용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의 효과적인 종합 양분으로서의 유황 문제 해결은 연구, 지도, 행정 및 산업계의 상호 밀접한 관계를 요구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유황 부족 토양은 대기로의 유황 방출이 감소되고 고농도 비료, 저유황 비료의 시용으로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 대부분의 중국 토양은 유황 흡수능이 낮아 생산성은 시용 유황 함량에 따라 결정된다. 유황 결핍과 양분으로서의 수지균형 관계를 이해 하므로서 농업에서의 유황 관리 체계 수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X>$\mu\textrm{g}$ L$^{-1}$에서는 5.4%로서 가장 낮은 성장을 보였다. 성장률의 전체적인 양상은 노출농도가 증가할수록 성장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사료효율과 마찬가지로 노출농도 80 $\mu\textrm{g}$ L$^{-1}$ 이상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circ}C$에서 각각 3.95-28.9개, 2.9-28.95개 및 1.7-13.6개로 제공된 먹이간에 차이가 현저하였다. 따라서 먹이간 성충 포식량의 현저한 차이는 기주선호성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군에서 높았으며, elongation index(20:4$\omega$6⇒22:4$\omega$6)는 old군에서 낮았다. 대부분의 elongation과 desaturation 단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omega$3계 지방산의 전체적 elongation-desaturation 단계를 나타내는 products-fatty acid($\omega$3)/a-LNA($\omega$3) 비율이 old군에서 young군보다 유의하게 높아, 연령에 따른 PUFA 대사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 상에서와 같이, 콩 단백질의 섭취로 흰쥐 혈장 인지질의 ∑MUFA조성은 낮고 ∑SFA 조성은 높아 다른 지질 강화성 분의 섭취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높은 old군에서 체내 막조직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PUFA의 합성 특히 $\omega$3계 지방산의 elongation-desaturation이 증가하여 총 PUFA 조성이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Once-Over Harvest Pepper Harvester(I) - A Fundamental Factor Test for Pepper Detachment - (일시수확형 고추수확기 개발에 관한 연구 (I) - 고추 탈과 기초요인시험 -)

  • Kim, Y. K.;Hong, J. T.;Choi, Y.;Jun, H. J.;Park, H. J.;Cho, Y. 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4-59
    • /
    • 2002
  • 1. 일시수확형 고추의 기계수확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4종류의 탈과장치를 제작하여 공시고추로 탈과시험을 실시한 결과 탈과장치는 방사대칭식(브러쉬형), 고추이송(공급)속도는 0.1m/s, 탈과장치 간격은 3cm, 탈과장치 회전수는 180rpm에서 정상탈과율 77.3%, 손상률 7.6% 미탈과율 3.0%로 가장 양호한 성적이 나타났다. 2. 방사대칭식(브러쉬형) 탈과장치를 이용하여 무지용 상향착과형 고추, 지주용 하향착과형 고추, 지주용 상향착과형 고추를 공시하여 고추별 탈과시험을 실시한 결과, 고추이송(공급)속도 0.1m/s, 원통사이간격 3cm, 탈과장치 회전수 180rpm에서 가장 양호한 성적이 나왔으며, 지주용 하향착과형 고추가 정상탈과률 82.7%, 손상률 7.4%, 미탈과율 2.7%로 무지주용 상향착과형 고추(52.3%, 14.3%, 12.5%)와 지주용 상향착과형 고추(77.3%, 7.6%. 3.0%)에 비해 기계수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이상의 고추 기계수확 요인시험의 결과, 탈과장치는 방사대칭식(브러쉬형) 고추종류로는 하향착과형 고추가 기계수확에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확 후 회수가 가능한 줄기부착고추를 포함한다면 고추기계수확률은 80% 이상, 꼭지가 떨어진 것이 대부분인 손상고추도 수확 후 즉시 기계건조하여 가공용으로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면 기계 수확률은 90% 이상 가능하지만, 이것의 수용 여부는 좀 더 폭넓은 의견수렴 및 조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 고추수확 기계화를 위해서는 실내요인 시험 결과를 토대로 포장에서 수확메커니즘 구명과 더불어 고추 과실이 크고 무지주용 하향착과형 일시수확형 고추 품종의 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5) 마늘 선별작업 -마늘선별기는 작업성능이 높고 5등급으로 균일 선별되었으며 손상도 없었으나, 기계가 크고 무거워 이동이 곤란하고 가격이 비싸므로 선별등급을 3∼4단계로 줄이고 소형 농가보급형으로 개량제작이 요구됨. 나. 마늘재배 일관기계화에 의한 노동투하시간과 비용 -종자준비부터 통마늘선별까지의 일관기계화로 투입된 주요작업의 노력은 75∼76%가 절감되고, 재배규모 3ha기준시 비용은 44-53%절감되었음. the annealing texture. Observations by TEM and EBSD revealed the formation of very fine grains of ∼1.0$\mu\textrm{m}$ after CCSS.he dislocations form local defect arrangements at the grooves permitting the substantial reduction in defect density over the remainder of the interfacial area.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Estimation of Heading Date for Rice Cultivars Using ORYZA (v3) (ORYZA (v3) 모델을 사용한 벼 품종별 출수기 예측)

  • Hyun, Shinwoo;Kim, Kwang Soo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9 no.4
    • /
    • pp.246-251
    • /
    • 2017
  • Crop models have been used to predict a heading dat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fertilizer application. Recently, the ORYZA (v3) model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ORYZA2000 model, which has been used for simulation of rice growth in Korea. Still, little effort has been made to assess applicability of the ORYZA (v3) model to rice farms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liability of heading dates predicted using the the ORYZA (v3) model, which would indicat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o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fertilizer application.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from 2015-2016 at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to obtain rice phenology data. Shindongjin cultivar which is mid-late maturity type was grown under a conventional fertilizer management, e.g., application of fertilizer at the rate of 11 Kg N/10a. Another set of heading dates was obtained from annual reports at experiment farms oper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and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in each province. The input files for the ORYZA (v3) model were prepared using weather and soil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n Meteorology Administration (KMA) and the Korean Soil Information System, respectively. Input parameters for crop management, e.g., transplanting date and planting density, were set to represent management used for the field experiment. The ORYZA (v3) model predicted heading date within 1 day for two seasons. The crop model also had a relatively small error in prediction of heading date for three ecotypes of rice cultivars at experiment farms where weather input data were obtained from a near-by weather station. Tho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RYZA (v3) model would be useful for development of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fertilizer application when reliable input data for weather variables become available.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ultivar 'palchung' (Morus Lhou(Ser.) Koidz.) for mulberry breeding as pollen parent (오디 생산용 뽕 품종 육성을 위한 교배모본 '팔청'의 특성)

  • Sung, Gyoo Byung;Kim, Yong Soon;Kim, Kee Young;Kim, Hyun-Bok;Ji, Sang;Kang, Pil Don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52 no.2
    • /
    • pp.147-154
    • /
    • 2014
  • We bred a mulberry cultivar named Palcheong, through local adaptability test, which is under registration as a new cultivar for fruit production. Local adaptability test had been carried out at four places (Suwon, Kongju, Wanju, and Jinju) for seven years from 2007. This is belonging to (Morus Lhou(Ser.) Koidz.) selected among mulberry genetic resources preserved in Suwon. Its sex expression was hermaphrodite, which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seedling for fruit production by artificial crossing as pollen parent Palchung showed lower yielding in fruit productivity by 16% compared to control cultivar 'Chungil (Morus alba L.)' for five years. Although Palchung was higher in sugar content of mulberry fruits, it was bigger than that of 'Chungil'. It is adaptable to every where except the places where cold damage and sclerotic disease happen frequ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