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경사

Search Result 85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Variation of Geographical Factors and Hydrologic Components according to DEM Spatial Resolution (DEM 해상도에 따른 지형인자 및 수문성분의 변화 분석)

  • Kim, Nam-Won;Lee, J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85-1-789-5
    • /
    • 2008
  • 최근 수자원 분야에서는 대상유역의 최종출구점 뿐만 아니라 유역내 수문성분의 시 공간적인 분포특성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GIS와 연계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분포형 모형의 적용에 있어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격자크기에 대한 명확한 해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DEM 해상도(격자크기)에 따른 지형인자 및 수문성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지형인자 도출에서 수문성분 분석까지 가능한 SWAT-K 모형을 횡성댐 상류유역에 적용하였다. 결과를 검토해보면, DEM 해상도가 낮아질수록, 최저고도는 증가, 최고고도는 감소, 따라서 평균고도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상유역의 지형인자에 관계된 유역면적의 경우에는 해상도가 낮아질수록 다소 증가하였으며, 소유역별 유역평균경사의 경우에는 크게 감소하였다. 하도 지형인자의 경우, 해상도가 낮아질수록 주하도 길이는 감소, 주하도 경사는 반대로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수문성분의 경우, DEM 해상도가 낮아질수록 유역 전체유출량은 다소 감소하였으며, 반대로 증발산량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출성분을 세분하여 검토해보면, DEM 해상도가 낮아질수록 중간유출, 지하수유출의 경우 각각 크게 감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DEM 해상도가 낮아질수록 유역경사가 완만해져 중간유출이 지하수유출로 유입되는 현상으로 파악된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Aerodynamic Interaction of the Rotor and Stator for the Ducted fan UAV (덕티드 팬 무인기의 동익과 정익 공력상호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 Ryu, Min-Hyoung;Cho, Lee-Sang;Cho, J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387-391
    • /
    • 2009
  •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ducted fan for the propulsion system of a small UAV has been performed. In this paper, to investigate the three-dimensional unsteady flow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ducted fan, it was measured by using a $45^{\circ}$ inclined hot-wire from hub to tip at inlet, behind the rotor and outlet of the ducted fan. The hot-wire signal data was acquired at fixed yaw angle. The data was averaged by using the PLEAT (Phase Locked Ensemble Averaging Technique), and then three of non-linear equations were solved simultaneously by using the Newton-Rhapson numerical method. Flow characteristics such as tip vortex, secondary flow and tip leakage flow were confirmed through axial, radial and tangential contour plot.

  • PDF

상이한 삼림생태계에서 강우량에 따른 투수 특성 변화

  • 정덕영;오종민;진연호;손요한;주영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06a
    • /
    • pp.74-78
    • /
    • 1998
  • 경기도 퇴촌에 위치한 경희대학교 연습림내의 낙엽송, 잣나무 및 굴참나무의 천연활엽수로 구성된 3개의 임반에서 경사도와 년간 강우량 변화에 따른 투수특성을 조사하였다. 3개의 임반의 O, A, B층은 3개 임반 모두 경사도가 낮은 하부사면에서 관찰되었으나 경사도가 높은 산사면이나 수간우가 많은 일부 지역에서는 바로 암반층 또는 풍화층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잣나무 임반은 유기물 퇴적층과 A층이 낙엽송이나 굴참나무 임반보다 잘 발달되어 O층은 약 5내지 10cm 정도이고 A층 또한 O층 아래로 약 50cm까지 깊게 발달되었다. 낙엽송 임반의 하부사면의 경우 A층의 발달이 약 35cm부터 약60cm 에 이르고 있으나 토성을 구성하는 요소중 직경 2mm 이상의 자갈에 토양입자들이 전체 토양의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토층분화 특성을 달리하는 임반에서의 투수특성은 표층토에서는 약 5.2cm/hr였고 A층에서는 평균 8.2cm/hr 정도였다. 이는 A층에서의 토성이 주로 자갈로 구성되어 대공극을 이루고 있고 평균 부피수분함량이 약 25%인 점을 감안하면 상대 투수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산지사면의 상부보다 상대투수속도가 증가되는 경향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상부에서의 토층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투수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로 추정할 때 지표층에 존재하는 유기물과 토층 분화 정도가 투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xplicit Design of Commercial Pipe on a Slope with Pumping Power (동력경사 상용관의 양해법 설계)

  • Yu, Dong-Hun;Gang, Chan-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5
    • /
    • pp.495-501
    • /
    • 1997
  • Pumping power being given, traditional method requires an iteration process for the solution of discharge and pipe diameter. Yoo and Kang (1996) have developed explicit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discharge and pipe diameter for the cases of uniformly rough pipe on a sloping bed with a pumping power. The use of poser law for the estimation of friction factor enabled to develop the explicit form of equations. Yoo (1995a) has suggested the mean friction factor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friction factor of commercial pipe or composite surface pipe. With the same approach, the present work has developed the explicit equations of discharge or pipe diameter for the general case of commercial pipe on a sloping bed with a pumping power by adopting the mean friction factor method.

  • PDF

Estimation of streamflow using river characteristics and satellite images (하천특성 및 위성영상을 활용한 하천유량 추정)

  • Chung, Soo-Un;Jang, Chang-Lae;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6-36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홍우 등으로 홍수 등 재난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과학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기에는 공간적으로 범위가 넓다. 특히, 미계측유역은 자료를 수집하고 정량적으로 분석 및 예측하는 데에는 한계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폭, 수면경사, 수위 등 자료를 추출하고, 이를 유량조사를 수행한 지점의 자료와 비교하여 수리 기하적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하도특성을 고려하여 중·하류로 구분하고 유량과 수리기하 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위성영상 중 취득이 용이한 Sentinel 자료를 선별하여 수리특성인자를 추출하였다. 영상자료의 해상도가 20 m이며, 자료의 한계에 따른 하천폭, 경사, 수위에 대한 유효 기준을 제시하고 경사가 완만하고 하폭이 넓은 대하천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하천수리인자 특성을 입력변수로 하는 유량을 추정하기 위한 회귀모형을 구축하고, 모의유량과 실측유량을 비교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규모가 유사한 시험유역을 미계측 유역으로 간주하여 평균제곱근오차(RMSE) 와 평균절대오차(MAE)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요하천의 수리기하 특성을 통계화하고 유량과의 특성을 도출하여 국내하천의 특성을 범주화 할 수 있었고, 미계측 유역에서의 유량을 원격탐사와 같은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추정하고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flow change for urban basin characteristics in optimal sewer networks (도시유역 특성별 우수관망 최적화에 따른 유출 변화 분석)

  • Lee, Jung-Ho;Song, Yang-Ho;Ryu, Se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47-247
    • /
    • 2011
  • 도시유역에서의 일반적인 우수관거 설계 및 기존의 연구들은 수리학적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최소의 비용을 위한 관거 설계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그러나 최적의 우수관거 설계는 우수관거의 근본적 목적인 내수배제를 최대화 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것은 관망 구성에 따른 시스템 내 유입 수문곡선들 간의 중첩효과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관내 흐름의 변화를 관망의구성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는 목적함수로서 다루고 있는 이정호(2010)의 우수관망 최적설계 모형에 대하여 각기 다른 유역 특성을 나타내는 실제 도시유역에서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최적 우수관망 노선 결정 모형은 이정호(2010)가 개발한 모형으로 도시유역에서의 우수관망의 노선 결정을 유출구 첨두유출량 최소화를 목적으로 최적화기법을 이용한 모형이다. 이정호(2010)는 개발된 모형을 통하여 관망 노선을 결정한 결과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에 대해서 내수침수 발생이 저감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정호(2010)의 모형에 대한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유역 특성을 갖는 실제 도시유역들에 대하여 해당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때 유역의 특성은 지표유출 및 첨두유출량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역의 지표 경사에 대하여 고려되었다. 적용된 도시유역은 총 3개 배수분구로서 평균 지표 경사는 0.008, 0.006, 0.002로 각기 높은 경사, 보통 경사 및 완만한 경사 지대를 염두에 둔 유역 선정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각 유역에 대하여 우수관망 노선을 최적화한 결과 설계빈도의 강우지속기간 30분 강우에 대하여 현재의 관망 대비 최적화된 관망에서의 첨두유출량 저감 비율은 지표경사 0.008인 유역에서는 약 7%, 지표경사 0.006인 유역에서는 약 17%, 지표경사 약 0.002인 유역에서는 약 8%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유역의 경사 특성에 따른 최적 우수관망을 통한 첨두유출량의 저감 비율간에는 상관관계를 정의할 수 없으며, 단지 우수관망에서의 노선 변경이 가능한 맨홀 지점이 어떤 중요한 지점에 얼마나 위치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alysis of Hydraulic Gradient at Coastal Aquifers in Eastern Part of Jeju Island (제주도 동부지역 해안대수층의 조석에 의한 수리경사 변화 연구)

  • Kim, Kue-Young;Shim, Byoung-Ohan;Park, Ki-Hwa;Kim, Tae-Hee;Seong, Hyeon-Jeong;Park, Yun-Seok;Koh, Gi-Won;Woo, Nam-Chil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8 no.1
    • /
    • pp.79-89
    • /
    • 2005
  • Groundwater level changes in coastal aquifers occur due to oceanic tides, where the properties of oceanic tides can be applied to estimate hyadraulic parameters. Hydraulic parameters of coastal aquifers located in eastern part of Jeju island were estimated using the tidal response technique. Groundwater level data from a saltwater intrusion monitoring well system was used which showed tidal effects from 3 to 5 km. The hydraulic gradient was assessed by utilizing the filtering method from 71 consecutive hourly water-level observations. Calculated hydraulic diffusivity ranged from 2.94${\times}10^7m^2d^{-1}$ to 4.36${\times}10^7m^2d^{-1}$ . The hydraulic gradient of the coastal aquifer area was found to be ~$10^{-4}$, whereas the gradient of the area between wells Handong-1 and 2 was found to be ~$10^{-6}$, which is very low comparatively. Analysis of groundwater monitoring data showed that groundwater levels are periodically higher near coastal areas compared to that of inner land areas due to oceanic tide influences. When assessing groundwater flow direction in coastal aquifer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idal fluctuation.

Analyses of Hydrology and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in Granite Aquifer with Tunnel Excavation (터널 굴착에 의한 화강암 대수층의 수리 수문 및 지하수위변동 분석)

  • Chung, Sang-Yong;Kim, Byung-Woo;Kang, Dong-Hwan;Shim, Byoung-Ohan;Cheong, Sang-W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7 no.4
    • /
    • pp.643-653
    • /
    • 2007
  • Average hydraulic conductivity was $2.64{\times}10^{-8}m/sec$ average RQD was 78%, average porosity was 0.51%, and range of groundwater level was $77.06{\sim}125.97m$ by measured in 8 boreholes at the Surak Mt. tunnel area. Groundwater level of two peaks in the Surak Mt. tunnel area were estimated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groundwater level versus elevation. And, average horizontal hydraulic gradient in the Surak Mt. tunnel area was calculated 0.267. Minimum, maximum, and average hydraulic conductivities that estimated by field tests were $5.56{\times}10^{-9}m/sec,\;6.12{\times}10^{-8}m/sec,\;and\;2.64{\times}10^{-8}m/sec$, respectively. Groundwater discharge rates per 1 meter that estimated using minimum, maximum, and average hydraulic conductivities and average horizontal hydraulic gradient were $0.00585m^2/day,\;0.06434m^2/day,\;and\;0.02775m^2/day$, respectively. Pure groundwater recharge rate per unit recharge area was calculated 223.96 mm/yr through water balance analysis. Prediction simulation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with minimum, maximum, and average hydraulic conductivities were conducted. Discharge rate into the Surak Mt. tunnel for minimum hydraulic conductivity was small, but groundwaer drawdown was highly. Discharge rate into the Surak Mt. tunnel for maximum hydraulic conductivity was higher, but groundwaer level was recovered quickly.

An Enhanced Optical Flow Calculation Using Scalar Edges (스칼라 경계선을 이용한 개선된 Optical Flow 계산)

  • Yoon, Sang-Oon;Cho Seok-Je;Ha, Yeong-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26 no.7
    • /
    • pp.132-139
    • /
    • 1989
  • Optical flow is important not only for determining velocity and trajectory of the object but also for image segmentation and 3D information. The gradient-based method is mostly used to compute optical flow form image sequences, but it accomanies smoothing effect of velocity vectors. In this paper, an enhanced algorithm for computing optical flow using scalar edge to restrict is also applied to reduce errors both around motion boundary and in the occlusion region.

  • PDF

Estimation methods of maximum scour depth in steep gravel-bed bend channel (급경사 자갈하상 만곡수로의 최대세굴심 산정공식 평가)

  • Cho, Jaewoong;Nam, A-Reum;Woo, Tae Young;Park, Sang Deo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6
    • /
    • pp.529-536
    • /
    • 2016
  • The existing methods to estimate the maximum scour depth in the bend of steep gravel bed channel have been evaluated by the hydraulic movable-bed experiments. In the $90^{\circ}$ bend steep-slope channel paved with the fluvial gravels which are uniform in size and have a mean diameter of 43mm, the maximum scour depths due to the flow discharge and the gradient of bed slope have been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e scour depth computed from the equations. The local scour has occurred in conditions that the bed slope is steeper than 0.02 and the $F_r$ is greater than 0.95. Except Lacey's equation and Zeller's equation, the existing methods computing the maximum scour depth overestimate the maximum scour depth in the steep channel with the very coarse gravel bed. However, Lacey's equation with the bed material size and Zeller's equation considering the approach channel gradient and the bend angle may be relatively used to estimate the scour depth in bend of the steep gravel-bed 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