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왕별희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메이크업 이미지에 나타난 영화 패왕별희(覇王別姬)와 1989년 미스코리아 당선자의 비교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Movie Farewell My Concubine and Miss Korea Elected in 1989 in The Makeup Image)

  • 박장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7-34
    • /
    • 2020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사는 현대인에게 외모 관리와 소비 행동은 개인의 가치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사회생활에서 막중한 역할을 담당하는 이러한 외모 관리를 위하여 메이크업은 헤어미용, 네일미용, 피부미용, 패션 등과 함께 경쟁력을 갖춘 중요수단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영화<패왕별희>에 등장하는 우희와 1989년 미스코리아 당선자들의 눈썹, 눈, 아이라인, 볼, 입술화장, 피부톤 등의 메이크업에 관하여 미용학적인 관점에서 전문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소 과장된 화장기법의 공통분모 속에서 다른 면들이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참신한 메이크업 패턴과 아이템 개발을 위한 다각도 모색이 가능하며, 동시에 메이크업 미용 교육의 기틀 구축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는 메이크업 시장에서의 더욱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여 경쟁력을 갖춘 실질적인 발전에도 일조하고자 한다.

자인단오제 큰굿의 구조 정립 모색 (Seeking an Establishment of Structure in the Big-gut, Jaindanoje)

  • 홍태한
    • 공연문화연구
    • /
    • 제19호
    • /
    • pp.35-60
    • /
    • 2009
  • 이 글은 현재 연행되고 있는 자인단오제의 큰굿의 구조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면서 구조를 새롭게 정립해야 함을 주장한 글이다. 현재 자인단오제에는 큰굿이 연행되고 있으나, 굿거리와 공연물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굿거리의 성격이 모호하다. 그러다보니 한국 무속의 구조에 맞지 않은 이상한 굿거리들이 연행되고 있는데, 패왕별희, 어우동 거리 등이 그 예이다. 세부적인 절차도 어색하여 지역의 특색을 드러내기보다는 우리나라 각 지역의 무속 양상이 혼합되어 있다. 바라를 팔다가 고를 푸는 칠성거리가 그 예이다. 또한 개별 굿거리에 다수의 무당이 등장하여 춤을 추면서 굿을 연행하고 있어 굿이라기 보다는 무용극 내지는 춤공연으로 보이는 것도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극복되어야 큰굿은 우리의 소중한 문화 자산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한국굿의 구조를 고려할 때 초반부, 중반부, 종반부의 구성을 지키면서 굿거리의 층위를 신령의 체계와 맞출 필요가 있다. 굿거리가 아닌 것들은 과감하게 빼버려서 굿거리 중심의 연행물이 되어야 한다. 개별 굿거리를 담당하는 주무를 설정하고 주무 중심으로 굿을 진행해야 한다. 현재 담당하고 있는 이들이 문제가 있다면 경상도 내륙의 무속 사정을 잘 아는 새로운 연행담당층을 모색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된다. 자인단오제 큰굿은 이제 무형문화재의 일부이다. 과거처럼 사람들의 흥미에 부응하고 호기심의 대상이 되는 공연물이 아닌 우리의 전통 문화를 대표하는 전승물이 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연행된 굿거리를 재검토하여 획기적으로 다시 재편해야 할 시점에 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