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팀워크행동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중소기업 조직의 팀 리더십행동이 팀워크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m Leadership Behavior of SME Organization on Teamwork and Job Satisfaction)

  • 김준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05-112
    • /
    • 2018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팀 리더십행동이 팀워크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규명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중소기업 종업원 1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리더십행동은 팀워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워크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팀워크는 팀 리더십행동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전략에 맞게 팀 리더십행동 및 팀워크 역량을 함양함으로써 경쟁력을 강화하고, 팀 리더십행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규명하였다. 또한 중소기업에서 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팀 리더십 역량의 개발과 전략 수립 및 운영에 기여할 수 있다.

직원의 팀워크 행동 예측을 위한 필요 정보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Necessary Information to Explore the Employees' Teamwork Behavior)

  • 김영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83-92
    • /
    • 2024
  • 최근 기업의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있어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 하기 위한 HR 애널리틱스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직원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에 긍정적인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워크 행동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 중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조직문화 등 팀워크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직공정성은 구성원의 태도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조직 맥락에 따라 그것이 가지는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공정성을 네 가지 유형(분배, 절차, 대인, 그리고 정보공정성)으로 구분하여 이들이 팀워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문화는 혁신문화와 위계문화로 구분하여 이들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들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국내 기업의 657명으로부터 수집된 개인수준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위계문화에서는 절차공정성과 정보공정성이 직무만족의 매개과정을 통해 팀워크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혁신문화에서는 대인공정성과 정보공정성이 직무만족을 통해 팀워크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토론에서는 조직공정성이 구성원과 조직에게 중요하지만, 조직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고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내어 사람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보의 활용을 통해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을 효과성 및 효율적 구현할 수 있는 가치를 제공할 것이다.

외식업종사자의 서비스 수행에 대한 팀 신뢰 및 협력행동의 역할 - 팀워크 역량과 타부서 지원의 조절역할 - (The Role of Team Trust and Cooperative Behavior on Food-service Employees' Service Performance - The Moderating Role of Teamwork Competency and Other Department Support -)

  • 김영중;전병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1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업종사자의 서비스 수행에 대한 팀 신뢰 및 협력행동의 효과와 팀 신뢰, 협력행동, 서비스 수행 간 관계에서 팀워크 역량 및 타부서 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 송도, 경주, 부산에 위치한 호텔과 외식업체에 근무하는 식음 조리 종사원 1,0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841명의 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사신뢰와 동료신뢰로 구성된 팀 신뢰는 외식업종사자들의 협력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식업종사자들의 협력행동은 그들이 인식하는 서비스 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팀 내 협력행동이 증가할수록 서비스 수행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외식업종사자의 팀 신뢰와 협력행동 간 관계에서 팀워크 역량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협력행동과 서비스 수행 간 관계에서 타부서 지원의 조절효과가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조직안전문화가 방사선사의 환자 안전에 대한 의식 및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on Radiology Technologist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and Safety Behavior)

  • 김원태;김현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15-623
    • /
    • 2023
  • 본 연구는 조직 안전 문화가 방사선사의 환자 안전에 대한 인식도와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진행된 연구이다. 연구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일반적 특성, 환자 안전을 위한 노력, 환자 안전 문화의 3개 요인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환자 안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 업무경력,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고 성별이나 학력, 근무 형태는 환자 안전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포함되지 않았다. 환자 안전을 위한 노력으로는 병원의 지원 및 교육, 환자 안전 활동 및 오류에 대한 대응 방식 모두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오류에 대한 대응 방식이 다른 항목에 비하여 더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환자 안전 문화는 팀워크와 개방적인 의사소통 두 가지 항목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두 항목 모두 방사선사의 환자 안전에 대한 인식도와 높은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조직신뢰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영향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Job Engagement on Customer-Orientation: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Trust)

  • 현병무;김성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43-453
    • /
    • 2015
  • 본 연구는 조직신뢰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파악하여 조직이론과 조직행태적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동안 조직구성원의 사회심리적 요인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실질적 소유권을 가진 최대 주주가 경영권을 행사하는 지배구조적 조직과 정부가 실질적으로 경영진을 임명하는 공공부문이 지배구조를 장악하는 두 집단의 조직에 있어 조직신뢰와 고객지향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두조직 내에서 조직구성원의 조직신뢰가 높을수록 고객지향적 태도를 가지게 될 것이라는 가설적 관계를 실증적 자료를 통하여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긍정적이고 성취지향적 행동의 에너지가 되는 직무열의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구조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나아가 조직신뢰, 직무열의, 고객지향성의 구조적 관계가 조직 지배구조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두집단 모두 조직신뢰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향적 구조 체제의 합리적 도입, 개인별 업무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 과업체계 제고, 잘못을 인정하고 개선하는 행동 양식 배양, 일관성 있는 직원들에 대한 태도의 경주, 명확한 비전의 제시 및 투명하고 공정한 대우 보장, 팀워크 중심 워크숍의 정기적 개최 및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통로 마련 등을 제언하였다.

다중 플레이어들의 팀워크에 기반한 동작-구동 조정 게임 (A Motion-driven Rowing Game based on Teamwork of Multiple Players)

  • 김혜진;심재혁;임승찬;고영노;한다성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73-81
    • /
    • 2018
  • 본 논문은 다중의 플레이어들이 단합된 동작을 통해 노를 저어 보트를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해 동작에 의해 구동되는 조정(rowing)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실제 조정 경기에서 보트를 가속하기 위해서는 선수들이 시간과 자세에 대해 노 젓는 동작을 동기화 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조정의 이러한 흥미로운 특징을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중 플레이어들이 노 젓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그들 사이의 동작 유사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 유사도에 기반하여 가상 환경에서 보트의 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제안된 프레임워크에 아이템 획득과 같은 게임적인 요소들을 추가하여 플레이어들의 조화된 행동에 의해 아이템을 획득한 경우 아이템 종류에 따라 배의 속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한다. 이러한 게임적인 요소들은 플레이어들이 단합된 조정 동작을 생성하기 위한 좋은 팀워크를 훈련할 때 좀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장려한다. 노 젓는 동작과 아이템을 획득하는 동작을 인식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머리와 양손에 대한 추적 데이터만을 필요로 하며 실시간에 동작할 정도로 충분히 빠르다.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조정 시뮬레이션 결과를 대형 곡면 스크린에 프로젝션 한다.

정부출연 연구기관 종사자의 역량수준 진단 : K연구원 사례를 중심으로 (Competencies Evaluation of the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Employee : Focused on the K-institute case)

  • 유혜원;황인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496-4505
    • /
    • 2012
  • 본 연구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핵심역량 강화의 일환으로서 K연구원의 사례를 들어 핵심역량을 발굴하고 수준진단을 수행한 실증적 연구이다. 연구 결과, 총 27개의 핵심 역량을 발굴하였으며, 크게 4개 역량군인 공통역량군, 팀워크 형성역량군, 정보처리 및 분석역량군, 자원관리 및 활용역량군으로 범주화하였다. 역량의 수준진단 결과, 27개의 역량에 대해 모두 필요로 하는 수준이 현재 보유한 수준보다 높게 나타나 전체적으로 역량수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필요수준에 비해 현재수준이 현저히 낮게 나타난 세부 역량들로서 연구성과 분석역량, 후배육성/지도코칭, 기회포착/주도적 행동역량으로 교육적 개선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인 직급/직종별 수준진단 결과, 독립변인별 역량수준차가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나 직급별, 직종별로 차별화된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겠다.

노인요양시설의 인간 중심 케어 (Person-centered care)에 대한 연구 (A Review of Person-centered Care in Nursing Homes)

  • 윤주영;;;이지윤
    • 한국노년학
    • /
    • 제32권3호
    • /
    • pp.729-745
    • /
    • 2012
  • 본 연구는 미국 장기요양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인간 중심 케어의 구체적인 모델 및 이와 관련한 실무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장기요양제도에 적용 가능한 모델과 구체적인 실무 적용방안을 밝히기 위해 수행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대표적인 인간 중심 케어 모델로는 에덴 대안 모델, 그린 하우스 모델, 웰스프링 모델이 있고 자기결정권, 친밀한 관계, 집 같은 환경, 직원 임파워먼트 향상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인간 중심 케어에 대한 연구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38개의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10개의 모델 적용 효과 연구를 분석한 결과 3가지 모델들은 전반적으로 거주자들의 지루함, 무력감, 우울, 만족감 등 주로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인간 중심 케어에 기반한 중재 효과 평가 연구는 28개가 분석되었는데, 자기결정권을 촉진시키는 식사, 목욕, 케어활동 등은 거주자들의 참여, 상호작용, 자아인식, 문제행동 등 정서와 인지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고 친밀한 관계는 거주자, 가족, 직원 모두에서 삶의 질이나 선호, 서비스 질 문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집 같은 환경은 만족감, 활동 빈도에서 긍정적이었으며 직원 임파워먼트, 팀 운영 및 팀워크, 참여적이고 협력적인 관리자 스타일 등은 특히 직원 및 조직에서 업무에 대한 인식과 능력, 이직, 만족감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장기요양시설에서 인간 중심 케어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인간 중심 케어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과 제도의 변화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