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형구조

검색결과 656건 처리시간 0.026초

신예미(新禮美) 연(鉛)-아연광상산(亞鉛鑛床産) 스카른광물(鑛物)의 광물학적(鑛物學的) 연구(硏究) (A Mineralogical Study of the Skarn Minerals from the Shinyemi Lead-Zinc Ore Deposits, Korea)

  • 김규한;나카이 노부유키;김옥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14권4호
    • /
    • pp.167-182
    • /
    • 1981
  • 신예미광상(新禮美鑛床)의 스카른 광물(鑛物)은 1) 석류석(石榴石)-휘석(輝石)-금운모(金雲母)-규회석(硅灰石) 조합(組合)군집, 2) 석류석(石榴石)-휘석(輝石) 조합(組合), 3)석류석(石榴石)-녹렴석(綠廉石) 조합(組合)으로 구분(區分)된다. 이들 광물조합(鑛物組合)은 광석광물(鑛石鑛物)의 산출상태, 광석광물(鑛石鑛物)의 종류(種類) 그리고 광화작용(鑛化作用)의 시기(時期)와 밀접한 관계(關係)가 있다. 석류석결정(石榴石結晶)의 분석(分析)에 의하여 석류석결정(石榴石結晶)의 누대구조(累帶構造)는 결정(結晶)의 성장시(成長時)에 평형조건(平衡條件)의 변화(變化)에 기인한 화학적(化學的) 누대구조(累帶構造)(chemical compositional zoning) 이다. 그리고 광상(鑛床)의 생성환경(生成環境)과 관계화성암(關係火成岩)의 위치(位置)를 스카른광물(鑛物)의 산출상태와 스카른 광물중(鑛物中) 석류석(石榴石)의 화학성분(化學成分)의 검토에 의해 추정해 보았다.

  • PDF

열교차단장치가 적용된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휨거동 예측을 위한 해석모델 (Analytical Models for the Prediction of the Flexural Behavior for Thermal Bridge Breaker Systems embedded in Reinforced Concrete Slabs)

  • 신동현;김형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325-333
    • /
    • 2015
  • 최근들어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벽의 연결부에 적용 가능한 열교차단장치에 대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열교차단장치가 적용된 슬래브의 균열 전 탄성거동, 균열 후 항복거동 및 극한강도까지 적용이 가능한 해석모델을 제안하고,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 모델의 정확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해석모델은 변형률 적합조건과 힘의 평형개념을 적용하였으며, 이 때 구성 재료의 응력-변형률 관계는 재료실험 결과를 적용하였다. 해석모델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모멘트-곡률 관계, 하중단계에 따른 중립축을 실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제안된 해석모델은 실험결과로 획득한 전체적인 휨거동 양상과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Ubiquitin 폴딩 intermediate의 열역학적 특성 (Thermodynamic Properties of Ubiquitin Folding Intermediate)

  • 박순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33-40
    • /
    • 2004
  • Ubiquitin 폴딩 반응의 초기에 나타나는 transient 폴딩 intermediate 상태의 열역학적인 특성을 연구하였다. 온도와 화학변성제의 농도를 바꾸어주면서 측정한 폴딩 kinetics의 결과로부터 unfolded 상태와 intermediate 상태의 평형상수 및 자유에너지를 quantitative kinetic modeling을 통하여서 구하였으며 또한 온도에 따른 자유에너지의 변화로부터 unfolded 상태에서 intermediate 상태로 전환될 때의 열역학적 함수인 ${\Delta}H,\;{\Delta}S,\;{\Delta}C_p$를 구하였다. Ubiquitin이 unfolded 상태에서 intermediate 상태가 될 때의 ${\Delta}C_p$는 unfolded 상태에서 native 상태로 되는 과정의 ${\Delta}C_p$의 약 80% 정도 되었다. 이것은 intermediate가 native 상태에 가까운 매우 조밀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ensemble state임을 나타낸다. 상온에서의 ${\Delta}H$는 양의 값을 보였다. 이는 ubiquitin의 unfolded 상태에서 소수성 잔기 주위에 위치한 물 분자의 규칙적인 구조가 intermediate 상태가 될 때 와해되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양의 enthalpy는 자유로워진 물 분자에 의한 전체 계의 entropy의 증가에 의하여서 보상되어 unfolded 상태에서intermediate 상태로의 전환은 음의 자유에너지를 갖게 되며 폴딩 반응의 초기에 관찰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단부 RC조와 중앙부 철골조로 이루어진 RS 보의 전단강도예측을 위한 해석모델 (Analytical Model for Shear Strength of RS Hybrid Steel Beams with Reinforced Concrete Ends)

  • 김욱종;문정호;이리형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602-609
    • /
    • 2001
  • 중앙부 철골조와 단부 RC조로 이루어진 혼합구조보인 RS보의 전단강도를 예측하기 위한 해석모델로서 Strut-and-Tie Model을 개발하였다. 또한 제안된 모델은 강재매입구간에서의 RC부위에 발생한 전단균열에 의한 콘크리트의 강도저하를 고려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연화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모델로 제안되었다. 제안모델은 전단균열이 발생된 혼합구조 보에서 평형방정식, 적합방정식, 구성방정식을 이용하여 전단강도를 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성재료의 파괴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식에서 예측하지 못한 콘크리트의 파괴에 의한 전단강도를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석결과 예측전단강도대비 실험강도의 비가 평균 1.02, 표준편차 0.126의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그물구조 수지 촉매상에서 가솔린 옥탄가 향상제인 ETBE 합성 (Synthesis of ETBE as an Octane Enhancer for Gasoline over Macroreticular Robin Catalysts)

  • 박진화;이진형;김재승
    • 공업화학
    • /
    • 제5권5호
    • /
    • pp.825-835
    • /
    • 1994
  • 가솔린 옥탄가 향상제인 ETBE(Ethyl Tertiary Butyl Ether)의 기상합성을 성질이 다른 그물구조형 이온교환 수지인 Amberlyst-15와 Amberlyst XN-1010촉매상에서 고정층 상압 유통식 미분형 반응기로 수행하였다. 반응물로는 ethanol과 isobutene을 사용하였고, 반응온도 $70-140^{\circ}C$ 범위에서 실험을 행하여 수지촉매들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Amberlyst-15의 활성이 Amberlyst XN-1010보다 우수하였다. 미분형 반응기로부터 얻은 속도론적 자료를 선형회귀분석하여 적합한 속도모델과 매개변수를 구한 결과 ETBE합성반응은 LHHW(Langmuir-Hinshelwood-Hougen-Waston) 반응기구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각 온도에 따른 표면 반응속도 상수와 반응물들의 흡착평형상수와 표면반응 활성화 에너지를 구하였으며, Amberlyst-15 및 Amberlyst XN-1010의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18.64 및 24.19 Kcal/mol이었다.

  • PDF

개선된 인공신경망의 학습방법에 의한 강구조물의 설계 (Design of Steel Structures Using the Neural Networks with Improved Learning)

  • 최병한;임정환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통권79호
    • /
    • pp.661-67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많은 양의 함수 계산을 요구하는 확률론적 최적화 기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강구조물에 적용하여 수행하고자 한다. 다양한 과학, 응용공학 분야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과정을 대체하는데 효과적인 도구로 출현한 인공신경망을 최적화 과정 중 많은 수의 유한요소 해석이 요구되는 재해석 문제에 적용함으로서 유한요소법의 평형방정식의 해의 근사해를 추정하여 재해석과정을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이용된 인공신경망의 학습효과의 개선을 위해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한다. 확률론적 구조최적화 기법으로는 진화론적 방법에 기초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수치 예로써 전형적인 체적(중량)문제와 실 경비함수를 목적함수로 갖는 강구조물 모형에 본 연구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본 알고리즘의 적용성과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초음파 방법을 이용한 실리카 나노비드의 단층 정렬에 관한 연구 (Ultrasound-Aided Monolayer Assembly of Spherical Silica Nanobeads)

  • 윤상희;윤서영;이진석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298-305
    • /
    • 2013
  • 스토버 방법(St$\ddot{o}$ber method)을 이용하여 균일한 크기의 실리카 나노비드(silica nanobead)를 합성하였으며 초음파(sonication) 방법을 이용하여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 위에 실리카 나노비드를 단층(monolayer)으로 정렬시켰다. 유리기판위에 처리된 분자층은 3-chloropropyltrimethoxysilane (CP-TMS)와 polyethyleneimine (PEI)가 사용되어졌고 합성된 나노비드는 톨루엔에 분산시킨 뒤 초음파방법으로 유기기판위에 부착되어졌다. 수행되어진 초음파방법은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SO (sonication without stacking) 모드와 두 개의 깨끗한 유리 기판 사이에 분자 처리된 유리 기판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SS (sonnication with stacking) 모드로 구분지어 적용되었으며, 기판위에 정렬된 실리카 나노비드의 무게는 마이크로 저울(microbalance)을 이용하여 측정한 뒤 점유도(degree of coverage, DOC)를 계산하였다. 결론적으로, SO 모드에서는 DOC가 단기간에 가파르게 상승하여 140% 이상까지 도달했지만 다층(multi-layer)구조가 많이 발견되는 특징이 있었고, SS 모드에서는 DOC가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이 SO 모드보다 느리게 진행되었지만 보다 밀집(close-packing)된 형태의 단층구조가 관측되었다.

부착특성과 균열거동을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폭 계산 (Crack Width Calculation Based on Bond Characteristics and Cracking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 양준호;김우;이기열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944-952
    • /
    • 2009
  • 이 논문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폭 계산을 위한 해석적 모델을 제안한 것이다. 철근과 콘크리트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실제와 유사한 형태의 부착응력-슬립 특성을 수치적으로 전개하기 위해서 수치해석을 통하여 균열안정화단계에서의 철근과 콘크리트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슬립이 선형 분포함을 확인하고, CEB-FIP Model Code 1990과 Eurocode 2에서 제시하고 있는 부착응력-슬립 관계에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균열과 균열 사이에서 철근의 매입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률 차이가 균열면으로 누적되는 양을 계산할 수 있는 평형방정식을 유도하고, 이로부터 두 재료의 축방향 변형량의 차이로부터 균열폭을 계산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정식화된 새로운 균열폭 모델을 기존 문헌에 발표된 여러 연구자들의 실험 자료에 적용하여 그 정확성을 검증한 결과, 제안식에 의한 예측값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러 설계기준의 균열폭 규정으로 계산한 결과에 비하여 실험값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LS차분법을 이용한 재료비선형 문제 해석 (Development of MLS Difference Method for Material Nonlinear Problem)

  • 윤영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237-244
    • /
    • 2016
  • 본 연구는 재료비선형 문제를 다루기 위한 비선형 MLS 차분법의 정식화 과정을 제시한다. MLS 차분법은 절점모델을 기반으로 고속 미분근사식을 활용하여 지배 미분방정식을 직접 이산화 하는데, 변수를 변위로 일원화한 Navier 방정식을 사용하여 탄성재료 문제를 다룬 기존의 MLS 차분법은 재료의 구성방정식을 별도로 고려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재료의 구성방정식을 반영할 수 있는 강정식화를 위해 1차 미분근사를 반복 사용하는 겹미분근사를 고안했다. 응력의 발산으로 표현되는 평형방정식을 그대로 이산화하고 Newton 방법을 적용하여 반복계산을 통해 수렴해를 찾는 비선형 알고리즘을 제시했다. 응력 계산과 내부변수의 갱신은 return mapping 알고리즘을 활용하였고, 알고리즘 접선계수(algorithmic tangent modulus)의 적용을 통해 빠르고 안정적인 반복계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재생성 시험을 통해 겹미분근사의 정당성을 검증했고, 비선형재료에 대한 인장문제의 해석을 통해 개발된 비선형 MLS 차분 알고리즘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정성변수를 고려한 공공아파트 기획단계 공사비 예측모델 (Cost Prediction Model using Qualitative Variables focused on Planning Phase for Public Multi-Housing Projects)

  • 지성민;현창택;문현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91-101
    • /
    • 2012
  • 공공아파트 프로젝트의 기획단계에서 수행되는 적정 공사비 예측은 기획부터 유지관리까지 전(全) 단계에 걸쳐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명확한 예측기준 및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다양한 다중회귀모델을 활용한 공사비 예측 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나, 정성변수를 포함하여 공사비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획단계 활용을 위한 정성변수를 포함하는 공사비 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사비 영향요인을 분석 및 추출하고, 회귀분석을 위한 독립변수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정성변수를 포함하는 공사비 예측모델을 개발하며 사례적용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공사비 예측모델과 "RESAMPLING 기법"을 사용하여 구조형식별 공사비 가산비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더미회귀모델과 가산비율을 활용하면, 일반적인 공사비 예측과 함께 동일한 평형, 세대수, 연면적에서 평면형식과 구조형식을 변경시켰을 때의 공사비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