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발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6초

테라테인먼트 테이핑과 발바닥 운동이 대학생의 평발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ratainment Taping and Footpad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Flat Foot in a University Student)

  • 이정욱;윤영제;고선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69-375
    • /
    • 2019
  • 본 연구는 테라테인먼트 테이핑과 발바닥 운동이 대학생의 평발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발배뼈 하강 검사를 통해 유연성 평발 테이핑군(13명), 유연성 평발 발바닥 운동군(14명), 강직성평발 테이핑군(12명), 강직성 평발 발바닥 운동군(13명)으로 나누었다. 테라테인먼트 테이핑과 발바닥 운동을 1시간 적용 후, 발배뼈의 높이 변화, 균형 능력, 자세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발배뼈 높이 변화는 중재 전-후의 높이를 측정하고, 균형 능력은 timed up & go test를 측정하였으며, 자세 안정성 평가는 어깨넓이 두발지지, 두발모음 자세, 발뒤꿈치-발끝서기 자세에서 안정성 한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발배뼈 높이 변화에서 유연성 평발 테이핑군의 왼발과 오른발, 유연성 평발 운동군의 오른발, 강직성 평발 태이핑군의 오른발에서 중재 전-후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균형 능력 평가에서는 군간과 군내의 중재 전-후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세 안정성 평가에서는 유연성 평발 운동군과 강직성 평발 테이핑군의 중재 전-후 비교에서 발뒤꿈치- 발끝서기 자세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중재 후 비교에서 유연성 평발 운동군이 강직성 평발 운동군에 비해 발뒤꿈치-발끝서기 자세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결과를 통해 테라테인먼트 테이핑과 발바닥 운동이 대학생의 평발 개선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평발의 개선을 위해 테라테인먼트 테이핑과 발바닥 운동의 적용을 권장한다.

평발을 가진 20대 남성이 인솔구두의 굽 높이에 따른 보행 시 발목관절의 각도변화에 대한 융복합적 비교 (Convergence Comparison of the Angle Change of Ankle Joint while Walking according to the Heel height of Insole Shoes in 20s males with Flatfoot)

  • 서교철;박승환;김현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17-12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솔구두의 굽 높이에 따른 평발을 가진 20대 대학생의 보행 시 발목관절의 각도변화에 대해 융복합적 비교를 하는 것이다. 1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동작분석기(Qualisys Track Manager)를 이용하였다. 인솔이 장착된 기능성 구두를 제작하고, 구두의 굽 높이를 0cm, 3cm와 7cm로 셋팅하였다. 실험대상자들은 두 개의 굽 높이가 있는 구두를 신고 발목관절의 측면에 반사마커를 부착하여 보행을 실시하였다. 보행입각기에서 발목관절의 각도변화를 측정하였다. 평발을 가진 실험대상자가 인솔구두를 착용 시 구두 굽 높이가 높을수록 양측의 Heel strike, Foot flat, Midstance, Toe off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따라서 평발을 가진 대상자는 인솔구두를 착용 시 낮은 구두를 신어야만 발바닥의 피로를 감소시켜 편안한 보행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50~60대 평발 여성의 컴프레션 팬츠 개발을 위한 착용자 필요 조사 (User Needs of Women with Pes Planus in Their 50s and 60s for Compression Pants Development)

  • 이소정;김동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20-432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user needs for compression pant development for women with pes planus in their 50s and 60s. A total of 355 women aged 50 to 69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interview. Questions were asked if they had pes planus, the using condition of foot orthotic, inconveniences during gait, and wearing condition of compression pants. The results showed that 42 (11.8%) women had pes planus. Orthotic insole and arch support were used most frequently. The most uncomfortable aspect of foot orthotic (n=146) was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unless they were going outside. Participants with pes planus responded that they felt discomfort on the inner area of propodium, metatarsus, ankle, and knee during gait. The purchase and wearing rate of compression pants were not high; however, compression pants were purchased with specific needs and purposes. Respondents mainly wore the compression pants for sports activities. M size was the most frequently worn size. They preferred high waist type leggings and there was a need to increase the compression strength of the waist, thigh, knee and ankle. Additionally, the ease of donning and doffing were discussed.

편평족 노인의 계단 하강 보행 시 아치 지지형 인솔 종류에 따른 족저압력 및 균형성 평가 (Comparison of plantar pressure and COP parameters in three types of arch support insole during stair descent in elderly with flatfoot)

  • 한기훈;배강호;정하곤;하민성;최도열;이중숙;양정옥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948-95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평발을 가진 여성 노인의 계단 하강 보행 시 일반인솔 및 아치 지지형 인솔을 적용에 따른 족저압력 및 압력중심점 변인들의 차이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족저압력 분석장비(Pedar-X, Novel, Germany)를 사용하여 14명의 평발 노인을 대상으로 3종류(일반인솔, A형 인솔, B형 인솔)의 인솔착용 후 최대족저압력, 평균족저압력, 접촉면적, 압력중심점의 이동거리, 변위 및 최대범위의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인솔 종류간 평균을 비교하였다. 족저 압력 변인 중 최대족저압력은 중족부의 M3, 평균족저압력은 M2, M3, M4 영역에서, 접촉면적은 M2, M3, 그리고 M6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압력중심점 변인 중 전후축과 좌우축에서 압력중심점의 이동거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족저압력 평가결과 아치 지지 기능을 가진 인솔을 삽입한 A와 B형 인솔에서 족궁지지 영역인 M3의 최대압력은 B형 인솔과 A형 인솔이 일반인솔과 비교했을 때 높게 나타났다. 좌우축, 전후축 압력중심점의 이동거리는 A형과 B형 인솔 모두 일반 인솔에 비해 짧게 나타났다.

평발교정용 형상기억합금 초탄성 인솔 설계 연구 (A Study on Design Factor of Insole using Shape Memory Alloy for Pes Planus Correction)

  • 양미경;이상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79-85
    • /
    • 2017
  • 발 질환으로 어려움을 겪는 환자들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교정용 인솔에 대한 연구가 점점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형상기억합금의 특성 중 하나인 초탄성 효과를 이용하여 평발교정용 인솔 설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신발에 인솔을 부착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설치된 인솔이 발 구조 중 가장 중요한 근육인 족저근막을 자극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족저근막에서 인솔에 의해 유발되는 접촉압을 유한요소법으로 예측하는 방법을 통해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평발교정용 인솔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솔의 형상을 결정하는 설계 인자로 세 가지 즉, 인솔의 두께, 최고높이, 앞뒤의 비대칭률을 채택하였다. 세 가지 설계 인자의 영향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구찌 최적화 기법을 도입하여 각 인자 간 조합에 따른 족저근막에서의 최대 접촉압을 계산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접촉압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많이 주는 설계인자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최고높이, 두께, 비대칭률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접촉압을 실제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인지압으로 변환한 후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면서도 족저근막에 무리를 주지 않는 안전 교정 범위를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안전 교정 범위에 드는 가장 좋은 설계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립한 중요인자를 고려한 설계방법은 향후 개인별 맞춤형 교정 인솔을 설계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평발 대상자가 하이힐을 신고 계단을 내려갈 때 하지의 근활성도 변화 (The lower-extremity muscle co-activation of flat-footed subjects wearing high-heels while descending stairs.)

  • 김나희;최보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385-391
    • /
    • 2018
  • 본 논문의 평발인 대상자가 하이힐을 신고 계단을 내려갈 때 하지의 근활성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30명의 여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NDT를 이용하여 평발군과 정상군을 구분하였으며 표전근전도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MG와 LG근활성도와 안, 가쪽 근공동활성도는 평발군에서 낮게 나타났고 근활성도 비율은 평발군이 안쪽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하이힐을 신은 평발군은 정상군보다 무릎관절 정렬에 더 많은 손상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으므로 계단을 내려갈 때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족부 진단용 3차원 움직임 측정을 위한 무선 이동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ireless Ambulatory System Measuring 3-D Motion as Podiatric Diagnosis)

  • 김진호;김화인;김동욱;원용관;김정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5B호
    • /
    • pp.502-51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보행 시 발의 3차원 움직임에 대한 보다 정확한 동작 각도를 측정하고, 기존의 마커 방식에 의한 유선 동작 분석 시스템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양상에 실제 사용 가능한 족부 진단용 우선 이동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의 주요 모듈은 3축 가속도계와 3축 자이로계로 이루어진 관성 측정 장치와 블루투스 전송 모듈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는 전주 소아과 족부 임상 전문의에게 평발과 아킬레스건염을 진단 받은 소아과 환자 5명의 10족 에 대한 측정을 하였으며, 족부 전문의의 이학적 소견과 대비하여 개발 시스템에서 측정한 값과 근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발목의 ROM은 외측 복사뼈에서 측정된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의 차이로 측정하였고, 이 값에 근거하여 평발이 심할수록 외번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짐을 보였다. 근전도 측정 결과 내번근으로 작용하는 전경골근의 보상 작용으로 인해 전경골근의 근 활성도가 높게 측정되었고, 아킬레스건염에 의해 족배굴곡이 제한됨으로 인해 족저굴곡근으로 작용하는 비복근의 근 활성도가 높아짐을 보임으로서 족부 질환에 따르는 발의 비정상적인 움직임과 특정 근육의 활성 사이에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제 1열 전족부 절골술을 통한 평발 교정에 있어 골이식 없이 사용한 소형 쐐기형 금속판의 치료 결과 (The Results of the First Ray Forefoot Osteotomy Using Low Profile Wedge Plate without a Bone Grafting for Pes Planus Correction)

  • 최준영;신명진;서진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1
    • /
    • 2017
  • Purpose: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results after the first ray of forefoot osteotomy using low profile wedge plate without additional cancellous bone grafting for pes planus correc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our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Medial cuneiform opening wedge osteotomy was performed in 12 patients (Cotton osteotomy, group C) and first metatarsal base osteotomy was performed in 12 patients (group MT). Results: On average, the wedge size was 5.61 mm (5~6 mm). The mean time to radiographic union was 3.18 and 3.27 months in groups C and MT, respectively. Postoperative talonavicular coverage angle, talo-first metatarsal angle (anteroposterior), talo-first metatarsal angle (lateral), talo-calcaneal angle (lateral), medial cuneiform height, and American orthopaedic foot, as well as ankle society midfoot scal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groups. Nonunion, delayed union or fixation failure was not presented in our series. Conclusion: We have shown that low profile wedge plate was effective in the case of first ray forefoot osteotomy for pes planus correction without any additional cancellous bone grafting.

유연성 평발에 적용한 로우다이 테이핑에 의한 균형 수행력의 변화 (The Changes of Balance Performance by Low-dye Taping Application on Flexible Flatfoot)

  • 엄주리;문동철;김종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5-36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mediate effect of low-dye taping on balance performance in subjects with flexible flatfoot. METHODS: Fifteen asymptomatic volunteers who had flexible flatfoot (age, $21.7{\pm}1.81$years; height, $164.80{\pm}7.57cm$; weight, $56.47{\pm}10.48kg$)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Navicular drop test was used to evaluate pronation of foot in three different conditions; non-weight bearing position without low-dye taping, weight bearing position without low-dye taping, weight bearing position with low-dye taping. And balance performance (anterio/ posterior, medial/lateral, and overall) was evaluated using the Biodex Balance System in three different conditions; one-leg standing without low-dye taping, one-leg standing with low-dye taping, and one-leg standing with low-dye taping in one week later.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assess navicular height and balance performance across the three testing conditions. RESULTS: Significant and clin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navicular height was found after application of the low-dye taping.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balance perform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o suggest that low-dye taping does not affect balance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