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포장재

Search Result 1,36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각 국가 권역별 이행 실험방법에 따른 고온가열 식품포장재의 시뮬란트별 총이행량 비교 (Comparison of the Overall Migration Values from Various Plastic Food Packaging Materials into Food Simulants Under High Temperature Testing Conditions as Described in the Regulations of Different Country areas)

  • 이근택;김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3-341
    • /
    • 2001
  • 각 국가 권역별 이행실험방법에 따라 고온가열 식품 포장재와 용기의 simulants별 이행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고온가열 식품에 대한 총이행량을 비교해 본 결과 비지방성 simulant로 증류수와 10% ethanol수용액을 사용한 경우 일반적으로 121$^{\circ}C$의 2시간 조건에서의 CPA와 PA 6,6 필름을 제외하고는 2.5 mg/dm$^2$ 보다 낮았다. 지방성 simulant 에서 soybean oil로의 총이행량은 다른 simulan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된 필름들 중 PVC wrap에서의 총이행량은 23.9~54.6 mg/dm$^2$로서 다른 필름들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비지방성보다는 지방성 식품의 simulant에서 그리고 온도가 높은 조건하에서 이행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유사한 실험 온도와 시간 조건하에서는 PA계의 극성 필름은 극성 simulants에서, 그리고 PO계와 같은 비극성 필름은 비극성 simulants에서 이행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일부 필름에서 국가 권역별 이행실험 방법 및 조건의 상이함으로 인한 이행량의 차이가 확인되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할 사실이다.

  • PDF

유통 PVC 식품포장재 중의 DEHP 함량(2000-2002년, 2004년) (Contents of Di-(2-ethylhexyl) Phthalate in PVC Food Packaging (In 2000-2002 and 2004))

  • 윤미혜;엄미나;김기철;정홍래;정일형;도영숙;김재관;김영숙;고환욱;손진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99-204
    • /
    • 2005
  • DEHP는 PVC의 유연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가소제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식품용 PVC제조시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나 주변 환경으로부터 쉽게 오염될 수 있고 동일한 설비로 여러 용도의 PVC를 생산할 경우 혼입될 우려가 있어 안전성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통 제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04년까지(2003년 제외)경기도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PVC 식품포장제를 대상으로 재질에 함유된 DEHP함량을 분석하였다. 2000년에는 총 47건 중 30건($63.8\%$)에서 $5.5\∼80.6\;g/kg$의 DEHP가 검출되어 유통 제품 대부분이 DEHP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검출된 제품은 대부분 한과류 용기로 나타났다. 2001년의 경우 DEHP검출 제품은 143건 중 56건($39.2\%$)으로 $1.3\∼82.8$ G/kg의 함량범위를 보였고 2000년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한과류 용기에서 DEHP가 검출 되었다. 2002년에는 88건 중 8건($9.1\%$)에서 $1.3\∼51.5$ G/kg의 범위로 DEHP가 검출되었고, 2004년에는 89건 중 1건 ($1.1\%$)에서 30.5 g/kg의 DEHP가 검출되었다. DEHP 검출을은 2000년 $63.8\%$, 2001년 $39.2\%$, 2002년 $9.1\%$, 2004년 $1.1\%$로 매년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유통 PVC식품포장재에 대한 지속적인 수거$\cdot$검사와 제조업체에 대한 관리로 DEHP사용이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유류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to fermented milk)

  • 박성빈;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38-444
    • /
    • 2015
  • 본 연구는 발효유류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 적용을 위한 목적으로 하였다. 발효유류의 주원료, 작업장 시설과 작업자 등에 대하여, 2013년 11월 5일~2014년 4월 13일까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소재에 있는 YD 업체에서 제공받았다. 제조공정도는 일반적인 발효유류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을 참고로 작성하였다. 제조공정도는 원료(원유, 액상과당, 올리고당, 유산균), 부재료, 포장재의 입고, 보관, 투입, 예열, 혼합, 균질, 살균, 예냉, 배양, 냉각, 여과, 내포장, 외포장, 보관 및 출하공정으로 Fig. 1과 같이 작성하였다. 원료의 미생물학적위해요소 분석결과는 Table 1과 같다. 본 연구결과 발효유의 원재료와 살균($90^{\circ}C{\pm}5^{\circ}C$에서 $35{\pm}3$분) 후에는 위해미생물검사 결과는 안전하나 제조환경과 작업자의 미생물검사 결과 체계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키고, 작업자 위생교육 등을 통하여 개인위생개념 향상과 작업장 내 공기중의 미생물 관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 토양(土壤)의 토성별(土性別) 유효수분(有效水分) (Available Soil Water for Textural Class of Korean Soils)

  • 정석재;문준;김태순;현근수;박창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7-172
    • /
    • 1990
  • 우리나라 토양(土壤)(제주도(濟州道) 토양(土壤) 제외(除外))의 토성별(土性別)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 평균치(平均値)를 구(求)하고 토양성질(土壤性質) 사이의 상관(相關)을 구명(究明)하고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의 추정식(推定式)을 얻기 위하여 시(市) 군(郡) 대표단면(代表斷面)의 토양분석치(土壤分析値)(표본(標本)크기 : 2,808개(個))를 이용(利用)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토성별(土性別) 평균(平均)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은 사토(砂土) 4.7, 양질토양(壤質砂土) 7.7, 사양토(砂壤土) 13.2, 토양(壤土) 17.7, 미사질양토(徵砂質壤土) 19.2, 식양토(埴壤土) 15.9, 사질식양토(砂質埴壤土) 14.5, 미세질양토(徵砂質埴壤土) 18.7, 미사질식토(微砂質埴土) 17.3 그리고 식토(埴土) 14.9%이었다. 2.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일때의 수분함량(水分含量)과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은 대체로 조립질토양(組粒質土壤)에서 모래 그리고 세립질토양(細粒質土壤)에서는 유기물(有機物), 영구위조점(永久萎凋點)에서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점토(粘土)가 가장 크게 관계(關係)가 있었다. 3.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은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일때의 수분함량(水分含量)과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내었고 영구위조점(永久萎凋點)일때의 수분함량(水分含量)과는 상관(相關)이 없었다.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은 미사(微砂)의 영향(影響)을 크게 받았다. 4. 토성별(土性別)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일때의 수분함량(水分含量) 및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의 추정식(推定式)이 얻어졌다.

  • PDF

두부류에 대한 HACCP 적용 및 성과 (The Application of HACCP System to Soybean Curd and Its Effectiveness)

  • 박완희;이성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02-210
    • /
    • 2003
  • 두부는 양질의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한 대중 식품으로 소비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두부는 변질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식품에 해당되지만, 두부제조업체는 82.4%가 종업원 5인 이하 소규모로 체계적인 식품안전관리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HACC(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 위해요소 중점관리제도)는 식품안전성과 비용절감을 ㅎ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체계적, 지속적인 공정관리 방법이다. 본 연구는 두부제조업체의 실정에 맞는 HACCP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성과를 확인함으로써 두부 HACCP 시스템의 일반적 모델을 확정하고 다른 중소업체 및 대기업으로 이를 확산시키려고 시행하였다. 규모별 4개 두부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판 두부와 포장 판 두부의 HACCP 계획을 Codex의 HACCP 적용 지침에 따라 현장 실부자와 협력하여 수립하였다. HACCP 팀 편성, HACCP 범위 및 목적의 설정, 제품 기술 및 사용자 의도의 결정, 공정도 작성 및 현장 검증, 위해 분석 및 예방책 식별, CCP(중요관리점)의 식별, CL(관리할계기준) 설정, CCP 모니터링 시스템 수립, 개선조치 설정, 검증절차 수립, 기록 및 문서화의 순서로 HACCP 계획을 작성하였다. 공정 중 CCP는 선별 공정, 냉각 공정, 열처리 공정(판 두부는 제외)으로 결정하였고, 각각의 HACCP 계획에 따라 관리하였다. 제정된 HACCP시스템을 3개월간 시행한 후 그 성과를 HACCP 적용 이전과 이후의 미생물 검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검사결과 HACCP 적용 이전의 판두부 플라스틱 상자, 포장재, 완제품의 일반 세균수가 HACCP 적용 이후에 크게 감소되었다.(P<0.1) 두부제조업체의 실정에 맞는 HACCP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위생관리 및 식품안정성 확보에 큰 성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쌀 브랜드 자산 평가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ustomer-Based Rice Brand Equity Model)

  • 김덕현;하지영;이승현;안욱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3호
    • /
    • pp.215-241
    • /
    • 2014
  • 마케팅 활동에서 브랜드의 영향력이 증가됨에 따라 국내의 농식품 시장에서 다양한 쌀 브랜드가 개발되고 있으나 지속적인 관리 부재로 인하여 경쟁력이 상실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 개별경영체들이 개발한 쌀 브랜드의 인지도를 향상하기 위한 브랜드 자산평가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브랜드 전문가를 통한 전략캔버스(ERRC) 분석을 실시하여 쌀 브랜드 자산 요소를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브랜드에 대한 자산 속성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이는 브랜드 개발에 대한 기존연구에서 더 확장된 분석방법으로써 기 개발된 브랜드의 자산평가를 통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산출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결과 브랜드 자산에 대한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객과의 유대감 형성해야하고, 유대감을 측정하는 세부항목은 만족도, 만족우위성, 재구매 의향, 가격 프리미엄, 구매의도, 주위권유 등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자산의 가치향상을 위한 유대감 형성방안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정수준의 품질을 확보한 쌀에 대해서 지역의 대표 쌀 브랜드명을 포장재에 표시하도록 하여 명품화를 추구한다. 품질수준이 확보된 브랜드 쌀은 지역 브랜드로 통합하여 규모화하고, 지속적인 품질관리와 브랜드 관리를 해야 한다. 둘째, 품질과 브랜드가 뒷받침되는 상품은 프리미엄 상품으로서 고가전략으로 접근하되 포장단위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셋째, 지인추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모션, 이벤트 등을 실시하여 홍보력을 높여야 한다.

신나팔나리(Lilium x fomolongi) 바이러스 감염이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virus infection in quality of production of Lilium x fomolongi as cut-flowers)

  • 정봉남;정재아;이은정;김정수;정명일
    • 식물병연구
    • /
    • 제9권4호
    • /
    • pp.237-241
    • /
    • 2003
  • 신나팔나리(Lilium x fomolongi) 뇌산 품종 실생묘에 Cucumber mosaic virus(CMV), Lily mottle virus(LMoV) 및 Lily symptomless virus(LSV)를 인공적으로 접종하여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재배포장에서 자연감염된 바이러스 병징과 감염율을 조사하였다. 재배포장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병징은 LMoV 감염에 의한 잎 모틀 증상이었다. 바이러스 감염율은 6년 이상 재 사용된 구근으로 재배하는 포장의 경우 CMV, LSV, LMoV 바이러스 가운데 두 종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한 복합 감염율은 80% 가량이었다. 신나팔나리 (Lilium x fomolongi) 품종 뇌산에 CMV-Li1과 LMoV-Li 복합감염시 건전주에 비해 초장 14%, 생체중 38%, 꽃 길이가 15% 감소하였다. CMV-Li1과 LMoV-Li 단독감염시에도 생체중은 건전주에 비해 각각 21.8%, 28.4%의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국내 딸기 시설재배 주산단지 토양 내의 주요 식물기생선충 감염 현황 (Incidence of Major Plant-parasitic Nematodes in Main Producing Areas of Strawberry in Korea)

  • 고형래;이민아;김은화;김세종;이재국
    • 식물병연구
    • /
    • 제22권4호
    • /
    • pp.249-256
    • /
    • 2016
  • 국내 딸기 주산단지의 시설재배지 170개 포장으로부터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식물기생선충을 조사한 결과, 농업적으로 중요한 뿌리썩이선충이 96개포장(56.5%), 뿌리혹선충이 63개 포장(37.1%)에서 검출되었다. 이 중 44개 포장은 뿌리썩이선충과 뿌리혹선충이 복합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뿌리썩이선충과 뿌리혹선충의 도별 발생은 경남지역이 각각 68%와 46%, 시 군별로는 진주시가 81%와 54%로 가장 높았다. 국내 최대의 딸기 수출재배단지이자 식물기생선충의 검출률이 가장 높았던 진주시의 뿌리썩이선충과 뿌리혹선충의 종 동정 결과, 사과뿌리썩이선충(P. vulnus), 당근뿌리혹선충(M. hapla)이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의 포장 저장 중 지방산 조성 및 헥사날의 변화에 의한 저장성 예측 (Shelf-life Prediction of Brown Rice in Laminated Pouch by n-Hexanal and Fatty Acids During Storage)

  • 한재경;김관;강길진;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97-903
    • /
    • 1996
  • 현미를 투습, 투기성이 없는 플라스틱 필름 적층 4겹 포장재에 넣고 저장 온도와 기간을 달리하면서 지방산의 산화와 헥사날에 의한 저장성을 예측하였다. 지방산도는 저장온도가 상승하고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높아졌으며, 활성화 에너지는 14.7 kcal/mole이고, $Q_{10}$값은 2.22였다. 현미의 지방질 구성 지방산은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이고 oleic acid와 linolenic acid가 대부분이었으며, 저장 온도가 상승하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linoleic acid는 감소하였으나 oleic acid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eadspace 기체 중의 헥사날도 저장 온도, 저장 기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활성화 에너지는 18.36 kcal/mole이고 $Q_{10}$값은 2.84이었다. 또한, 현미의 저장 중 헥사날의 생성은 linoleic acid의 산화와 비례적인 관계를 보였다. 본 실험의 조건에서 볼 때, 실온$(21^{\circ}C)$에서 현미의 저장성은 헥사날에 의해 80일, 지방산도에 의하여 60일로 예측되었다.

  • PDF

키토산 처리된 델라웨어 포도의 저장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in Delaware Grapes Treated with Chitosan during Storage)

  • 염수진;강지훈;정승훈;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39-745
    • /
    • 2015
  • 수확 후 델라웨어 포도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와 품질 유지를 위해 키토산 처리 후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에 포장하여 $4^{\circ}C$$20^{\circ}C$에 각각 저장하면서 저장 기간에 따른 효모 및 곰팡이 수와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 온도에 상관없이 키토산 처리 후 델라웨어 포도의 초기 효모 및 곰팡이 수는 1.88 log CFU/g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저장 12일 후 $4^{\circ}C$에 저장한 키토산 처리구는 1.35 log CFU/g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4.35 log CFU/g의 미생물 수 감소를 보여 $20^{\circ}C$ 저장보다 미생물 저감화 효과가 높게 유지되었다. 포장재 내 $O_2$ 농도는 저장 중 모든 처리구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CO_2$ 농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전반적으로 $4^{\circ}C$ 저장 시 적은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키토산 처리구의 $O_2$$CO_2$ 농도가 모든 저장 온도에서 낮은 변화 경향을 나타냈다. 경도에 있어서는 모든 처리구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4^{\circ}C$ 저장이 더 낮게 감소하였으며, pH와 당도는 $4^{\circ}C$ 저장에 비해 $20^{\circ}C$에서 높은 증가 추이를 보였다. 또한 키토산 처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저장 중 델라웨어 포도의 Hunter 색도 값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수확 후 델라웨어 포도에 키토산 처리 후 $4^{\circ}C$에서의 저온 저장이 델라웨어 포도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품질관리 기술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