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폐쇄

검색결과 3,837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어 폐쇄음의 조음장소가 폐쇄구간의 음성학적 길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On the Effects of Places of Articulation of Stops on Their Closure Duration in Korean)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13
    • /
    • 1998
  • 본 논문은 Gesturewndcjq 이론에 근거한 폐쇄음의 조음장소와 폐쇄음의 폐쇄구간 길이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가설 즉, 연구개음의 폐쇄구간이 양순음이나 치음의 폐쇄구간에 비해 짧을 것이라는 가설을 실험음성학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 가설을 완 전히 뒷받침해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쇄음의 조음방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 긴 하나 세 조음방법 상에서 적어도 양순음과 연구개음의 폐쇄구간 길이에 있어서는 본 연 구가 예측한대로 양순음의 폐쇄구간 길이가 연구개음의 폐쇄구간 길이보다 긴 것으로 나타 났다. 그러나 치음의 경우는 연구개음의 폐쇄구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본 논문은 Gesture 이론이 폐쇄음 조음에 있어 폐쇄음 gesture와 주위 모음의 gesture와 의 중첩정도 외에 여러 다른 음성학적 사실들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폐쇄음 조음시 폐쇄강의 크기, 조음기관의 움직임 속도, 폐쇄강 내 압력 형성에 걸리는 시간, 그리고 폐쇄음 조음시 턱의 높이 등에 대한 고려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실험동물에서 두개강내 정맥동의 부위별 폐쇄가 두개강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ctive Obstruction of Intracranial Venous Sinuses on Systemic Arterial Pressure, Cerebral Perfusion Pressure, Intracranial Pressure and Intrasinal Pressure in Cats)

  • 도은식;조수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475-484
    • /
    • 1993
  • 두개강내 정맥동 주위의 수술시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히 정맥동을 결찰해야 할 경우 안전한 결찰부위 및 결찰시간을 알기 위해 30마리의 고양이를 각각 5마리씩 6군으로 나누어 시상정맥동의 전방 1/3, 중앙 1/3, 후방 1/3과 Torcular Herophili 및 좌, 우 횡행정맥동을 폐쇄시켜 전신동맥압, 뇌관류압, 두개강내압 및 정맥동내압의 폐쇄 전과 폐쇄후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시상 정맥동의 경우 전방 1/3폐쇄군에서는 폐쇄후 시간 경과에 따른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중앙 1/3폐쇄군에서는 폐쇄후 시간별로는 전신동맥압이 폐쇄후 2분, 4분에 유의한 상승이 있었고 두개강내압이 폐쇄후 l분에서 3분에 걸쳐, 정맥동내압이 1분에서 4분에 증가하였다. 후방 1/3폐쇄군에서는 폐쇄후 시간경과에 따라 전신동맥압의 경우는 폐쇄후 2분, 4분, 6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6분에 가장 현저한 증가(p<0.05)를 보였고 두개강내압은 2분에서 7분간 계속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폐쇄후 3분에 가장 현저한 증가(p<0.01)를 보였다. 정맥동내압은 1분에서 3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폐쇄후 1분에 가장 현저한 증가(p<0.01)를 보였다. Torcular Herophili 폐쇄군에서는 폐쇄후 시간 별로는 전신동맥압의 경우는 폐쇄후 1분에서 2분, 4분에서 6분까지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폐쇄후 2분에 각각 가장 현저한 증가(p<0.01)를 보였고 뇌관류압은 폐쇄후 5분, 6분, 7분에 유의한 감소(p<0.05)를 실험군중 처음으로 보였다. 두 개강 내압은 3-6분간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폐쇄후 6분에 가장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1). 정맥동내압은 7분간 계속 유의한 상승이 있었고 폐쇄후 2분에 가장 현저한 증가(p<0.01)를 보였다. 우측 횡행정맥동 폐쇄군에서는 폐쇄후 시간별로는 전신동맥압이 폐쇄후 5분에 유의한 상승을 보였고 두개강 내압이 7분간 계속 유의한 상승을 보여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폐쇄후 6분에 가장 현저한 상승(p<0.01)을 보였다. 정맥동내압도 계속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폐쇄후 2분에 가장 유의 한 증가(p<0.01)를 나타냈다. 좌측 횡행정맥 폐쇄군에서는 폐쇄후 시간경과에 따라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 PDF

DHTE로 유발된 흰쥐 폐쇄난포의 에스트라디올 수용체의 감소 (Reduction of Estradiol Receptor in Rat Atretic Follicle Induced by Dihydrotestoterone Enanthate (DHTE))

  • 유용달;이창주;이준영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8-37
    • /
    • 1990
  • Dihydrotestoterone (DHT)은 난소내 폐쇄를 유발한다고 보고 되었으나, 반대로 폐쇄를 억제한다는 상반된 주장이 있어왔다. 본 연구는 난소내 폐쇄되는 기작을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 흰쥐의 DHT를 처리하여 난포가 폐쇄되는지 여부와 폐쇄된다면 스테로이드 수용체, 특히 에스트라디올 수용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미성숙 흰쥐의 뇌하수체를 절제(HPX)하고, 35IU의 PMSG 처리후 Dihydrotestoterone enathate (DHTE)를 lmg-5mg/kg 체중 농도로 처리하여 난포의 폐쇄여부를 조직학적으로 검경하였다. PMSG,PMSG-DHTE 공히 강소를 형성한 난포의 acid phosphatase 활성도를 증가시켰고, 또한 난포의 폐쇄를 유발하였다. 흰쥐의 난소내 estrogen receptor (ER)의 수는 과립세포에서도 세포질내 ER은 핵내로 이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DHTE는 난소내 ER의 농도를 감소시켰다. 이 결과로 보아 난포내 DHTE는 ER의 농도를 감소시켜 폐쇄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제연구역 출입문의 자동폐쇄장치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Basic Study on the Auto Closing System Development of Door at Smoke Control Zone)

  • 이동명;유병규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33-339
    • /
    • 2010
  • 본 연구는 제연구역 출입문의 자동폐쇄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자동폐쇄장치의 프로세스와 자동폐쇄조절장치의 기구학적 메커니즘 정립 및 기구 모델링을 바탕으로 자동폐쇄장치의 해석이론을 정립하였고, 해석이론을 바탕으로 한 운동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폐쇄력 장치를 선정하고 자동폐쇄조절장치의 각 요소를 개발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데이터 구축과 원천기술을 확립하였다. 자동폐쇄장치의 개발에 유연성과 탄력성을 줄 수 있고, 자동폐쇄장치의 개발로 인해 연기의 제어수단과 기술적 대책마련과 제연시스템의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돼지 난포내 Acid Phosphatase의 활성부위와 활성도 (Localization and Activity of Acid p%osphatase of Porcine Ovarian Follicles)

  • 김종흡;이창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6-143
    • /
    • 1992
  • 돼지 난포의 폐쇄기 작을 규명하고 폐쇄난포의 판정기준을 보완, 확립하기 위하여 난포의 크기 및 상태 그리고 난소주기에 따라 Acid phosphatase(Acpase)의 활성부위와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Acpase의 활성부위는 과립세포와 난포막내층이었고, 반응정도는 난포 :극 대난포와 중난포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폐쇄군에서 강한 반응을 보였다. 황체기난포의 과립세포에서는 중난포와 소난포 모두 반응이 미약하였고, 난포막층에서는 정상군과 폐쇄군 모두 강하게 나타났다. Acpase의 활성도는 난포기 난포의 과립세포에서 난포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난포막층의 활성도는 감소하였으며 , 폐쇄군이 높은 활성도를 보f:다. 황체기의 경우 반포기와는 달리 과립세포와 난포막층에서 난포가 커짐에 따라 활성도는 감소하였으나 폐쇄군은 역시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폐쇄난포의 Acpase의 활성부위와 활성도는 정상난포에 비하여 뚜렷하고 강하여서 이 방법은 폐쇄의 판정기준으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난소주기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낸 것은 폐쇄기 작이 서로 다름을 시사하였다.

  • PDF

신생아기에 증상을 나타낸 엡슈타인 기형의 임상양상 (Clinical Features of Symptomatic Neonates with Ebstein's Anomaly)

  • 조희진;이인실;고재곤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1호
    • /
    • pp.1212-1218
    • /
    • 2005
  • 목 적 : 엡슈타인 기형의 예후는 판막변화의 심한 정도에 따라서 주로 결정되며 신생아기에 증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엡슈타인 기형에 폐동맥 폐쇄가 동반되기도 하지만 신생아기에는 높은 폐혈관 저항으로 인하여 기능적 폐동맥 폐쇄 상태가 생기기도 한다. 신생아기에 증상을 나타낸 엡슈타인 기형의 임상적인 특징과 치료 후 경과를 폐동맥 폐쇄 동반 유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서울아산병원 소아과에서 진단된 신생아기에 증상을 보인 엡슈타인 기형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심초음파 기록과 녹화된 비디오 테이프를 검토하였고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심초음파상 폐동맥 폐쇄를 가진 군과 폐동맥 폐쇄가 없는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임상 양상, 검사 소견, 치료 및 경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 1) 대상 환자 15명 중 10명(67%)이 폐동맥 폐쇄를 보여서 신생아기에 증상을 보인 엡슈타인 기형은 폐동맥 폐쇄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중 6명은 기능적 폐쇄로 판명되었다. 2) 폐동맥 폐쇄를 가진 군과 폐동맥 폐쇄가 없었던 군 사이에 재태연령이나 출생 시 체중은 차이가 없었으나 폐동맥 폐쇄군에서 산소 포화도와 pH가 유의하게 낮았고(P<0.05) 흉부 방사선 소견상 심흉곽 비도 유의하게 커져 있었다(P<0.05). 기능적 폐쇄군과 해부학적 폐쇄군 사이에는 pH와 심흉곽 비는 차이가 없었으나 산소 포화도는 기능적 폐쇄군이 더 낮았다(P<0.05). 3) Capentier 분류로 나누어 본 삼첨판 형태의 특징과 심초음파상에서 우심방과 심방화된 우심실의 면적으로 본 기형의 심한 정도는 각각의 수가 적어서 폐동맥 폐쇄 유무에 따른 특징은 찾아볼 수 없었다. 4) 폐동맥 폐쇄가 없었던 5명 중 2명은 특별한 치료 없이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하였으며 이를 제외한 13명(87%)이 $PGE_1$을 투여 받았고 기능적 폐쇄군 6명 중에서 4명은 NO 흡입치료를 받았다. 5) 대상 환자 중에서 3명(20%)이 사망하였으며 폐동맥 폐쇄가 없었던 환자 중에는 사망한 예는 없었다. 신생아기나 영아기에 수술을 필요로 한 환자는 폐동맥 폐쇄가 없었던 군에서는 5명 중 1명, 폐동맥 폐쇄군에서는 10명 중 8명으로 폐동맥 폐쇄군이 수술이 일찍 필요한 경우가 많았다(P<0.05). 6)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11명은 심흉곽 비가 평균 59%(49-69%)로 감소한 상태이며 기능적 폐쇄군 2명과 해부학적 폐쇄군 중 1명이 폰탄수술을 기다리는 중이고 나머지 8명은 모두 경도의 삼첨판 역류만 보이고 있다. 결 론 : 신생아기에 증상을 나타내는 엡슈타인 기형은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폐동맥 폐쇄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에서 더 심한 임상양상을 볼 수 있었고 신생아기나 영아기에 일찍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았다. 폐동맥으로 전방향 혈류가 보이지 않는 엡슈타인 기형을 가진 신생아에서 기능적 폐쇄와 해부학적 폐쇄를 효과적으로 어떻게 빠르게 감별할 것인지, 기능적 폐동맥 폐쇄를 가진 신생아에게 가장 적절한 치료가 무엇인지는 앞으로 더 많은 경험과 연구가 필요하다.

제연구역 출입문의 자동폐쇄장치 운동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uto Closing Systems Motion Analysis of Door in Smoke Control Zone)

  • 이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06-112
    • /
    • 2010
  • 본 연구는 제연구역 출입문의 자동폐쇄장치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자동폐쇄장치의 운동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자동폐쇄장치의 프로세스와 자동폐쇄조절장치의 운동 메커니즘 정립과 기구 모델링을 바탕으로 자동폐쇄장치의 해석이론을 정립하였고, 해석이론을 바탕으로 한 운동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폐쇄력 장치를 선정하고 자동폐쇄조절장치의 각 요소를 설계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데이터 축과 원천기술을 확립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로부터 자동폐쇄장치 개발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줄 수 있고, 또한 자동폐쇄장치의 개발로 인한 연기의 제어수단과 기술적 대책을 마련하고 제연시스템의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일반적 개념 (General Concept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박경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3호
    • /
    • pp.205-214
    • /
    • 1994
  •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은 하부 기도 즉 말초기도의 지속적인 미만성 폐쇄로 인하여 불가역성 기류폐쇄를 나타내는 질환을 말하며, 임상적으로 만성 기관지염과 폐기종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이들은 기능적으로나 병리적으로 서로 중첩되어 임상적으로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만성적, 비특이적으로 진행하는 기류폐쇄의 포괄적인 용어로 COPD를 사용한다. COPD의 특징적인 병리변화는 소기도 즉 막성 세기관지염과 호흡세기관지염이며, 호흡세기관지염을 동반하는 폐기종의 중증도가 기류폐쇄의 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 PDF

원전 폐쇄와 해체 - 원전 조기 폐쇄에 따른 전력 부족 문제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원자력산업
    • /
    • 제36권6호
    • /
    • pp.45-50
    • /
    • 2016
  • 미국의 전력회사 Entergy는 향후 4년 내에 비등수형(BWR) 원자로 3기의 운영을 중단하고 영구 폐쇄에 들어갈 계획이다. 무엇 때문에 Entergy가 그런 조기 폐쇄 결정을 내리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러한 결정이 결과적으로 어떤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일본인의 한국어 치경폐쇄음 지각 학습의 전이효과 (The Transfer Effects of Perceptual Learning by Japanese of Korean Alveolar Stop Consonants)

  • 김윤현;김정오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4-157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한 경험이 없는 일본인의 한국어 치경폐쇄음 세 음소 범주(/ㄷ/, /ㄸ/, /ㅌ/)에 대한 지각 학습이 양순폐쇄음 세 음소(/ㅂ/. /ㅃ/, /ㅍ/) 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김윤현과 김정오 (2005)는 일본인들이 지각 학습과제에서 한국어 치경폐쇄음 세 범주를 구분할 때 기식성. 긴장성과 같은 변별 자질에 선택주의 하게 됨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다. 치경음에 대한 지각 학습으로 적절한 단서에 선택주의 하게 되었다면, 같은 지각 차원에 따라 세 범주로 구분되는 양순음의 경우에도 치경폐쇄음 학습 후 음성자극들을 옳게 범주화를 할 것이다. 실험 결과, 치경폐쇄음 자극(/다/, /따/, /타/)만으로 이루어진 동일-상이판단 학습 과제에서 치경폐쇄음 파악의 정확율은 29.1%(표준오차=3.02) 증가하였고, 조음 위치의 변화에 따른 음향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순폐쇄음의 정반응율도 15.8%(표준오차=3.27)의 향상을 보였다. 이 전이효과는 치경음 지각 학습 때문에 일본인들이 폐쇄음의 세 음소 범주를 구분하는 적절한 지각 차원에 선택주의하게 되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