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향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f Long-Term Wave Distribution at Jeju Sea Based on SWAN Model Simulation (SWAN모델을 이용한 제주해역 장기 파랑분포 특성 연구)

  • Ryu Hwangjin;Hong Keyyong;Shin Seung-Ho;Song Museok;Kim Do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7 no.3
    • /
    • pp.137-145
    • /
    • 2004
  • Long-term wave distribution at Jeju sea is investigated by a numerical simulation based on the thirdgeneration wave model SWAN (Simulating WAves Nearshore). The Jeju sea which retains relatively high wave energy density among Korean coastal regions is considered to be a suitable site for wave power generation and the efficiency of wave power generation is closely related to local wave characteristics. The monthly mean of a large-scale long-term wave data from 1979 to 2002, which is provided by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is used as the boundary condition of SWAN model simulation with 1km grid. An analysis of wave distribution concentrates on the seasonal vari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ignificant wave heights, mean wave directions and mean wave periods. Significant wave heights are higher in winter and summer and the west sea of Jeju appears relatively higher than east's. The highest significant wave height occurs at the northeast sea in winter and the second highest significant wave height appears at the southeast sea in summer, while the significant wave heights in spring and autumn are relatively low but homogeneous. The distribution of wave directions reveals that except the rear region influenced by wave refraction, the northwest wave direction is dominant in summer and the southeast in winter. Wave periods are longer in summer and winter and the west sea of Jeju appears relatively longer than east's. The longest wave period occurs at the west sea in winter, and in summer it appears relatively homogeneous with a little longer period at the south sea.

  • PDF

Estimation of sea surface wind using Radarsat-1 SAR (RADARSAT-1 SAR자료를 이용한 해상풍 추정)

  • Yoon, Hong-Joo;Cho, Han-Keun;Kang, Heung-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227-230
    • /
    • 2007
  • If we use the microwave of SAR, we can observe on the ocean in spite of bad weather, day and night time. Sea surface images on the ocean of SAR have a lot of information on the atmospheric phenomena related to surface wind vector. Information of wind speed which is extracted from SAR images is used variously. Wind direction data and sigma nought value are put in the CMOD which can extract wind information in order to estimate sea surface wind from SAR images. Wind spectrum which is extracted from SAR always presents opposed two points of $180^{\circ}$ because of applying to 2D-FFT. These ambiguities should be decided by position of land, wind direction or numerical model. Previously, we converted into sigma nought after extracting Digital Number from RadarSat-1 SAR using ENVI4.0, thus, it took a long time because every process was manual. Therefore, we converted sigma nought by matlab code after making matlab code. After that, we are extracting wind direction from sigma nought. Now, to decide wind direction needs further study because wind direction has $180^{\circ}$ ambiguity.

  • PDF

A Parabolic Model Applicable to Large Area (광역에 적용 가능한 포물선형 모형)

  • 이정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10a
    • /
    • pp.156-161
    • /
    • 1996
  • 컴퓨터의 공학적용과 더불어 천해파의 산정은 파향선식(Ray Equation)에 근간을 두어 격자상에서 이를 산정하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는데 수심이 복잡하여 파향선이 서로 교차되는 경우, 파의 중복에 따른 영향이 반영되지 못한다. Dobson이 제시한 모형이 이러한 파향선법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만한 접근이 꾸준히 전개되어, Berkhoff (1972)에 의해서 완경사 방정식이 유도되기에 이르렀고 천수, 굴절, 회절, 반사등 파랑의 제 현상을 반영할수 있는 모델이 수립되기 시작하였다. (중략)

  • PDF

불규칙파의 굴절ㆍ회절 수치모형

  • 채장원;정신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83-83
    • /
    • 1992
  • 풍파가 수심이 불규칙하고 조류 및 해류 등의 흐름이 존재하는 연안역을 전파해 갈 때 파고 및 파향이 굴절ㆍ회절 및 천수, 에너지 감쇠 효과 등에 의해 크게 변형된다. 이러한 현상은 연안역의 파랑변형 계산 및 퇴적물이동현상 분석에 매우 중요하다. 불규칙파의 스펙트럼 형태와 에너지의 방향 분산 정도에 따라 단순 규칙파 모델과의 계산치가 50-100%에 이르기도 한다.(중략)

  • PDF

Study for determination methods of wave direction in random sea waves (불규칙 파랑장에 있어서의 파향산정법에 관한 고찰)

  • 권정곤;신문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118-120
    • /
    • 1992
  • 천해역에 있어서의 다방향불규칙 파랑장의 특성을 조사하는 하나의 중요한 수법으로서 파별해석법에 의해 정의 되어진 개개파 통계적 해석법이 있다. 파별해석 되어진 개개파에 대한 역학적 근거는 반드시, 명확하지 않지만 파별해석할 경우 개개파의 파고, 주기, 파향을 어떻게 정의 해야 할 것이라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중략)

  • PDF

해운항만청의 파랑 관측 시스템 현황과 천해 국지 파랑 산출 시스템 구축 방안

  • 연영진;박광순;이동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99-99
    • /
    • 1992
  • 해운항만청은 1986년 파랑관측업무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표준 파랑관측망과 국지 파랑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표준파랑관측망은 1987년부터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설치하여 1991년에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르렀다. 이 표준파랑관측 시스템은 넓은 해역을 대표할 수 있는 곳에서 원칙적으로 파향스펙트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 현장관측 기기와 실시간 자료전달 시스템과 중앙자료센타로 구성되어 그 자료는 해운항만청, 기상청, 수산청, 해양경찰청, 해군, 내무부, 대하 및 연구기관과 해양산업체에서 다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중략)

  • PDF

파ㆍ흐름 공존장 수치모델의 적용성

  • 이창호;김헌태;류청로;이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66-167
    • /
    • 2003
  • 파랑ㆍ흐름의 공존장에서 그 간섭작용은 Tidal inlet 와 하구부근와 같은 천해영역에서 중요한 물리적 현상이다. 이러한 파ㆍ흐름간섭현상은 파랑의 파고, 스펙트럼과 파향등을 현저하게 변화시키고, 하구와 inlet부근에 출현하는 사주(砂洲)등의 발생기구 및 해빈 안정화에 관계하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해석이 필요하다. 본 보고에서는 확장형 부시네스크방정식을 토대로 한 수치모델을 통하여 파ㆍ흐름 공존장에서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중략)

  • PDF

Reliability Design of Breakwater Armor Blocks Considering Variability in Wave Direction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한 방파제 소파블록의 신뢰성 설계)

  • 서경덕;권혁민;윤현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8a
    • /
    • pp.82-91
    • /
    • 2002
  • 방파제에 대한 신뢰성 설계 방법은 유럽과 일본을 중심으로1980년대 중반 이후로 발전되어 왔다. 유럽에서는 van der Meer(1988a)가 방파제 피복재의 설계에 확률론적인 방법을 도입하였고, Burcharth(1991)는 사석방파제에 대하여 부분안전계수(partial safety factor)를 이용한 신뢰성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최근 Burcharth and Sørensen(1999)은 PIANC (Permanent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Navigation Congress) Working Groups의 결과를 요약하여 사석방파제와 직립방파제에 대한 부분안전계수들을 확립하였다. (중략)

  • PDF

Applicability study of the calculation method for design wave height (다방향 불규칙파를 이용한 천해설계파 계산법의 현지적용성)

  • 전문구;김규한;정승진;편종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9a
    • /
    • pp.120-125
    • /
    • 2000
  • 연안역의 토지이용이 극대화됨에 따라 연안구조물이나 항만구조물의 축조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천해설계파 등과 같은 파랑변형계산을 얼마만큼 실현상과 근사시켜 재현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달려 있다. 지금까지의 천해설계파 산정에 있어서는 주로 단일 주파수와 단일 방향에 대한 규칙파해석이 수행되어져 왔으나, 실제해역에서의 파랑은 수많은 주파수와 파향, 파고들이 합성되어 이루어진 다방향 불규칙파랑이므로 실제 해역의 자연현상이 잘 표현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중략)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the Short Wave Propagation by the Combination of Parabolic Model and Hybrid Element Model (PARA-FEM) (포물형 광역모형과 혼합요소모형의 결합을 통한 단주기 파랑전파 수치모의)

  • 이우영;성상봉;전인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8a
    • /
    • pp.58-62
    • /
    • 2003
  • 기존의 혼합요소모형(박 등, 1994; Demirbilek and Panchang, 1998)은 반원형태의 정합경계에 파고와 파향을 일정하게 입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계산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합경계가 되도록이면 심해파 해역에 위치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국내의 남ㆍ서해안과 같은 지역은 심해역이 육지로부터 상당거리 떨어져 있으므로, 정합경계가 심해파 해역조건에 위치하게 되면 계산 Mesh의 수가 막대하게 되어 계산기 용량초과 및 계산속도 저하가 초래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