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괴안전설계

Search Result 36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Fatigue analysis for structural stability review of TBM cutterhead (TBM 커터헤드의 구조안정성 검토를 위한 피로해석)

  • Choi, Soon-Wook;Kang, Tae-Ho;Lee, Chulho;Chang, Soo-Ho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2 no.5
    • /
    • pp.529-541
    • /
    • 2020
  • Although TBM's cutterhead requires design review for fatigue failure due to wear-induced section loss as well as heavy load during excav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a case of fatigue analysis for TBM cutterhead at present. In this study, a stress-life design review was conducted on cutter heads with a diameter of 8.2 m using S-N curves as a safety life design concept. Also, we introduced the fatigue design method of construction equipment and the method of assessing fatigue damage and explained the results of the fatigue analysis on the TBM cutter head with a diameter of 8.2 m. The S-N curve has been shown to play a key role in fatigue design and can also be used to assess how much fatigue damage a structure is suffering from at this point in tim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find out when fatigue problems occur during using the equipment and when it is good to conduct safety inspections of the equipment.

Dynamic Behavior Responses and Investigation of a Small-Class Satellite Having Sandwich Panel Structures (샌드위치 패널 구조로 된 소형 위성의 동적거동 응답 및 연구)

  • Cho, Hee-Keun;Lee, Sang-Hyun;Cha, Wo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0 no.9
    • /
    • pp.771-780
    • /
    • 2012
  • Naro-science satellite which will be launched by KSLV-1 has been successfully developed. Naro-science satellite is a 100kg-class small size science satellite whose structure is composed of one of a typical light and high strength aluminum honeycomb sandwich panel. In this research, dynamic responses of the satellite with respect to the design requirements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real experiments and numerical finite element analyses.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structure design and analysis about fracture and safety has been obtained through a wide range of analyses and test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ly utilized for the next generation satellite development.

Dynamic Fracture Analysis at Strip with Composite Materials (복합재로 된 판재에서의 동적 파괴 해석)

  • Cho Jae-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7 no.3
    • /
    • pp.265-270
    • /
    • 2006
  • When the dynamic crack propagates along the boundary at the strip with composite materials and tears apart it, the equivalent stress and strain, and the traction stress are investigated near its boundary. There are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and plastic strain at the very seperated part and the maximum displacement at the bent part of the end of strip. The traction stress becomes higher as the separation distance becomes more. Its maximum value becomes 75 MPa as this distance becomes 0.015 mm. As this distance becomes more than 0.015 mm, this stress becomes lower. As this distance becomes more than 0.13 mm, the value of this stress becomes 0 constantly. This study aims at doing the basic study to provide the data necessary for the precise analysis of fracture intensity, the safety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advanced materials.

  • PDF

Convergent Study on Fatigue Life Analysis of Driving Shaft in Jet Engine (제트엔진에서의 추진축의 피로 수명해석에 관한 융합연구)

  • Lee, Jung-Ho;Cho, Jae-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6 no.6
    • /
    • pp.279-284
    • /
    • 2015
  • The vibration happened at the revolution movement of driving shaft driven with the thrust of airplane affects the great influence on the life of the shaft. And a great loss of life is caused when the fatigue damage is occurred at the driving shaft during revolution. The chattering is occurred at the driving shaft placed at the various revolution due to the aviation environment. Therefore, the part of the driving shaft concerned about the fatigue damage is grasped through the analysis study in this paper. So, the durability to prevent damage can be improved and it is possible to be grafted onto the convergence technique on the basis of a recent safe design and show the esthetic sens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irrup Effectiveness in Reinforced Concrete Beams (철근콘크리트보의 스터럽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Young-Jae;Lee, Yoon-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9 no.1
    • /
    • pp.205-215
    • /
    • 2005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NSC and HSC beams with stirrups. Main variables were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and amount of vertical stirrups. A total of 24 beams was tested; 4 beams without web reinforcement and 20 beams with web reinforcement in the form of vertical stirrups. Main variables were 2 different compressive strengths of concrete of 26.9MPa and 63.5MPa, 5 different spacing of stirrups of 200, 150, 120, 100 and 90mm. Therefore,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trengths predicted by the equations of ACI code 318-99 and other researchers. The shear reinforcement ratio, where the test beams were failed simultaneously under flexure and shear, were $0.63{\rho}_{vmax}$ for NSC beams and $0.53{\rho}_{vmax}$ for HSC beams, respectively. The ACI code equation was found to be very conservative for shear design.

A Study on the Slope Stability near Military Facility in Rainfall (집중호우시 군사시설물이 설치된 사면의 안정성평가에 관한 연구)

  • Lee, Seung Ho;Hwang, Young Cheo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5 no.4
    • /
    • pp.47-56
    • /
    • 2004
  • This research analyzed about various landslide causes and resettled items, which are fit to environment of army facilities, of safe estimating table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through the spot inspection data. Analyzed relation with rainfall and slope failure occurrence for forecast slope failure appearance. Analyzed special quality of rainfall, topography, geological features that become occurrence factor of slope failure that happen in Kang-Won area come up with use of slope failure safety estimating table. Wish to examine closely phenomenon of slope failure and regional special quality that appear in military bases area and consider countermeasure.

  • PDF

Design of Anti-Surge Valve for FPSO Fuel Gas Compressor System (FPSO용 연료가스압축 시스템을 위한 서지방지 밸브 설계)

  • Park, Hyung-Wook;Cho, Jong-Rae;Lee, Seung-Min;Park, Jong-Ji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5 no.4
    • /
    • pp.443-450
    • /
    • 2011
  • Fuel gas compressor system is applied to medium FPSO. In order to avoid surge, this system used the anti-surge valves. When surge occurs it may lead to system's fracture. So anti-surge valves are evaluated structural strength and structural safety. Especially, in emergency mode, valves are must be guaranteed structural safety. In this study, structural strength and structural safety of anti-surge valve was evaluated using the numerical simulation. Unigraphics NX 4.0 was used as Geometrical models, structural strength and structural safety calculation were carried out by ANSYS Workbench 12.1. The ASME Boiler & Pressure Vessel Code is refer to allowable strength and safety factor of the valves.

재료 동적영향을 고려한 주냉각재 배관 LBB 적용시 Dynamic Strain Aging의 영향 분석

  • 양준석;박치용;정우태;유기완;김진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305-311
    • /
    • 1998
  • 최근들어 고려된 LBB(Leak Before Break) 적용요건중 동적파괴시힘 절차에는 울진 3&4호기 이후 파단전누설개념이 적용되는 배관이 탄소강으로 제작될 경우. 이 배관이 Dynamic Strain Aging (DSA)에 의해 파괴저항치가 감소되지 않는다는 것이 정량적으로 입증되지 않는 한, 동 배관의 파괴 물성치 결정시 DSA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하며, DSA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동적과괴시험이 수행되어야 함을 요건화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SA 효과에 의한 파괴저항(J-R) 특성의 저하가차세대원전 원자로냉각재배관 파단전누설개넘(LBB) 적용시 설계 안전여유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임을 평가하는데 있다. 따라서 ASME Section III에서 탄소강으로 분류하고 있는 강종별 파괴인성 변화를 고찰하고, 차세대원전 주냉각재배관 재료인 SA508 Class la의 최대 파괴인성 감소치를 예측하여, 울진 3&4호기에서 측정된 엘보우용 SA516-Gr.70 강의 DSA 영향 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차세대원전 주냉각재배관의 DSA영향을 평가하였다. 도출된 결론으로는 DSA 영향을 고려한 SA508 Class la의 J 및 dJ/dA 값은 극히 보수적으로 추정할 때 5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DSA 영향을 고려하였을 경우 배관재 모재의 파괴인성치는 Weld-SAW의 J/T 값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현 LRB 해석이 가장 낮은 J/T값을 갖는 Weld-SAW Auto의 균열길이 2a인 J/T선도에 의거하여 수행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비록 DSA가 배관재에 영향을 주는 가장 보수적인 값(J 및 dJ/dA값을 50% 이상)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차세대원전 LBB 적용에 문제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차세대원자로 주냉각재배관에 LBB를 적용하는데는 DSA 영향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다는 결론을 얻었다. 표면에 수소화물이 농축되어 있는 hydride layer가 형성됨을 관찰하였으며 ~5,000ppm 이상의 경우에는 수소화물의 방향성이 random하였으며 특히, ZIRLO$^{TM}$ 시편의 경우에서는 원주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수소화물과 기계적 성질에 치명적인 반경방향의 수소화물이 평행하게 배열된 것을 관찰하였다.하였을 때는 Li$_2$O의 첨가에 의해 치밀화가 주로 일어났고, 반면에 $N_2$-7vol.%H$_2$ 분위기에서 소결하면 Li$_2$O의 첨가에 의해 작은 기공은 소멸되고 큰 기공이 생성되었다.지나치게 모국어의 영향만 강조하고 다른 요인들에 대해서는 다분히 추상적인 언급으로 끝났지만 이 분석을 통 해서 배경어, 목표어, 특히 중간규칙의 역할이 괄목할 만한 것임을 가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 다. 이와 같은 오류분석 방법은 학습자의 모국어 및 관련 외국어의 음운규칙만 알면 어느 학습대상 외국어에라도 적용할 수 있는 보편성을 지니는 것으로 사료된다.없다. 그렇다면 겹의문사를 [-wh]의리를 지 닌 의문사의 병렬로 분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누구누구를 [주구-이-ν가] [누구누구-이- ν가]로부터 생성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요 소를 지닌 병렬적 합성어([$[W1]_{XO-}$ $[W1]_{XO}$ ]$_{XO}$)로

  • PDF

Introduction of the Best Practices in the Pakistan Gulpur HEPP (파키스탄 Gulpur 수력발전 현장의 Best Practices 소개)

  • JANG, Ock Jae;HONG, Won Pyo;CHAE, Hee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16-217
    • /
    • 2022
  • Gulpur 수력발전 프로젝트는 전력난을 겪고 있는 파키스탄에 102 MW 규모의 수력발전소를 건설하여 30년 동안 운영 관리한 후 파키스탄 정부로 양도하는 IPP(Independent Power Producing) 형식의 투자사업이다. 남동발전과 DL E&C, 롯데건설이 Sponsor로서 출자한 자본금과, ADB, IFC, K-EXIM 등의 대주단로부터의 차입금을 재원으로 하여 소요 사업비를 조달하고 사업을 개발하였다. DL E&C와 롯데건설이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를 수행하였고, 이산이 Design consultant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Gulpur 수력발전 프로젝트의 발전형식은 수로식(run-of-river)으로 201 m3/s의 발전유량과 102 MW의 발전 시설용량을 이용하여 연평균예상발전량은 398 GWh이다. 주요 구조물로는 설계 재현빈도 1년의 유수전환시설(가물막이댐 & 가배수터널)과 콘크리트 중력식댐(H 67 m, L 205 m), 도수터널(D 6.7 m, L 215 m, 2기), 옥외형 발전소 (H 51 m, W 60 m, L 38 m, Kaplan 2기)가 있으며, 2015년 10월 착공하여 2020년 3월 상업발전을 시작하였다. 본 프로젝트는 DL E&C의 첫 번째 EPC 해외수력발전 프로젝트이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경제적 설계, 시공의 효율성 및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하여 많은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기술 개선을 이룰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Gulpur 프로젝트를 통하여 도출된 성공 사례들을 소개 및 공유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콘크리트 중력식댐 시공을 위한 유수전환시설의 최적 설계빈도를 산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수전환시설의 규모는 설계기준에 제시된 설계 재현빈도를 이용하는데, 해외 설계기준에서는 10년, 국내 설계기준에서는 1~2년으로 다르게 제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유수전환시설의 규모는 프로젝트의 경제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최적 설계빈도의 결정이 필요하며, 위험도분석기법(Risk Analysis)과 기대화폐가치법(Expected Monetary Value)을 이용하여 유수전환시설의 최적 설계 재현빈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위험도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으로 산정된 가물막이댐 파괴확률과 재현빈도를 이용하여 산정된 가물막이댐 월류확률을 고려하였으며, 비용 및 피해액으로는 유수전환시설의 공사비, 가물막이댐 파괴시의 재건설비용과 지체보상금, 가물막이댐 월류시의 복구비용을 고려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로, 유수전환시설의 사용기간과 월류시의 복구비용이 유수전환시설의 설계 재현기간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월류시의 복구비용이 작을수록 낮은 설계 재현빈도를 선택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유수전환시설의 사용기간이 3 ~ 5년, 복구비용이 0.5 ~ 1.0 mil USD 이하인 조건에서 가물막이시설의 최적 설계빈도는 1년 ~ 2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수전환시설의 사용기간은 본댐의 규모와 시공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사항으로 설계자가 임의 조정할 수 없지만, 복구비용은 시공 관리자에 따라 결정되는 부분으로, 적극적 홍수 피해 저감 및 복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프로젝트의 경제성 향상, 홍수기 댐 시공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홍수 조기경보시스템(Early Warning System)을 개발 및 활용하였다. 수로식(Run-of-river) 수력발전댐은 대부분 산악지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국지성 강우 및 급한 지형 경사로 인하여 돌발홍수(flash flood)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시공 중 홍수(월류) 발생을 미리 감지하고 현장에 전파할 수 있는, 수로식(Run-of-river) 수력발전댐 현장을 위한 홍수 조기경보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를 리스크 인식, 모니터링 및 경보, 전파 및 연락, 반응 능력 향상의 4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구축하였다. 리스크 인식 부분에서는 가물막이댐 월류 발생 상황에 대한 위험도, 취약성, 리스크를 제시하였으며, 모니터링 및 경보 부분에서는 상류 측정수위에서 유도된 현장 예상수위와 실제 현장 측정 수위를 대상으로 경보홍수위와 위험홍수위로 나누어 관리하였다. 전파 및 연락 부분에서는 현장 시공 조직을 활용하여 홍수시를 대비한 비상연락체계도(Emergency communication flow chart)를 운영하였으며, 반응 능력 향상을 위해 비상연락체계도의 팀별 Action plan을 상세화 하였다. 세 번째로 현장의 지질특성과 50여 차례 발파시험으로 현장 고유의 발파진동감쇄곡선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장의 시공성과 콘크리트 품질 확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콘크리트댐 공사에서는 제한된 공기 내에 공사를 완료하기 위해 사면부 굴착과 콘크리트 타설이 동시에 수행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신규 콘크리트 타설면 근처에서 발파를 수행하는 경우 발파로 발생되는 탄성파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게 되면, 콘크리트 양생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현장 발파시험을 통해 발파거리와 최대진동속도의 상관관계 즉, 발파진동감쇄곡선을 도출함으로써 현장의 발파진동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연구 논문들을 통해 콘크리트 재령기간 별 안전진동속도를 선정하고, 해당 안전진동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콘크리트 타설면과 발파위치의 거리에 따라 1회 발파 가능한 장약량을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과 발파 작업 동시 수행에 대한 논란을 해소할 수 있었다.

  • PDF

The Crack Analysis and Redesign of Horizontal Fin of F-5E/F's External Fuel Tank (F-5E/F 외부 연료탱크 수평 핀 균열 분석 및 재설계)

  • Kang, Chi-Hang;Yoon, Young-In;Jung, Dae-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4
    • /
    • pp.382-388
    • /
    • 2010
  • In this work the replacement material for magnesium alloy was investigated and an optimized design was suggested for the horizontal fin of a fighter's external fuel tank. For the replacement of magnesium alloy, Aluminum alloy, AL 2034-T351, was selected by considering material properties and its procurement. The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properties of AL 2034-T351 are stronger than those of magnesium alloy, but the specific weight of AL 2034-T351 is heavier than that of magnesium alloy by 65%. To meet the allowable limit of C.G. shift in the tank, the design of horizontal fin was optimized by reducing the original shape by 20% and resizing the maximum thickness to 7 mm. From the results of the static and dynamic stress analysis for improving the safety factor of the joint section and the joint hole, the radius of curvature in the aft joint section of the new fin was designed as 8.5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