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펜타클로로페놀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작업환경을 위한 TVL의 근거 - PENTACHLOROPHENOL(1)

  • 김치년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262호
    • /
    • pp.26-29
    • /
    • 2010
  • 펜타클로로페놀의 현재 직업적 노출기준은 $0.5\;mg/m^3$(TLV-TWA)으로 권고하고 있다. 이 수치는 눈, 점막과 상기도의 염증과 발한, 열, 위장 불만, 시각 장해, 중추 신경계와 심혈관계 장해를 유발할 수 있는 급성 독성의 가능성을 최소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Chloracne는 공업용 펜타클로로페놀을 사용하거나 펜타클로로페놀을 생산하는 근로자들에 대해서 보고하였다. 펜타클로로페놀은 피부를 통해서 즉시 흡수되는데, 이 물질의 조직 독성은 펜타클로로페놀을 포함한 용액이나 펜타클로로페놀로 오염된 의류와 접촉된 사람에게서 보고되었다. 따라서 피부경고주석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펜타클로로페놀의 발암성 잠재력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간세포성과 신장에 가까운 신생물이 관찰된 설치류 생물 검정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본 물질은 인간에게 불명확한 관련성을 가진 동물성 발암물질(A3)로 설정하였다. 충분한 자료가 확보되지 않아 감작성 (SEN) 경고주석 또는 TLV-STEL은 권고되지 않았다. 펜타클로로페놀은 생물학적 노출지수(BEIs)가 권고된 물질이다.

  • PDF

자동화된 Liquid Phase Microextraction(LPME)를 이용한 폐수 중 12종의 클로로페놀 분석 (Analysis of 12 chlorophenols in waste-water using automated liquid phase microextracion (LPME) device)

  • 김석중;조현우;명승운
    • 분석과학
    • /
    • 제20권1호
    • /
    • pp.70-77
    • /
    • 2007
  • 클로로페놀 12종을 폐수로부터 LPME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고, GC/MS로 분석하였다.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추출용매의 종류, 시료의 양, pH, 염석 효과, 플런저 왕복 횟수 및 속도를 고려하여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그 결과, 직선성이 0.9913에서 0.9999를 가지는 12가지의 검정곡선을 얻을 수 있었고,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도 2,3,4,5-테트라클로로페놀과 펜타클로로페놀(0.05-500 ng/mL)을 제외하고 0.05~10.0 ng/mL범위에서 얻을 수 있었다. 실제 폐수에서 4-클로로-3-메틸페놀(784 ng/mL)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빔 공정에 의한 Pentachlorophenol 분해 (Pentachlorophenol(PCP) Decomposition by the Electron-beam Process)

  • 권중근;김종오;권범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7호
    • /
    • pp.49-5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E-beam) 공정을 이용한 펜타클로로페놀(Pentachlorophenol, PCP)의 분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주어진 반응시간(0.6 s) 동안 생성될 수 있는 각종 반응성 화학종의 농도를 예측하였으며, PCP 분해에 미치는 pH와 과산화수소의 영향 및 이에 따른 G-value 등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전자빔공정에서 PCP의 분해는 pH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1mM 이하의 과산화수소의 주입은 PCP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으나 그 이상의 과산화수소의 주입은 오히려 PCP의 분해를 감소시키거나 부산물의 형성을 유도할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옥살산과 미확인된 유기염소 성분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전자빔공정에서 수산화라디칼의 발생원으로써 적절한 농도의 과산화수소 주입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과산화수소와 헤모글로빈 촉매에 의한 펜타클로로페놀(PCP) 오염토양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soil contaminated by pentachlorophenol with hydrogen peroxide and hemoglobin catalytic reaction)

  • 송주완;강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5-319
    • /
    • 2000
  • 400ppm의 pentachlorophenol(PCP) 오염토양을 5$m\ell$ scintillation vial의 multi reactor와 1L 크기의 one reactor를 써서 Hydrogen peroxide와 Hemoglobin 촉매반응에 의해 PCP 분해정도를 조사하였다. 대부분 초기에 반응이 빠르게 진행되므로 time scale을 8시간 이내와 한달여기간동안 살펴보았다. 8시간동안의 PCP 분해정도는 일차함수로 동력학 계수가 -0.0233으로 나타났고, 이때 제거효율은 60.8%이고 one reactor의 경우 30일동안 80%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PCP 회수율은 multi reactor의 경우 96.5($\pm$6.7)이고 one reactor(fan scale)의 경우 90.1%였다.

  • PDF

전자빔 공정에서 $H_2O_2$$Fe^{3+}-EDTA$의 첨가가 수산화라디칼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ydroxyl Radical Generation by Means of the Addition of $H_2O_2$ and $Fe^{3+}-EDTA$ in the Electron-beam Process)

  • 권범근;권중근;김종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0호
    • /
    • pp.69-7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공정(Electron beam process, E-beam)에서 생성되는 수산화라디칼의 생성특성을 조사하였고, 이 공정에 첨가제로 과산화수소와 $Fe^{3+}-EDTA$을 이용한 펜타클로로페놀(Pentachlorophenol, PCP)의 분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수산화라디칼의 측정은 벤조산(Benzoic Acid, BA)에 의한 hydroxylation으로 생성된 hydroxybenzoic acid(OHBA)의 농도를 정량화하여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실제 측정된 수산화라디칼의 농도는 예측된 수산화라디칼에 비해 낮은 농도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아마도 E-beam 에너지의 조사와 동시에 형성되는 다양한 반응성 화학종이 수산화라디칼을 스케빈져(scavening)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특히, 1mM 이하의 과산화수소 주입은 PCP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으나 그 이상의 과산화수소의 주입은 오히려 PCP의 분해를 감소시키거나 PCP의 부산물인 염소이온과 Carbon yield(%)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반면에, $20{\mu}M$$Fe^{3+}-EDTA$ 첨가는 효과적으로 PCP를 제거하였고, 이에 따른 G-value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OHBA의 형성과 PCP의 분해를 고려하여 보면, 결과적으로 E-beam공정에 가하는 $Fe^{3+}-EDTA$의 첨가는 상대적으로 낮은 세기에서도 효과적으로 PCP를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UV와 $Fe^{2+}$, 그리고 $H_2O_2$를 조합한 고급산화 공정에서의 Pentachlorophenol의 분해 속도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Advanced Oxidation Reactions Including UV, $Fe^{2+}$, and $H_2O_2$ for the Degradation of Pentachlorophenol)

  • 손현석;김문경;조경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846-851
    • /
    • 2007
  • 본 연구는 PCP를 UV, $UV/H_2O_2$, $Fe^{2+}$, $Fe^{2+}/H_2O_2$, 그리고 $UV/Fe^{2+}/H_2O_2$의 공정을 이용하여 처리할 저 각각 공정의 처리효율을 비교하여 각 반응의 결합에 의한 개선 효과와 분해 기전을 규명한 연구이다. 실험의 결과 UV 반응에 $H_2O_2$의 첨가에 따라 약 13배 정도의 유사 일차 반응 속도의 증가를 보였으며, $Fe^{2+}$ 단독 반응에 비해 180 mM과 16 mM의 $H_2O_2$의 첨가는 각각 4배와 7.25배의 반응 속도 증가를 보였다. 또한 $Fe^{2+}/H_2O_2$의 반응에 비해 UV를 조사한 반응의 경우 약 3.1배의 반응 속도의 개선을 보였다. 이러한 반응속도의 증가는 각 반응에서 생성되는 OH 라디칼의 생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Fe^{2+}/H_2O_2$ 반응에서 일어나는 슬러지 침전 반응은 UV를 조사함으로서 상당부분 제거가 가능하였다.

토양현탁액(土壤懸濁液)에 영양원(營養源)의 첨가(添加)가 Pentachlorophenol 분해세균(分解細菌)의 밀도변화(密度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me Nutrients on the Population of Pentachlorphenol-degrading Bacteria in Soil Suspension)

  • 이상복;최윤희;사토 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9-314
    • /
    • 1994
  • 토양현탁액중(土壤懸濁液中)에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인 펜타클로로페놀과 서로 다른 영양원(營養源)을 첨가(添加)하였을 때 이로 인한 총세균(總細菌)과 약제분해균(藥劑分解菌) 및 첨가(添加)된 물질(物質)의 화학적변화(化學的變化)를 검토(檢討)하였다. 총세균수(總細菌數) 및 그람음성균수(陰性菌數)는 배양후(培養後) 1주째에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가장 높았고, 그 이후 서서히 감소(減少)하였으며 무처리(無處理)에 비하여 양분처리구(養分處理區)에서 높았다. 특히 배양(培養) 5일째까지 글루코스 첨가구(添加區)에서 가장 높았다. PCP분해균수(分解菌數)는 양분무처리(養分無處理)인 대조구(對照區)에서 배양후(培養後) 4주째까지 증가(增加)한 후 약간 감소(減少)하였으나 모든 양분처리구(養分處理區)에서는 초기부터 감소(減少)하기 시작하여 2주째 이후에는 3 log $cells/m{\ell}$이하 이었다. 그 결과 PCP의 소실(消失)도 PCP만 첨가(添加)했을 경우가 PCP와 영양원(營養源)을 첨가(添加)했을 경우보다 빨랐다. 현탁토양내(懸濁土壤內)의 잔류양분(殘留養分)의 함량(含量)은 배양(培養) 1주(週)까지 영양원첨가구(營養源添加區) 모두에서 빠르게 분해(分解)되었으며 글루코스의 분해(分解)가 글루탐산이나 글리신보다 약간 빨랐으나 5주째에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pH의 변화(變化)는 모든처리에서 약간의 증가가 있으나 처리간의 증감(增減)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