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평윤씨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Verification of Fortune Theory using Engineering Analysis of General Yoon's Grave (윤신달 장군 음택터의 공학적인 분석을 통한 발복론의 검증)

  • Kim, S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46-24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파평윤씨 시조이신 태사공 윤신달 장군 음택터의 공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정성적 및 정량적인 평가를 시도하였다. 태사공께서는 태조 왕건을 도와서 삼국을 통일하고 고려를 건국하는데 공을 세운 개국공신으로 태자를 교육시키는 태사삼중대광에 봉해졌다. 파평윤씨는 고려 및 조선시대에 명문 가문으로서 많은 공신, 학자 및 왕비를 배출하였다. 따라서 태사공 윤신달 장군 음택터의 혈장을 비롯하여 각 사격을 검토하여 파평윤씨 문중의 발복을 음택터의 영향으로 평가내릴 수 있는 공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정성적 및 정량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둔옹(鈍翁) 윤지(尹指)(1661~1740)의 생애(生涯)와 학문(學問) 활동(活動)

  • Yun, Jong-Bi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05
    • /
    • pp.291-320
    • /
    • 2008
  • 이 글은 2004년 충남대학교 국사학과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지원 마을사연구의 공동연구 작업에 의한 연구 성과물이다. 연구 대상 마을인 충남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는 17세기 호서지역의 3대거족의 하나인 파평윤씨노종오방파(坡平尹氏魯宗五房派)가 세거했던 마을이다. 이 마을의 대표적인 유학자로는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과 40년 동문사이인 노서(魯西) 윤선거(尹宣擧)와 그의 아들인 명재(明齋) 윤증(尹拯)이 있고, 그 외 파평윤씨노종오방파의 유서와 전통을 이어갈 수 있도록 토대를 닦은 동토(童土) 윤순거(尹舜擧) 등이 있다. 그리고 이 글의 주제 인물인 둔옹(鈍翁) 윤지(尹指)는 동토(童土) 윤순거(尹舜擧)의 아들이다. 특히 윤지(尹指)는 동토(童土) 선생의 서자로 태어났지만 명재(明齋) 윤증(尹拯)의 뒤를 이어 노종오방파(魯宗五房派)의 종중서당(宗中書堂)인 종학당(宗學堂)의 사장(師長)을 지낸 인물이다. 적서의 차별이 엄연함에도 불구하고, 파평윤씨노종오방파(坡平尹氏魯宗五房派) 자제들의 교육을 총책임지는 막중한 소임을 맡았던 것이다. 그 결과 그가 사장(師長)으로 있는 동안 수많은 과거 급제자들을 배출하였을 뿐만 아니라 선대에 이루어 놓은 가학적 전통을 후세에 전할 수 있는 매개자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했다. 그러나 그동안 윤지(尹指)의 사장(師長)으로서의 생애와 학문 활동에 대해서는 전연 알려지지 않은 채 베일에 가리어져 왔다. 그러던 중 그의 대표저서인 "둔옹집(鈍翁集)" 이 그의 사후 200 여년 이 지난 1916년에 8대 족손 윤구병(尹龜炳) 윤혜병(尹惠炳) 등에 의해 간행되었다. 이에 그의 학문이 세상에 알려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둔옹집(鈍翁集)"은 "연소천지문답(演小天地問答")과 동몽문답(童蒙問答) 등 두 편으로 구성된 문집인데, "연소천지문답(演小天地問答)"은 4권 1책, 약 13만 여자 분량으로 그 주요 내용은 한의학과 관련된 내용이 주로 되어 있고, 동몽문답(童蒙問答)은 1권 1책 약 7,600여 자 분량으로 주역(周易)의 기본 구성원리인 음양오행설을 자문자답의 형식을 빌려 소개하고 있다. 이 글의 전반부는 둔옹(鈍翁) 윤지(尹指)의 생애를 소개한 후 중반부 이후부터 그의 음양오행에 대한 이해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파평윤씨노종파 3人(윤선거(尹宣擧) 윤증(尹拯) 윤지(尹指))의 주역 이해를 통해 그들의 가학의 일단을 엿보았다. 다만 이글은 둔옹(鈍翁) 윤지(尹指) 연구의 효시(嚆矢)로써 그의 철학의 구체적인 내용 보다는 그의 생애와 개략적인 학문 활동을 소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차후 그의 철학의 핵심이 담겨져 있는 "연소천지문답(演小天地問答)"은 장차 한의학 분야 전공자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소개해야 할 것이다.

A Study of Original Form of An Old House of Papyeong Yun's Family by an Ancient Document titled 'Hyogyeongdang Gyechukmun' (효경당계축문(孝敬當啓築文)에 의한 파평윤씨(坡平尹氏) 서윤공파(庶尹公派) 고택(古宅)의 원형(原形) 고찰(考察))

  • Ahn, Joon-Ho;Lee, Hee-Jun;Lee, Dal-Hoon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8 no.2
    • /
    • pp.113-120
    • /
    • 2007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and status of documentary records based on "Hyogyeongdang Gyechukmun" related to the Old House of Papyeong Yun's family. This house is located in Goegok-dong,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is considered as one of the high-class houses in the mid-Chosun dynasty. The results might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yogyeongdang Gyechukmun was written by Yun Seom in 1675 (the 1st year of King Sukjong's reign), which is a kind of general drawing book containing a plane figure and a bird's-eye-view of the old house. It is an important historical record to identify the fe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high-class houses in those days. Second, Papyeong Yun's Old House was founded with five buildings including a shrine, women's quarters, Hyogyeongdang, servants' quarters, and a warehouse. On the southern front, there used to be a pond. Third, the standard measure used to build the old house was about 310.00/尺(chuck). Chuck(尺) is the measuring unit of the Chosun Dynasty.

Lineage Groups and the Communities - A Reexamination of the Movement of Nojongpa Lineage of the P'ap'yong Yun Clan (문중과 공동체 - 파평윤씨 노종파 종족 운동의 재검토 -)

  • Kim, Moon-Yong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59
    • /
    • pp.325-357
    • /
    • 2015
  • Max Weber claimed that the clans as a self-sufficient community in traditional China had limited market development. His statement can be applied to the lineage groups of $Chos{\breve{o}}n$ dynasty, however, it also could be criticized as an example of oversimplifying clans. Starting from this question,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lineage movement of the P'ap'yong Yun's Nojongp'a branch. Through this research, I tried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the lineage group communities of $Chos{\breve{o}}n$. My issues are following. First, the Nojongp'a clan promoted the solidarity movement of their lineage in the name of practicing human morality, which belonged to their family learning. Second, the Nojongp'a clan made preparations for their own 'righteous rice fields and grains', through which they tried to establish the base structure for the clan activities. This, however, had its own limitations in aiding the starved suffering from famines and did not last long. Third, the lineage could not function as a community for living that was actively involved in the reproduction of life, and was not an exclusive self-sufficient community, either.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Fabrics from Papyeung-Yun's Tomb (파평윤씨 묘 출토직물의 제직특성 연구)

  • Cho Hyo-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6 no.1 s.100
    • /
    • pp.32-43
    • /
    • 2006
  • Excavated fabrics from Papyeung-yun's tomb totals at 208 in their numbers. They comprised 118 pieces of silk tabby(紬), 16 pieces of thin silk tabby, 8 pieces of thin filament silk tabby (絹), 43 pieces of satin damask(段), 8 pieces of compound satin(金線), 1 piece of twill(綾), 1 piece of complex gauze(羅), l piece of simple gauze(紗), 4 pieces of cotton(綿布), 4 pieces of hemp(麻布) and 3 pieces of ramie(苧布). As shown in the preceding list, $95\%$ of all the items are weaved from silk. To list a few characteristics of excavated fabrics from Papyoung-Yun's lineage, there are A vivid gold-colored compound satin, a uniquely patterned satin damask, various silk tabbies, and 4-end complex gauze of Neoul that is women's head cover. To note, names of the fabrics used in this article are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literatures and are as following silk tabby(紬), thin silk tabby, filament silk tabby(絹), satin damask(段), compound satin(金線), complex gauze(羅), simple gauze(紗), cotton(綿布), twill(綾), hemp(麻布)and ramie(苧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