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자 형태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6초

고추 탄저병균의 포자 발아와 부착, 균사 생장에 미치는 화합물의 활성 검정법 확립 및 살균제의 효과 (Development of assay method for the activities of new compounds, and the effect of several fungicides against spore germination, adhesion, and myceial growth of Colletotrichum sp. causing red pepper anthracnose)

  • 김재정;김준태;박성우;박은숙;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9-168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microtiter plate를 이용하는 실내 검정법을 이용하여 고추 탄저병균의 기주체 침입 초기에 볼 수 있는 형태 변화인 포자 발아 및 부착과 균사 생장에 미치는 다양한 화합물의 활성을 대량으로 검정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였고, 기존의 몇 가지 살균제가 가지는 고추 탄저병균의 초기 형태 분화 에 대한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실내 검정법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MTT와 propanol 처리, 접종하는 포자의 농도, 배양 시간들이 병원균의 흡광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TT를 12 시간, propanol을 1 시간 처리하였을 때, 그리고 JC24 의 포자를 $1\times10^5$개/mL의 농도로 접종하고 36 시간 배양하였을 때, 병원균의 흡광도가 일관성 있고 높게 나타났다. 살균제의 작용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6종의 보호용 살균제, 6종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 살균제, 1종의 호흡저해제를 선발하여 microtiter plate 대량 검정 방법에서 효과를 조사하였다. 보호용 살균제 중에서 mancozeb, chlorothalonil, dithianone 등은 $6.25{\mu}g/mL$ 처리구에서도 포자의 발아, 부착과 균사의 생장을 모두 80% 이상 억제하였으나, propineb, iminoctadine, fluazinam 등은 $100{\mu}g/mL$의 처리를 2 시간만에 세척하였을 때 흡광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포자 부착 억제 효과는 적었다. 6종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 중에서 hexaconazole, tebuconazole, myclobutanil 등은 포자의 발아와 균사 생육을 억제하고, 세척할 경우 JC24의 생육 억제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아 부착 억제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Nuarimol 은 $100{\mu}g/mL$로 처리한 고농도에서만 부착에 대한 억제 효과가 54.7%로 다른 억제 효과보다 우수하였으나, $6.25{\mu}g/mL$의 저농도로 처리하였을 때는 부착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Kresoxim-methyl은 6.25와 $100{\mu}g/mL$의 농도에서 포자 부착에 대한 억제율이 27.3%와 54.4%로 나타났는데, 처리하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효과도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때 microtiter plate를 사용하여 병원균이 식물체를 침입하는 초기에 나타나는 포자 발아와 부착, 그리고 균사 생장을 검정할 수 있었으며, 본 실험 방법을 통하여 Kresoxim-methyl은 탄저병균의 포자 부착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삼근부(人蔘根腐) 병원균(病原菌), Fusarium solani 및 Cylindrocarpon destructans에 길항적(拮抗的)인 Streptomyces species의 분류동정(分類同定) (Identification of Streptomyces species antagonistic to Fusarium solani or Cylindrocarpon destructans causing ginseng root rots)

  • 심재욱;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6-73
    • /
    • 1991
  • 인삼병원균(人蔘病原菌) 억제토양(抑制土壤)으로부터 110종(種)의 방선균(放線菌)을 분리(分離)하여 인삼근부(人蔘根腐) 병원균(病原菌)인 Fusarium solani와 Cylindrocapon destructans에 길항효과(拮抗?果)를 나타내는 3종(種)의 방선균(放線菌)이 형태적 배양적 생리적인 특정에 의거하여 각각 분류동정(分類同定)되었다. 포자사슬의 모양은 강화 6-2(K 6-2) 가 감긴형태 (Spira)였고, 서울 2-1(S 2-1)은 고리형태(Retinaculum-apertum)였으며, 양주 2-2(Y 2-2)는 꾸불꾸불한 형태(Rectus-flexibi-lis)였다. 포자벽 표면의 모양은 강화 6-2(K 6-2)에 서는 바늘모양의 형태(Spiny)인 반면, 서울 2-lCS 2- 1)과 양주 2-2(Y 2-2)에서는 모두 매끄러운 형태(Smooth)였으며, 기생균사체의 색깔은 모두 회색(灰色)계통이었다. 따라서, 강화 6-2(K 6-2), 서울2-lCS 2- 1), 양주 2-2(Y 2-2)는 Streptomyces variabilis, Stre-ptomyces virginiae, Streptomyces griseolus로 각각 분류동정(分類同定)되었다 .

  • PDF

콩 검은뿌리썩음병균(Calonectria ilicicola)의 형태적 특징과 유전자 수준에서의 동정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Calonectria ilicicola Causing Soybean Red Crown Rot)

  • 박성우;김홍식;우선희;심형권;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178-184
    • /
    • 2006
  • 2002년과 2003년 중부 이남의 콩 재배지에서 지상부에 황화 증상을 보이며, 지제부에 붉은 색의 자낭각이 형성된 콩을 채집하여 검은뿌리썩음병균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병원균으로부터 유성세대의 자낭각, 자낭, 자낭포자를, 무성세대의 분생포자와 소낭을 관찰하였다. 자낭각의 크기는 $357.9(312.5{\sim}391.5.7){\times}474.3(419{\sim}535){\mu}m$로 적갈색의 구형 또는 난형이었으며, 자낭(크기: $90.9{\times}15.0{\mu}m$)은 무색투명한 곤봉상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었다. 자낭안에 8개의 자낭포자가 형성되었는데, 무색투명하며 1-3개의 격벽을 지닌 약간 굽은 긴 형태로 크기는 $36.87(31.1{\sim}49.4){\times}5.22(4.5{\sim}6.1){\mu}m$이었다. 무성생식세대에서 만드는 분생포자는 긴 원통형이며 색깔은 투명하고, 크기는 $73.24(68.1{\sim}77.6){\times}5.76(4.9{\sim}6.8){\mu}m$로 자낭포자보다 컸다. 소낭의 모양은 둥근 모양이며 크기는 지름이 $8.46(6.2{\sim}10.0){\mu}m$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Crous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ITS와 $\beta$-tubuline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조사하여 phylogenetic analysis를 수행한 결과, 국내에서 분리한 18개의 병원균과 일본에서 분양받은 10개의 병원균 모두 Cylindrocladium parasiticum으로 동정되었다.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Trichoderma harzianum SJG-99721의 분리 및 형태학적 특징 (Isol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tichoderma harzianum SJG-99721, a Powerful Biocontrol Agent)

  • 이호용;민봉희
    • 환경생물
    • /
    • 제20권2호
    • /
    • pp.130-135
    • /
    • 2002
  • PDA배지에서 $25^{\circ}C$로 배양할 때 초기 균사의 색은 흰색을 띄고 있었으며 배양 후기에 생성되는 포자의 색은 짙은 푸른색을 나타내고 있었다. 시간당 성장률은 1.1mm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숙한 포자의 모양은 부드럽고 구형에 가까운 모양이었다. 이러한 형태학적 결과는 시간당 성장률이 0.5-0.7mm 이하인 Tricho-derma viride 및 T. hamatum의 특징과 성숙 포자의 모양이 실린더 모양인 T. koningii, T longibrachiatum과 구별되는 결과였다(Raifai 1969; Seaby 1996; Gams and Bissett 1998). 또한 Trichoderma harzianum의 분류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구조는 phialospore의 형태가 구형이어야 하며, 포자의 겉은 부드럽고 크기는 $2.5-3.0\times{3.4-4.0}\mu{m}$ 정도인 것이 특징이다(Morris and Doyle 1995a, b).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분리 균주를 동정한 결과 Trichoderma harzianum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Phytophthora capsici에 대한 분리 균주의 성장저해정도를 측정한 결과 $27^\circ{C}$의 조건에서 가장 높은 길항력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곰팡이에 대한 성장억제도 이 온도에서 가장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31^\circ{C}$ 이상에서는 T. harzianum SJG-99721의 성장 속도가 급속히 떨어짐을 확인한 바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느타리버섯의 균사 배양시 고온 배양을 실시할 경우 푸른곰팡이 병 오염을 극히 제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이러한 고온에서의 성장 속도 제한은 식물 병원성 미생물과의 길항 작용에서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생물농약으로서의 사용은 토양 온도가 $30^\circ{C}$ 넘지 않는 기간에 최대한 토양 내에서 증식이 이루어지도록 조처해야 한다. 진균성 식물 병원균의 세포벽 분해효소인 extracellular chitinase의 높은 활성도를 확인함으로서 Trichoderma harzianum SJG-99721의 강력한 식물 병원균 제어능력은 이들의 높은 chitinase의 활성도에 의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곤충기생균 Isaria sinclairii(Berk.) Lloyd의 형태학적 특성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ntomopathogenic Fungus, Isaria sinclairii (Berk.) Lloyd)

  • 남성희;지상덕;홍인표;허현;장승종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2-115
    • /
    • 2003
  • 1. sinclairii의 균의 형태학적 특성 및 배양특성을 조사한 결과 PDA배지에서 24$\pm$1$^{\circ}C$, 14일간 배양시 colony는 직경 35.6mm로 생장하였으며, 배양 앞, 뒷면은 흰색을 띠었다. 현미경 관찰시 균사는 투명하며 직경 2.1-4.5$\mu\textrm{m}$이고, 분생자형성세포(phialides)는 4.1-5.2${\times}$2.7-3.2 $\mu\textrm{m}$ 크기로 2-4개 발생하며, 선단의 목은 길고 뚜렷하였다. 연쇄상으로 발생하는 분생포자는 타원형 혹은 굽은 형태이며 평균 6.33${\times}$3.33$\mu\textrm{m}$ 크기이다. PDA 배지에서 1. sinciairii의 균사생장은 21-$25^{\circ}C$에서 직경 55mm 크기이며, 동일 환경에서 pH 5로 처리시 56mm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였다. 한편 포자 유발을 위해 현미배지를 이용하여 온도 16-2$0^{\circ}C$에서 정치배양시 포자농도는 14.5${\times}$$10^7$ conidia/$m\ell$이었으며, 동일조건에서 pH 6로 처리시 14.5$\times$$10^7$conidia/$m\ell$로 가장 우수한 포자형성 율을 보였다.

미생물 기반 자발적 콘크리트 균열치유제 성능 분석 및 실스케일 균열치유성능 검증 (Investigation of Microorganism-Based Autonomous Crack Healing Agent and Full-scale Verification of Crack Healing)

  • 유연준;이병재;양주경;이윤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138-143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탄산칼슘 형성 박테리아의 내생포자를 접종한 알지네이트 겔과 포자현탁액 형태의 균열치유제를 모르타르에 첨가하여 균열치유성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균열치유제 제조방법별 균열치유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박스형 암거 형태의 실 구조물에 적용하여 실험실 환경뿐만 아니라 개발된 균열치유제가 실제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실구조물 스케일에서 균열치유성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건조 방식을 달리한 두 가지 형태의 알지네이트 겔로 구성된 균열치유제를 분석한 결과, 건열건조 방식의 균열치유제는 균열치유 성능을 나타내었으나, 동결건조 방식의 경우 얼음 결정에 의해 다수의 포자가 사멸되어 균열치유성능을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스케일 구조물의 균열부에서 추출된 균열치유 추정물질의 SEM 사진과 XRD 패턴 분석 결과 균열치유제에 적용된 균열치유 미생물이 생성한 탄산칼슘 결정 중 하나인 calcite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생물에 의한 균열치유메커니즘이 실구조물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밭 토양에서 분리한 방선균의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tinomycetes Isolated in the Upland Soils)

  • 박경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94-400
    • /
    • 1992
  • 밭 토양에서 분리한 280개 균주의 방선균을 형태적 및 생리적특성으로 구분한 결과 15개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각 군들중 Streptomyces속은 12개군의 87.2% 그리고 Non-Streptomyces속은 3개군의 12.8%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체 분리균주 중 포자체의 Spiral chain형태의 Streptomyces속이 75%로서 우점하였다. Streptomyces속의 12개군을 전자현미경상에서 포자체의 표면형태를 관찰한 결과 2개군은 Spiny형태를 보였고, 10군은 Smooth형태를 갖는 것으로 동정되었다. 또한 분리 동정한 방선균 15개 군을 E. coli. P. aeruginosa 및 S. aureus의 3개 시험균주에 대하여 항균력을 검정한 결과로는 E. coli에서 S-6균주가 $6.23r/m{\ell}$이고 P. aeruginosa에는 S-9균주가 $8.46r/m{\ell}$이며 S. aureus에는 S-2균주가 $7.24r/m{\ell}$로서 다른 방선균에 비하여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 PDF

국내 자생 눈꽃동충하초 균의 명명 고찰 (Nomenclatural Studies on Paecilomyces tenuipes in Korea)

  • 남성희;이선주;조세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8-31
    • /
    • 2002
  • 눈꽃동충하초는 국내에서 몇 가지 학명으로 불려지고 있으나 그 중 오명이 포함되어 있음으로 인해 학자들간에 논란이 되고 있으며, 균학도들에 의해서 잘못 인용되는 사례가 빈번함에 따라 본 시험에서는 균을 재 동정코자 하였다. 수집 균은 담황색 분생자병속을 1~5여개 형성하며 그 끝마디에는 다량의 분생포자가 발생되었다. MA배지 상에서는 $25^{\circ}C$, 14일간 직경 2.1 cm로 더딘 생장을 보이며, colony의 색상은 앞면은 옅은 담황색, 뒷면은 연노랑 색이며, 분생포자는 타원형 혹은 난형으로 2.9~6.6$\times$l.5~2.5$\mu\textrm{m}$이며 분생포자를 지탱하고 있는 phialide는 부풀고 팽창한 형태로 3~4개가 형성되며 4.0~6.6$\times$2.0~2.2 $\mu\textrm{m}$이다. 본 균주는 Samson분류에 의거하여 주요 특성이 일치하여 Paecilomyces tenuipes(Peck) Samson 균과 동일 종으로 인정되었다.

먹물버섯의 자가분해 과정에 대한 미세구조 연구 (Ultrastructural Studies on the Autolysis of Coprinellus congregatus)

  • 최형태;조정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12-315
    • /
    • 2005
  • 먹물버섯의 하나인 Coprinellus congregatus에서는 자실체가 성숙된 후 곧 자가분해되어 먹물로 전환된다. 이 자가분해 과정과 관련된 가수분재 효소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자가분해과정과 연관된 미세구조의 변화를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자실체의 성숙과정에서 자실층과 자실하층에 존재하는 모든 세포질은 새로운 포자의 형성을 위하여 포자로 이동되는 것으로 보인다. 조직 내의 세포질의 고갈과 포자의 완성은 조직 내의 세포벽의 분해를 야기하는 것으로 보이며, 자실층과 자실하층의 세포벽은 동시적으로 분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먹물버섯의 자가분해가 세포질의 분해가 아닌 세포벽의 분해과정에 의한 것임을 보여 주었으며, chitin 분해효소와 같은 가수분해 효소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검정곰팡이의 형태분화에 따른 세포외성효소의 신생적생합성에 관한 연구 (Biosynthesis of the extracellular enzymes in de novo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Aspergillus niger)

  • 김종협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0
    • /
    • 1978
  • 검정곰팡이(Aspergillus niger)의 액침배양과 액체표면배양을 통한 동조적 형태분화에 있어서 체외효소인 단백질분해효소, 알파 및 굴루크아밀라제의 신생적 생합성 상황을 연구하였다. 굴루크아미라제는 경자(phialide)가 성숙하는 단계 즉 포자 형성의 전단계에서만 그 활성이 왕성하였다. 단백질분해효소(산성, 중성 및 알칼리성)들은 분생자병의 성장단계에서 활성이 약간 증가하였으나, 경자의 성숙단계에서는 활성이 극히 활발하였다. 알파아밀라제는 경자의 성숙시기와 포자형성기에서 활성이 활발하였으며 그 활성은 장기간 지속 되었다. 알파아밀라제의 활성은 포자형성 기간중 계속 증가하였으므로 신생적으로 생합성된다고 할 수 있으며, 포도당배지에서 많은 량이 생합성되었고, 또 포도당량의 고갈에 즈음하여 그 생합성이 개시되었으므로 이 효소는 구성적 효소이며 이화 대사물의 억제작용(catabolite repression)을 받는 효소라고 할 수 있다. 포리아크릴아미드 젤(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한 전기영동으로서 포자형성기와 그 전단계의 균체로부터 다양하고 선명한 세포외성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었다. 균사형성기나 포자발아기의 균체로부터는 극소수의 선명치 못한 분리상을 얻었다. C-14 우라실이 균체의 RNA핵산으로 섭취되어 들어가는 비율과 C-14 굴루탐산이 균체 단백질으로 섭취되어 들어가는 비율은 포자형성전기에서 왕성하였으며 포자형성 기간중에는 극히 저조하였다. 알파아밀라제의 신생적 생합성과 포자형성이 일치하는 현상은 유전인자의 표현과정이 내포되는 분화(포자형성)라는 점에서 볼 때 의의와 인과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1.9 eV)와 $e_g$ $(2.8{\sim}3.0\;eV)$로의 전이 즉, $O^{2-}(2p){\rightarrow}Mn^{4+}(3d)$$O^{2-}$에서 $Mn^{3+}$ 이온의 $t_{2g}$ (2.3 eV)와 $e_g$ ($3.4{\sim}3.6$ eV)로의 전이 즉, $O^{2-}(2p){\rightarrow}Mn^{3+}(3d)$ 등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1.6, 1.8, 1.9 eV 부근에서 관측된 좁은 에너지 영역의 흡수구조 들은 팔면체 $Mn^{3+}$ 이온 내에서의 d-d 결정장(crystal-field) 전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흡수구조는 Ni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강도가 감소한다. x = 0.6의 경우 $e_g$ 상태와 관련된 CT 전이구조 들이 $t_{2g}$ 상태와 관련된 전이구조 들에 비하여 큰 폭으로 감소하는데 이것은 Jahn-Teller 효과에 의해서 격자상수가 tetragonal 구조로 확장됨에 따라 $e_g$ 상태와 $O^{2-}(2p)$ 상태 간의 파동함수 중첩이 감소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의 영향(影響)을 더 많이 받고 있었다. 마. total ginsenosides의 분해반응시(分解反應時)의 활성화(活性化)에너지($E_a$)는 17.7kcal/mole이었고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