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자 형태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9초

조직배양을 이용한 점고사리의 대량증식 방법 (Mass Propagation of Hypolepis punctata (Thunb.) Mett. Using In Vitro Culture Techniques)

  • 박경태;장보국;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7-57
    • /
    • 2019
  • 본 연구는 관상 및 조경용으로 개발이 가능한 남방계 양치식물인 점고사리[Hypolepis punctata (Thunb.) Mett.]의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 형성에 적합한 배양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무가온 온실에서 성숙한 포자엽을 채집한 후 포자를 기내에서 발아시켜 전엽체를 획득하였으며, 8주 간격으로 계대배양 하여 실험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배지종류에 따른 전엽체의 증식 및 형태형성을 확인하고자, 배양된 전엽체 0.3g을 메스로 잘게 다진 후, 농도를 1/4, 1/2, 1, 2배로 조절한 MS배지에 8주간 배양하였다. 이후 선발된 배지를 기준으로 sucrose, 활성탄, 질소급원의 농도를 조절하여 전엽체의 증식과 형태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1MS배지에서 전엽체의 생체중이 초기 접종량인 0.3g에 비해 10.7배 증가한 3.2g으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형태관찰에서도 장정기의 형성이 관찰되었으며, 전엽체의 쿠션조직이 비교적 잘 발달하였다. 전엽체 증식에 가장 좋은 효과를 보인 1MS배지를 기준으로 sucrose의 농도를 0-4%로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1%의 처리구에서 6.7g으로 가장 높은 생체중을 보였다. 활성탄의 농도를 0-0.8%로 첨가한 네 처리구 중에서는 0.8%의 처리구에서 14.2g으로 무처리구에 비해 생체중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전엽체의 형태 또한 정상적인 발달을 보였다. 질소급원의 비율을 30-120mM로 조절한 배지에서는 60mM의 처리구에서 4.9g으로 가장 높은 생체중을보였다. 이후 포자체 형성을 위한 최적의 토양조건을 구명하고자, 원예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 및 마사토의 비율을 달리하여 5종류의 배양토를 조성하였다. 혼합된 토양은 사각분($7.5{\times}7.5{\times}7.5cm$)에 충진 하였으며, 배양된 전엽체 1g을 증류수와 함께 10초간 분쇄한 다음 준비된 토양표면에 분주하여 재배하였다. 12주간의 재배 결과, 원예상토를 단용한 토양에서 포자체의 수가 포트당 250.0개로 가장 많이 형성되었으며, 포자체의 생육 또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한편 피트모스가 혼합된 토양에서는 포자체가 형성되지 않았다. 따라서 점고사리의 전엽체 대량증식에 적합한 배지는 sucrose 1%와 질소급원의 농도를 60mM, 활성탄을 0.8% 첨가한 1MS배지로 판단되며, 포자체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원예상토를 단용한 토양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PDF

녹비작물 재배지 Arbuscular 균근균(AMF) 포자밀도 및 감염율 조사

  • 양승구;서윤원;황인택;김홍재;손보균;위치도;이정현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8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103-109
    • /
    • 2008
  • 고추 시설재배지에 녹비작물 재배가 토양의 Arbuscular 균근균(AMF) 포자밀도 및 감염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보리와 호밀, 헤어리베치, 완두콩을 파종하여 1차 녹비작물 재배 후 토양에 환원하고 고추를 재배한 다음, 2차 녹비작물 재배하여 시설 토양내 Arbuscular 균근균(AMF) 포자밀도 및 감염율을 조사한 결과 AMF포자밀도는 녹비작물 재배지가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기주작물별 AMF활성포자의 밀도는 보리와 완두콩이 호밀, 헤어리베치 그리고 쇠별꽃에 비하여 높았다. 녹비작물의 기주작물별 AMF포자의 형태와 크기는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녹비작물의 기주 작물별로 뿌리 내 AMF 감염율을 조사한 결과 보리녹비작물에서 감염율이 높았으며 녹비작물의 감염구조는 뿌리내부 균사임이 확인되었고 AMF 균사의 Network도 매우 발달되었다.

  • PDF

가잠에서 분리된 새로운 미포자충 K79의 병리학적 연구 I. 미포자충 포자의 정제 및 식별 (Pathological Studies on the New Microsporidia K79 Isolated from the Silkworm, Bombyx mori L. I. Purification and Serological Discrimination of Microsporidian Spores.)

  • 윤재수;임종성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
    • /
    • 1984
  • 미포자충 포자의 정제법을 개발하고 포자표면의 혈청학적 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미포자충 포자의 분리정제는 예비원심-percoll 평형밀도원심-세척의 3단계법이 우수하였고, 분리정제된 포자는 극사추출에 나쁜 영향도 받지 않았다. 2. 포자의 형태는 K79 포자가 장타원형(장단경비 2.76)이고 N. bombycis는 단타원형(장단경비 2.07)으로 양포자가 상이하였다. 3. 형광항체 간접법에 의하여 항 N. bombycis 포자혈청에 대하여는 N. bomvycis 포자만이 강한 형광을 발현하였으나 항 K79 포자의 혈청에 대하여는 10배희석구에서는 양포자 모두 강하게, 20배 이상 희석구에서는 약하게 형광을 발현하였고 K79 포자의 특이항체가 포자외각에 인정되었다.

  • PDF

국내 미기록종 선충포식성 곰팡이 Drechslerella brochopaga Kan-23의 형태 및 계통분류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a Nematophagous Fungus, Drechslerella brochopaga Kan-23)

  • 조천휘;강두선;김윤지;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3-68
    • /
    • 2008
  • 참외 경작지 토양으로부터 순수 분리된 선충포식성 곰팡이 Kan-23 균주는 배양 30일 이후에 분생포자가 형성되는 증식이 매우 더딘 특성을 나타내었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Kan-23 균주의 미세형태 구조를 관찰한 결과 분생포자병의 각 가지마다 $5{\sim}10$개의 분생포자를 형성하였으며, 분생포자는 3개의 격막을 형성하고 타원형을 나타내었고, 수축성 고리형태(constricting ring)의 포식 구조체를 형성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다양한 배지를 이용하여 포식 구조체의 형태학적 특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GPA 배지에서 2배 이상 크기의 대형 수축성 고리 형태의 포식 구조체를 형성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Kan-23 균주의 rDNA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Drechslerella 속의 계통군에 속하였으며, 특히 Drechslerella brochopaga (U51950)와 99%의 높은 염기서열 유사도를 나타내어 Drechslerella brochopaga로 동정되어 국내 미기록종임이 확인되었다.

긴잎돌김 Porphyra pseudolinearis의 장단체형간 18S-rDNA 염기서열비교

  • 김형근;;김영대;홍용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57-158
    • /
    • 2000
  • 김(Porphyra)속 식물은 색깔, 체형, 크기, 촉감 등의 식별형질에 근거하여 분류가 시작되었고, Kurogi는 일본산 김속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를 개괄하면서 김속의 식별형질로서 엽체의 세포층수, 거치상 돌기의 유무, 생식유형, 정자낭반의 형태, 정자낭 및 과포자낭 분열형식, 무성포자의 형성 유무, 지리적 분포, 각포자의 형태 및 생태적 특성 등을 종합하였다. 그러나 전통적인 분류 특징을 가지고 70종이나 되는 김을 분류한다는 것은 지금까지 불충분하여왔다. (중략)

  • PDF

Sporulation-associated Products of the Bacillus species

  • 김현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09.1-109
    • /
    • 1975
  • The family Bacillaceae에 속하는 모든 미생물은 endospore를 형성하는 것이 그 특성이며 포자형성은 일련의 생화학적 반응은 물론 형태ㆍ구조적 변화를 수반하는 질서 정연한 원시적인 생물분화의 일종이다. 따라서 포자형성 발아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또 현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산업미생물학도로서 흥미있는 점은 산업적으로 유용한 몇가지 생화학물질이 포자형성 과정과 특별히 관련되어 생산된다는 점이며 이중 몇 가지 효소와 항생물질 그리고 독소에 관하여 간략히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종자(種子) 및 배지상(培地上)에서의 오이류(類) 덩굴마름병균의 형태적(形態的) 및 배양적(培養的) 특징(特徵)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s of Didymella bryoniae on Seeds and Culture Media)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13
    • /
    • 1982
  • 자연상태(自然狀態)에서 Didymella bryoniae에 이병(罹病)된 오이 및 호박 종자(種子)를 습지법(濕紙法)으로 처리(處理)하여 불완전(不完全) 세대(世代)와 완전세대(完全世代)의 특징(特徵)을 조사(調査)하고 Difco PDA, V-8쥬스한천(寒天) 및 water agar leaf medium에서의 특징(特徵)과 비교(比較) 하였다. 병든 종자(種子)가 발아(發芽)할 때 종피(種皮)나 배축(胚軸)에 형성(形成)된 Didymella bryoniae의 병포자(柄胞子)와 Difco PDA, V-8 juice한천(寒天) 및 WALM에 형성(形成)된 본균(本菌)의 병포자(柄胞子)는 형태적(形態的)으로 많은 차이(差異)가 나타난다. 즉 PDA에 형성(形成)되는 병포자(柄胞子)는 무색(無色) 소형단포자(小型單胞子)가 대부분이며, V-8 juice한천(寒天) 및 WALM에 형성(形成)되는 것은 대형단포자외(大型單胞子外)에 격막(隔膜)이 하나 있는 포자(胞子)를 형성하고 또 균주(菌株)에 따라서는 격막(隔膜)이 두개 있는 포자(胞子)를 형성하므로써 마치 병든 종피(種皮)나 배축(胚軸)에 형성(形成)된 것과 흡사하였다. 한편 자양각은 병든 종자(種子)의 표본(標本)에 따라 잘 형성(形成)되는 것도 있었으나 대부분(大部分)의 표본(標本)에서는 형성(形成)되지 않았다.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인 특징(特徵)은 색깔이 진한 흑색(黑色)이며 유두상각공(乳頭狀殼孔) 위에 백색(白色)의 포자괴(胞子塊)가 형성(形成)되는 특징(特徵)을 가지고 있어서 쉽게 병자각(柄子殼)과 구별(區別)할 수 있었다. 불완전(不完全) 세대(世代)인 병자각(柄子殼)이나 병포자(柄胞子)와 같이 자양각의 각방(殼房)과 포자(胞子)의 크기에는 큰 변이(變異)가 없었다.

  • PDF

Blastocladiella emersonii의 단축된 포자형성과정에서 관찰된 핵의 소멸 (Nucelear Degeneration During Reduced Sporogenesis in Blastocladiella emersonii)

  • 윤현주;조정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2-285
    • /
    • 2004
  • Zoosporic fungi의 일종인 Blastocladiella emersonii에서는, 적은 수의 핵을 포함하는 작은 크기의 sporangium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이들의 단축된 포자형성과정에서, sporangium내에 존재하던 일부 핵들의 소멸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핵의 소멸이 포자형성과정의 필수적인 부분과정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해준다. 핵의 소멸과정은 형태적으로 세포질의 autophagy와 유사하였으며, autophagy의 형태적인 발달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좋은 모델 시스템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가지과 작물에서 분리한 Alternaria 속 균의 형태적, 분자생물학적 특징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lternaria Isolates from Solanaceous Crops)

  • 유승헌;조혜선;김병련;박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3-113
    • /
    • 2003
  • 국내의 가지과 작물에서 분리한 Alternaria 25 균주를 공시하여 분생포자의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였고 A. solani와 A. tomaotphilad의 대표균주와 비교하였다. 분리균주 중 형태적으로 구별되는 몇 균주들과 대표균주를 공시하여 감자, 토마토, 가지, 고추에 대한 병원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대표균주를 포함한 Alternaria 17개 균주를 공시하여 ITS 영역과 histone h3 유전자의 염기서열분석, URP (universal rice primer)에 의한 핵산지문분석을 실시하였다. Alternaria 균주들은 분생포자의 형태적 특징에 의하여 A. tomaotophila(ATO), A. solani(ASO) 및 미동정의 Alternaria sp.(ASP)의 group으로 나눌 수 있었고 A. solani(ASO)는 분생포자 부리(beak)의 특징에 의하여 다시 ASO(1)과 ASO(2)의 2 type으로 나눌 수 있었다. ATO와 ASO 균주들은 실험에 사용한 감자, 토마토, 가지, 고추에 모두 병원성이 있었고 ATO 균주는 특히 토마토에 강한 병원성이 있었으나, ASP 균주는 감자에만 병원성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molecular marker중 ITS와 histon H3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은 4개의 형태적 group을 명확히 구분할 수 없었지만, URP-PCR 핵산지문분석법은 이들 group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었다. 분생포자의 형태, 병원성검정, 분자생물학적 특징을 종합할 때 토마토 겹무늬병에 관여하는 A. tomatophila는 감자겹둥근무늬병에 관여하는 A. solani와 뚜렷이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감자에서 분리한 Alternaria sp.(ASP)는 A. solani(ASO)와 형태적으로 유사하였지만 분생포자의 폭이 두껍고 부리(beak)가 작다는 점에서 ASO와 구별되었으며 가지과 작물에서 보고된 바 없는 신종으로 추정되었다.

흰가루병균(病菌) Microsphaera속(屬)에서 동양(東洋) 3종(種)의 무성세대(無性世代) 형태(形態) (Anamorphic Morphology in Three Oriental Species of Microsphaera)

  • 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0-126
    • /
    • 1993
  • Microsphaera속(屬) 흰가루병균(病菌) 중에서 아시아의 극동지방(極東地方)에서만 채집(採集)되는 M. akebiae, M. picrasmae, 그리고 M. schizandrae 등 3종(種)을 각각 으름, 소태나무 그리고 오미자에서 채집(採集)하여 이들이 갖는 무성세대(無性世代)의 형태적(形態的) 분류특성(分類特性)을 검경(檢鏡)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 잘못 알려진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을 수정기재(修正記載)하였으며, 보고(報告)되지 않았던 몇 가지 분류특성(分類特性)을 추가기재(追加記載)하였다. 이들 3종(種)에서 관찰된 많은 분류특성(分類特性)들은 Microsphaera속(屬)에 공통적(共通的)으로 나타나는 것이었다. 즉, 부착기(附着器)는 파상(波狀) 내지 굴곡상(屈曲狀)으로서 쌍(雙) 또는 단독(單獨)으로 존재(存在)하였고, 분생자경(分生子梗)은 모세포(母細胞) 당(當) 1-2개(個)였고, 분생포자(分生胞子)를 단생(單生)하였으며, 기부격막(基部隔膜)은 균사(園絲)와의 분기점(分技點)에 있었다 . 분생포자(分生胞子)는 피브로신체(體)를 함유(含有)하지 않았으며, 발아관(發芽管)은 포자(胞子)의 끝에 위치(位置)하였다. 그러나 이들 3종(種)은 모두 분생자경(分生子梗)의 기부세포(基部細胞)가 굴곡상(屈曲狀)으로서 대부분의 Microsphaera속(屬) 흰가루병균(病菌)과 달랐으며, 각 종(種)은 분생자경(分生子梗)의 크기와 분생포자(分生胞子)의 크기 및 형태(形態) 등으로 서로 유별(有別)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흰가루병균을 무성세대(無性世代)에서도 동정(同定)할 수 있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