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판독시간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31초

CNN 기반 위장관 랜드마크 분류기를 이용한 위장관 교차점 추정 (Estimating Gastrointestinal Transition Location Using CNN-based Gastrointestinal Landmark Classifier)

  • 장현웅;임창남;박예슬;이광재;이정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3호
    • /
    • pp.101-108
    • /
    • 2020
  • 최근의 영상 처리 분야는 딥러닝 기법들의 성능이 입증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이와 같은 기법들을 활용해 영상에 대한 분류, 분석, 검출 등을 수행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그중에서도 의료 진단 보조 역할을 할 수 있는 의료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대가 증가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셋이 방대하고 판단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캡슐내시경 영상에 주목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캡슐내시경 영상의 판독에서 모든 환자에 대해 공통으로 수행되고, 판독하는 데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위장관 랜드마크를 구별하고 위장관 교차점을 추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위장관 랜드마크를 식별할 수 있는 CNN 학습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결괏값을 필터링해 위장관 교차점을 추정하였다. 무작위로 환자 데이터를 샘플링한 모델을 이용해서 나온 결과를 필터링 후에 위장관 교차점을 추정하였을 때, 88% 환자는 위장에서 소장으로 변화하는 위장관 교차점(유문판) 의심 구역 안에 들어왔으며, 소장에서 대장으로 변화하는 위장관 교차점(회맹판)의 경우 100% 환자가 위장관 교차점 의심 구역 안에 들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0프레임 범위로 위장관 교차점 의심 구역을 찾을 수 있었으며, 판독자가 초당 10프레임의 속도로 판독을 진행한다면 10초안에 위장관 교차점을 찾아낼 수 있다.

대학병원 응급 영상검사에서 영상의학과 전공의 가판독과 전문의 최종 판독 간의 불일치 발생률 분석 (Analysis of the Rate of Discrepancy between Preliminary Reports by Radiology Residents and Final Reports by Certified Radiologists for Emergency Radiology: Studies in a University Hospital)

  • 정연범;신청일;제환준;김정훈;정진욱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186-1195
    • /
    • 2021
  • 목적 대학병원 성인응급실에서 영상의학과 전공의 가판독과 전문의 최종 판독 간에 불일치가 발생한 빈도를 조사하고, 이 발생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대상과 방법 2016년 12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성인응급실에서 촬영된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 검사 중, 전공의 가판독과 전문의 최종 판독 간에 불일치로 인해 환자의 진단이나 치료 계획이 변경될 수 있는 경우를 중대한 불일치로 정의하고, 이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이후 전공의 근무 시간대, 응급실 근무 경력, 세부 분야별로 중대한 불일치 발생률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결과 총 72137건의 가판독 중 중대한 불일치를 보인 검사는 총 1348건(1.9%) 이었다. 중대한 불일치의 유형으로는 위음성(72.0%)이 가장 많았고, 오판(26.3%), 위양성(1.7%) 순이었다. 또한 급성 소견의 중대한 불일치(87.2%)가 비급성 소견의 중대한 불일치(12.8%)보다 많았다. 중대한 불일치 발생률은 24시간 교대 근무 후반부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새벽 2시부터 4시 사이가 2.9%로 가장 높았다. 전공의의 응급실 근무 경력에 따른 발생률 차이는 없었고, 세부 분야별 발생률은 0.6%-4.5%로 다양했다. 결론 가판독과 최종 판독 간에 중대한 불일치 발생률은 2% 미만이었고, 24시간 교대 근무 후반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딥러닝 기반 방사선 비투과성 표지자 자동 검출 기법 (Deep Learning-based Automated Detection of Radio-Opaque Markers in X-Ray Images)

  • 송영민;이병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0-43
    • /
    • 2017
  • 본 논문은 딥러닝을 이용하여 대장통과시간(Colon Transit Time, CTT) 검사를 위한 단순복부 X-Ray 영상에서 방사선 비투과성 표지자(Radio-opaque Marker)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대장통과시간 검사는 대장의 운동질환을 평가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특히 만성 변비증 환자의 병태생리에 따른 유형 분류와 치료 계획을 설정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으며, 내과적 또는 외과적 치료 후 평가에도 유용한 검사이다. 대장통과시간 검사는 방사선 비투과성 표지자가 내재되어 있는 캡슐을 복용한 뒤 주기적으로 단순복부 X-Ray 촬영을 통해 구간별로 남아있는 표지자의 수를 세고, 이를 통해 구역별 통과시간을 측정한다. 이 과정에서 판독의가 직접 표지자의 위치 및 개수를 세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선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딥러닝 기법을 사용하여 X-Ray 영상 내에서 표지자의 위치를 자동 파악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 PDF

Tc-99m DTPA 뇌조조영술에서 48시간 지연영상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48 Hour Imaging in Tc-99m DTPA Cisternography)

  • 범희승;송호천;김지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3-316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Tc-99m DTPA 뇌조조영술에서 48시간 지연영상을 얻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이 영상이 어떤 의의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여 보았다. 1991년 3월부터 1994년 4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핵의학과에서 48시간 지연영상까지 촬영하였던 Tc-99m DTPA 뇌조조영술 3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Tc -99m DTPA 37-111MBq을 요추천자하여 지주막하강에 투여하고 2, 6, 24, 48시간에 두부의 전면상과 양측면상을 얻었다. 뇌조조영술 소견의 분류는 I, II, IIIa, IIIb, IV형으로 나누어 2명의 핵의학의사가 독립적으로 하였으며, 서로 판독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합의에 의하여 결정하였고, 뇌실역류의 지속성여부는 24시간 및 48시간에 각각 판단하였다. 대상환자 전례에서 48시간 영상도 판독가능하였다. 뇌실역류가 24시간에 지속되었으나 48시간에 소실된 경우는 비교통성수두증에서는 없었고, 교통성수두증 30예중 7예(23.3%)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분류가 IV형으로부터 IIIa형으로 4예, IIIb형으로 3예에서 변경되었다. 이중 단락수술을 시행한 예는 16예로, II형에서 1예, III형에서 6예, IV형에서 9예였으며, 수술후 임상증상이 호전된 예는 II형 1예 중 1예 (100%), III형 6예 중 3예(50%), IV형 9예 중 8예 (89%)였다. 수술을 시행한 IIIa형 중 1예는 24시간 까지의 영상으로는 IV형으로 분류되었으나 48시간 영상에서 IIIa형으로 분류된 예였으며, 단락수술후 임상증상이 개선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Tc-99m DTPA 뇌조조영술에서도 48시간 영상이 가능하였으며, 수술적응증 판단에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 PDF

Huff분포와 실적강우분포에 의한 유출량 비교 고찰

  • 조덕준;백천우;주진걸;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27-1131
    • /
    • 2004
  • 최근에 재해영향평가 등에서 많이 채택하고 있는 Huff의 4분위법에 의한 강우의 시간분포를 통한 유출량 산정은 도시화지역 등에서 유출량에 내한 관측기록이 없어서 적절한 검정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산정된 계획홍수량에 의해 설계되는 수공구조물의 경제성 또는 안전성의 정도를 파악하지 못하고 실무에 반영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최근 29개년간의 년 최대 강우관측자료에 대하여 각각을 Huff의 4분위법에 의한 10분 간격으로 시간분포고, 실제 관측 강우의 경우 10분 간격으로 판독하여 도시유출모형인 SWMM을 이용하여 유출량을 산정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각각에 대하여 유출량을 빈도해석하여 비교한 결과 강우의 시간분포간격이 짧은 경우 국내적용 Huff분포는 실강우분포에 의한 유출량보다 크게 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저에너지X선 영역에서 유리선량계의 preheat과 Non-preheat과의 시간에 따른 build up 특성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build up characteristic of glass dosimeter of preheat and Non-preheat in low energy according to delay time)

  • 손진현;민정환;김기원;손순륭;임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412-3418
    • /
    • 2013
  • 본 논문은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장기간에 걸쳐 방사선의 누적선량측정 시 예비가열(preheat)과정을 수행한 선량값과 예비가열을 수행하지 않은(non-preheat)선량값을 30일간 시간에 따른 선량변화와 빌드업 특성을 비교 평가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저 선량의 0.1 mGy, 1 mGy, 5 mGy의 선량을 얻기 위해 진단용 발생장치 AccuRay-650R을 사용하였다. 관전압, 관전류 조건으로 각각의 10개 총 30개의 유리선량계 GD SC-1에 조사하여 장시간에 걸쳐 빌드업 특성을 비교하였다. 예비가열을 거치지 않은 저선량의 유리선량에서 초기 판독선량값은 조사된 선량값에 미치지 못하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조사된 선량값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후 실험 종료 후 예비가열을 실시한 값과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예비가열을 거친 저선량의 유리선량에서 초기 판독선량은 조사된 선량값에 근접하였고 일정한 안정상태를 보인 후 15일이 경과한 이후 부터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앞서 보고된 유리선량계의 특성들은 고에너지영역의 고선량에서 유리선량계의 특성들에 관한 내용으로 본 논문에서는 저에너지를 사용해서 저 선량의 누적 선량을 장시간 측정하고자 하면 예비가열을 실시하지 않고 판독을 해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 사료된다.

현장검사용 멀티스트립 리더기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multi-strip reader for point of care testing)

  • 김진;전우람;박승우;이창률;이다현;최인택;김주연;서인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2-58
    • /
    • 2014
  • 현장검사는 환자가 있는 즉석에서 검사하여 결과를 알 수 있으며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검사 항목은 편리하게 쓰이고 있으나 오류가 발생하여 재확인 할 경우, 판독선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재확인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고 반응이 약한 경우 판독자에 따라 오류가 생길 수 있다. 이에 검사에 쓰이는 다양한 현장검사용 스트립의 판독이 가능하고 화상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멀티 스트립 리더기를 개발하였고, 요 임신검사가 의뢰된 검체를 대상으로 개발된 멀티 스트립 리더기를 평가한 결과 100% 일치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멀티 스트립 리더기는 실제 임상에서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용량 압축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비대칭 색인 관리 기법 (Asymmetric Index Management Scheme for High-capacity Compressed Databases)

  • 변시우;장석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293-300
    • /
    • 2016
  • 전통적인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는 높은 성능을 얻기 위하여 느린 하드 디스크에서 관련된 레코드가 연속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레코드 기반 모델을 활용한다. 그러나 읽기 집중적인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위해서는 컬럼 기반 압축 데이터베이스가 월등한 판독 성능으로 인하여 더 적합한 모델이 되고 있으며, 최근 플래시 메모리 SSD가 고속 분석용 시스템에 적합한 저장 매체로 선호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세로로 저장하는 컬럼 기반 스토리지 모델을 소개하고, 대용량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인덱스와 데이터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인덱스 관리 기법은 두 개의 인덱스를 사용하는 비대칭 인덱스 이중화이며, 갱신용 마스터 인덱스와 판독용 컴팩트 인덱스를 활용하여 특히 읽기가 집중된 빅 데이터베이스에서 우수한 검색 성능을 얻는다. 그리고 본 데이터 관리 기법은 관련된 컬럼 압축과 두 개의 플래시 메모리 SSD를 이중화하여 높은 판독 성능과 처리 안정성에 도움을 준다. 고부하 워크로드 조건의 성능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본 데이터 관리 기법이 기존 기법보다 검색 처리 및 응답 시간 측면에서 더 우수함을 보이고자 한다.

KOMPSAT-2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림의 수관 밀도 추정 (Estimation of Canopy Cover in Forest Using KOMPSAT-2 Satellite Images)

  • 장안진;김용민;김용일;이병길;어양담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3-91
    • /
    • 2012
  • 다양한 산림 정보 중 수관 밀도는 단위면적 당 수관점유 면적의 비율로 정의되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중요한 정보이다. 기존의 측정 방법들은 항공사진 판독 또는 현지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하여 수관 밀도를 측정함에 있어 시간적/인적/경제적 자원의 소모가 크고, 판독자의 주관 및 경험이 반영되어 자료 제작의 일관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OMPSAT-2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국내 산림 지역의 수관 밀도를 추정하였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적합한 영역 기반의 수관 밀도를 추정하기 위해 영상 분할 기법과 임분 경계 정보를 이용하여 산림 내부를 일정 영역으로 구분하고, 판별 분석 기법과 산림 비율 기법을 통해 구분된 영역의 수관 밀도를 추정하였다. 현장 조사 및 영상 판독을 통해 구축한 참조자료와 비교해본 결과 판별 분석 기법은 약 60%, 산림비율 기법은 약 85%의 정확도를 보였다. 연구 결과와 수치 임상도의 비교를 통해 갱신이 필요한 후보지 추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갈수생태관리를 위한 중소하천 횡단구조물에서 유량측정 시스템 (The Discharge Measurement System with River-Crossing Structures for Ecological Management during Low Flow Season)

  • 이남주;강준구;여홍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649-649
    • /
    • 2015
  • 최근 기후변화 및 이상기후로 인해 하천환경 또한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다. 변화되는 지구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하천환경 대책과 하천생태계 보전/복원, 생물 보호, 친수기능 강화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소하천 건천화 및 하천환경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대두되고 있으나 비용 및 인력투입 문제로 수위나 유량 등의 기초자료인 수위-유량 계측기술 및 대응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체계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대상 하천의 수리량 자료 확보가 기본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중소하천의 관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시간 수위유량 자료 확보가 필수적이다. 현재 하천 정비 계획 단계에서 수문모델링을 통해 중소하천의 유량을 산정하고 있지만 산발적으로 측정한 자료로는 검/보정에 한계가 있으며, 신뢰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수, 환경, 생태 등의 관점에서는 평상시 유량에 대한 실시간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체계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중소하천에 대한 실시간 수리량 자료를 경제적으로 확보 할 수 있는 장치 개발 및 현장적용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횡단구조물이 가지고 있는 유량 측정의 편이성을 최대한 이용하여 급성장하고 있는 영상분석기술과 IT을 하천공학분야에 접목하여 중소하천의 수위와 유량을 실시간으로 원격 측정하는 WIA (Wireless Image Acquisition)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WIA 시스템은 라즈베리파이 기반으로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횡단구조물의 상류, 중류, 구조물 주위의 흐름 영상을 확보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WIA 시스템에서 전송된 영상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상판독 S/W 및 H-Q 산정 S/W를 통해 하천의 수위를 판독하고 실시간으로 하천단면 수위유량 산정 자료 구축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현재 WIA 시스템의 성능 및 개선과 영상판독 S/W 및 H-Q 산정 S/W서버와의 연계운영 성능 평가를 통해 장치를 검증하는 단계에 있으며, 추후 서버구축을 통해 홍수 예 경보와 하천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유량측정 시스템을 적용하면 기존 장비의 약 15% 예산으로 실시간 수리량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