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경력개발기능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어업용 작업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rkwear for Fishing)

  • 차수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293-294
    • /
    • 2021
  • 본 연구는 어업에 종사하는 어업인을 대상으로 작업복 착용실태와 불편사항 및 문제점, 작업복에서 요구되는 기능 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어업에 적합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적 작업복 개발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남지역의 어업인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어업인은 50대가 가장 많았고 남성이 약 85%이며, 근무경력은 10년 이상 20년 미만이 많았다. 작업복은 상하 분리형을 좋아하며, 방수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착용 작업복에 대한 만족도는 땀투과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보통으로 평가되었다. 선호하는 색상은 무채색이 가장 많고 상하 분리형 스타일과 지퍼 여밈을 좋아하였다. 연령에 따라 작업복 구입 시 고려사항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30대 이하와 40대는 활동성을, 50대는 내구성을, 60대는 방수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연령에 따른 작업복 만족도는 활동성, 압박감, 탈착성, 맞음새, 두께감, 기능성, 보온성, 옷의 무게감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어업용 작업복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멘토링 기능 측정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패션관련 전공 학생을 중심으로 -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 Measure of Mentoring Functions Scale - Focused on the Clothing & Textiles Majoring College Students -)

  • 이승민;박현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0-39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nectional structure of mentoring perceived by the 2-year colleg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fashion, and to develop the scale with which the mentoring effect can be measur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o achieve the purpos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btaining data from the 2-year college students. Responses from this questionnaire were gathered from 265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made with 31 mentoring scales and removed inadequate 18 questions for statistics analysis. The remaining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13 question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factors. The first factor (5questions) relates to the sensitivity developmental function. The second factor (5questions) pertains to the psychosocial function and the third factor (3questions) was for the fashion career developmental functi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model function is not enticing enough for the student to continue role model or professor for future student. The students are more interested into discovering their own capability in fashion by entering a fashion company. Secon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confirm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 guide-line for professors to help student to which is fashion in spite of outside comment and own future career ta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