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편도편평세포암종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인 편도 편평상피암종에서 고위험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와 젊은 연령 및 비흡연자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igh Risk Human Papillomavirus and Young Patients and Nonsmokers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onsil in Korea)

  • 주영훈;정찬권;조광재;선동일;박준욱;김민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7-21
    • /
    • 2011
  • 연구 및 목적 :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 편도 편평세포암종의 발생에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high risk human pap-illomavirus)의 역할 및 관여 인자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연구는 편도 편평상피세포암종으로 진단받은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을 알기위해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였다.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과 나이, 성별, 흡연, 음주, 병기, 병리학적 특징 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의 양성율은 31.5%(17/54)였다.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은 젊은 연령(50세 미만), 비흡연자, 림프절 전이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p=0.008, p=0.042, p=0.027). 하지만 성별, 음주, 원발부위 병기, 종양분화도, 피막외침범, 혈관 및 신경 침범과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5년 전체 생존율 및 질병 특이 생존율은 각각 60%와 62%였다.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의 양성율은 질병 특이 생존율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9). 결 론 : 한국인의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은 젊은 연령 및 비흡연자의 편도 편평세포암종의 발생에 관련이 있고 예후 인자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편도암의 발암 원인으로 Human Papilloma Virus를 통한 발암 기전과의 상관 관계 (Correaltion of Human Papilloma Virus Infection Status with Tonsillar Squamous Cell Carcinoma)

  • 김세헌;변형권;천제영;박영민;정진세;이소윤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1-25
    • /
    • 2007
  • Background:Squamous cell carcinoma(SCC)of the palatine tonsils represents approximately 15-23% of all intraoral SCC.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risk factors for oropharyngeal cancer are smoking and alcohol. In a recent overview of HPV and tonsillar squamous cell carcinoma(TC), 51% contained HPV DNA, and HPV-16 being the most frequent type. We aimed to clarify whether HPV directly effects on the oncogenesis and biologic behavior of TC by comparison with infection prevalence, and physical status of virus. Material and Method:We used HPV genotyping DNA chip(Biocore, Korea, Seoul) arrayed by multiple oligonucleotide probes of L1 sequence of 26 types of HPV and HPV genotypes are identified by fluorescence scanner. The copy numbers of HPV E2 and E6 open reading frames(ORF) were assessed using a TaqMan-based 5'-exonuclease quantitative real-time PCR assay. The ratio of E2 to E6 copy numbers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physical status of HPV-16 viral gene. Results:We observ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PV prevalence between 52 TCs and 69 CFTs(73.1% vs. 11.6%), and most of the HPVs were type 16(87.2%)and non-episomal(94.1%) state. Conclusions:This study regarding HPV infection prevalence and mechanism in the largest population of palatine tonsillar squamous cell carcinoma with chronic follicular tonsillit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pf HPV prevalence between TC and CFT. Most of HPV were 16 type and integrated or mixed, HPV-16 integration could be directly related to tonsillar carcinogenesis.

편도 편평세포암종의 뇌전이 1례 (A Case of Metastatic Brain Cancer from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onsil)

  • 주형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2-234
    • /
    • 1999
  • 두경부 영역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은 원격전이가 흔하지 않으나 최근 들어 국소전이에 대한 치료효과가 향상됨에 따라 원격전이가 재발과 사망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원격전이중 뇌전이는 빈도는 적으나 이환시 높은 사망률을 보이므로 뇌전이를 의심하는 증상이 있을 때는 조기발견을 위한 적극적인 진단적 접근과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본 증례와 같이 고식적 수술후 국소전이에 대한 조절이 잘 되고 있는 환자에서 지속적인 두통 및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뇌전이를 의심하여 적절한 진단 방법을 통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편도 편평세포암종의 경부림프절 전이 (Neck Node Metastasi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onsil)

  • 이세영;정상호;나경원;강재정;심재한;양우익;이승구;이창걸;최은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6-160
    • /
    • 2004
  • Background and Objectives: Neck metastas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treating tonsillar cancer. Incidence and pattern of lymph node metastasis of tonsillar squamous cell carcinoma are the basic knowledge of treatment decision. Occult metastasis rate of tonsillar cancer and pattern of metastasis, failure pattern, survival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Patients and Methods: Seventy six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tonsillar squamous cell carcinoma as an initial treatment from 1992 to 2004 were evaluated. Charts, imaging studies and pathologic reports were reviewed. Results: At the time of surgery, 78% of patients with tonsillar cancer had neck metastasis and 66% had multiple node metastasis. Occult neck metastasis was in 26%. There was high incidence of neck metastasis even in early stage of primary lesion. Conclusion: High incidence of lymph node metastasis was confirmed histopathologically in tonsillar cancer. All tonsillar cancer patients may need elective treatment of the neck. Tonsillar cancer had relatively good prognosis even though its neck metastasis rate is very high.

시츄견에서 경부 림프절로 전이된 편도 편평세포암종 (Cervical Lymph Node Metastases of Tonsillar Squamous Cell Carcinoma in a Shih-tzu)

  • 정동인;이경우;박기태;왕지환;연성찬;이효종;이희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4-158
    • /
    • 2011
  • A 8-year-old female Shih-tzu dog (weighting 4.5 kg) with history of both hindlimb lameness and cervical mass was presented to Veterinary Teaching Hospita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physical examination, ataxia, kyphosis, back pain and cervical mass were identified. Marked periosteal new bone formation of the fourth lumbar vertebra and soft tissue opacity mass of cervical region were observed in survey radiographs. Transverse computed tomography (CT) scan obtained at the lumbar and cervical lesions shown a well defined multilobulated bony mass and partially destructive lytic lesions the fourth lumbar vertebral body and a enlarged retropharyngeal lymph node with heterogeneous contrast enhancement and moderately enhancing left tonsillar mass. Neoplastic squamous epithelium which have developed vessel and lymphocyte infiltration in surrounding tissue were confirmed based o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Based on the diagnostic findings the dog was diagnosed as a cervical lymph node metastases of tonsillar squamous cell carcinoma.

구인두암의 방사선치료 (Radiation Therapy for Carcinoma of the Oropharynx)

  • 박인규;김재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95-103
    • /
    • 1996
  • 목적 : 구인두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여 생존율, 치료 실패 양상 및 생존율에 미치는 요인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85년 3월부터 1993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구인두암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53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31세에서 73세로 중간값은 54세였으며 남자 47예 여자 6예였다. 조직학적으로 편평세포암종이 42예, 미분화암종 이 10예, 선양 낭성암종이 1예였다. 병기별 분포는 I기 2예, II기 12예, III기 12예, IV기 27예이었다. T1 7예, T2 28예, t3 10예, T4 7예, T병기가 불명확한 경우가 1예이었고, N0 17예, Nl 13예, N2 21예, N3 2예였다. 원발병소는 편도 36예, 설기저부 12예, 그리고 연구개 5예였다. 방사선 단독치료가 25예, 유도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 병용요법이 28예였다. 유도화학요법은 CF (cisplatln, 5-fluorouracil) 또는 CVB (cisplatin, vincristine, bleomycin) 약제로 1-3회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MV X선 및 8-10MeV 전자선을 이용하였고 방사선 치료선량은 일일 180-200 cGy씩 총 4500-7740 cGy로 중간값은 7100 cGy였다. 환자의 추적기간은 4개월에서 99개월로 중간추적기간이 21개월이었다. 결과 : 방사선치료 후 37예 ($69.8\%$)에서 완전관해를 보였고 16예 ($30.2\%$) 에서 부분관해를 보였다. 전체 환자에서 2년생존율은 $47\%$, 3년생존율은 $42\%$였고 중앙생존기간은 23개월이었다. 치료에 대한 반응 (p=0.004) 및 전체병기가 (p=0.02)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년 무병생존율은 $45.5\%$였고 T 병기 (p=0.03), N 병기 (p=0.04) 및 전체병기가 (p=0.04) 의미있게 무병생존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나이, 성별, 조직학적 소견, 원발병소, 방사선량 및 화학요법과의 병합치료는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방사선치료 후 완전관해를 보인 36예 중 추적조사가 가능했던 32예에서의 치료 실패양상은 국소재발이 8예, 원격전이가 4예로 주된 치료 실패 원인은 국소재발이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N 병기, 7 병기 및 전체병기가 무병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으며, 국소재발이 주된 실패 요인이 되고 있어 국소완치를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현재까지 구인두암의 치료는 방사선 단독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여겨지며 화학요법은 좀더 많은 비교 대조군 연구를 통해서만 역할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