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징 선별

Search Result 37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Improving Classification Performance for Data with Numeric and Categorical Attributes Using Feature Wrapping (특징 래핑을 통한 숫자형 특징과 범주형 특징이 혼합된 데이터의 클래스 분류 성능 향상 기법)

  • Lee, Jae-Sung;Kim, Dae-Wo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6 no.12
    • /
    • pp.1024-1027
    • /
    • 2009
  • In this letter, we evaluate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mixed numeric and categorical data for comparing the efficiency of feature filtering and feature wrapping. Because the mixed data is composed of numeric and categorical features, the feature selection method was applied to data set after discretizing the numeric features in the given data set. In this study, we choose the feature subset for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the data set after preprocessing. The experimental result of comparing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show that the feature wrapping method is more reliable than feature filtering method in the aspect of classification accuracy.

Unsupervised feature selection using orthogonal decomposition and low-rank approximation

  • Lim, Hyunki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5
    • /
    • pp.77-84
    • /
    • 202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unsupervised feature selection method. Conventional unsupervised feature selection method defines virtual label and uses a regression analysis that projects the given data to this label. However, since virtual labels are generated from data, they can be formed similarly in the space. Thus,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features can be selected in only restricted space.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features are selected using orthogonal projections and low-rank approximations.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a virtual label is projected to orthogonal space and the given data set is also projected to this space. Through this process, effective features can be selected. In addition, projection matrix is restricted low-rank to allow more effective features to be selected in low-dimensional space.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 cost function is designed and an efficient optimization method is proposed. Experimental results for six data se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existing conventional unsupervised feature selection methods in most cases.

Sparse and low-rank feature selection for multi-label learning

  • Lim, Hyunki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7
    • /
    • pp.1-7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eature selection technique for multi-label classification. Many existing feature selection techniques have selected features by calculating the relation between features and labels such as a mutual information scale. However, since the mutual information measure requires a joint probability,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joint probability from an actual premise feature set. Therefore,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only a few features can be calculated and only local optimization is possible. Away from this regional optimization problem, we propose a feature selection technique that constructs a low-rank space in the entire given feature space and selects features with sparsity. To this end, we designed a regression-based objective function using Nuclear norm, and proposed an algorithm of gradient descent method to solve the optimization problem of this objective fun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label classification experiments on four data and three multi-label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e proposed methodology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feature selection technique. In addition, it was showed by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performance change is insensitive even to the parameter value change of the proposed objective function.

Gait-Based Gender Classification Using a Correlation-Based Feature Selection Technique

  • Beom Kw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9 no.3
    • /
    • pp.55-66
    • /
    • 2024
  • Gender classification techniques hav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rom researchers because they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forensics, surveillance systems, and demographic studies. A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are distinctive features between male and female gait,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classify gender from three dimensional(3-D) gait data. However, some of the gait features extracted from 3-D gait data using existing techniques are similar or redundant to each other or do not help in gender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select features that are useful for gender classification using a correlation-based feature selection technique.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feature selection technique,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gender classification model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proposed feature selection technique using a 3-D gait dataset available on the Internet. Eight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pplicable to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s were utilized in the experim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feature selection technique can reduce the number of features by 22, from 82 to 60, while maintaining the gender classification performance.

Dynamic Hand Gesture Recognition Using a CNN Model with 3D Receptive Fields (3 차원 수용영역 구조의 CNN 모델을 이용한 동적 수신호 인식 기법)

  • Park, Jin-Hee;Lee, Joseph S.;Kim, H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459-46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동적 수신호 인식문제를 위하여 CNN 모델을 사용한 특징추출 기법과, FMM 신경망을 사용한 특징 분석 기법을 상호 결합한 형태의 패턴 인식 모델을 제안한다. 수신호 인식을 위하여 영상패턴에서 대상물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한 3 차원 형식의 데이터 표현 기법과, 이로부터 인식을 위한 특징추출 기법을 제시한다. 특징추출 모듈에서는 3 차원으로 확장된 구조의 수용영역을 고려한 CNN 모델을 제안하며, 이로부터 학습패턴에서 특징점의 공간적 변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고찰한다. 또한 인식효율의 개선을 위하여 방대한 양의 특징집합으로부터 효과적인 특징을 선별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WFMM 모델 기반의 특징분석 기법을 정의하고 이로부터 선별된 특징을 사용하는 인식 기법을 소개한다.

  • PDF

Sign Language Recognition using a Modified Fuzzy Min-Max Neural Network Model (수정된 퍼지 최대-최소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수화 인식 기법)

  • Park, So-Jeong;Kim, H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257-26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수화인식을 위한 신경망에서 특징추출과 분류단계의 방법론과, 특징 선별 기법을 통하여 분류기의 규모를 최적화 하는 방법을 고찰한다. 색상 및 움직임정보로부터 특징영역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3 차원 볼륨형태의 데이터로 표현하며, 이로부터 특징지도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특징영역의 위치에 대한 변이를 보완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특징추출과정과 패턴 분류과정에서 점진적 학습이 가능한 모델과 특징 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학습된 신경망으로부터 특징과 패턴 클래스간의 상대적 연관성 척도를 정의하여 특징을 선별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내용에 대하여 여섯 가지 수화패턴에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Removing non-informative features weakening of class separability (클래스 구분력이 없는 특징 소거법)

  • Lee, Jae-Seong;Kim, D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11a
    • /
    • pp.59-6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불균형 및 Under-sampling된 바이오 데이터에 대하여 클래스 구분력이 없는 특징의 소거를 통해 이후 이어질 FLDA 둥 다양한 방법론올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평균과 분산을 통해 클래스의 형태를 결정하는 기존 방법론의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클래스 구분력에 중점을 두어 특정을 선별하였을 경우 선별된 특정들의 상관 계수가 높은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알고리즘이 선택한 특정집합은 서로의 특징에 대해 상관계수가 낮으며, 클래스의 구분력이 높은 특정을 갖게 된다.

  • PDF

Luminance Compensation using Feature Points and Histogram for VR Video Sequence (특징점과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360 VR 영상용 밝기 보상 기법)

  • Lee, Geon-Won;Han, Jong-Ki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2 no.6
    • /
    • pp.808-816
    • /
    • 2017
  • 360 VR video systems has become important to provide immersive effect for viewers. The system consists of stitching, projection, compression, inverse projection, viewport extraction. In this paper, an efficient luminance compensation technique for 360 VR video sequences, where feature extraction and histogram equalization algorithms are utilized. The proposed luminance compensation algorithm enhance the performance of stitching in 360 VR system.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technique is useful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displayed image.

Deep Subspace clustering with attention mechanism (데이터 표현 강조 기법을 활용한 부분 공간 군집화)

  • Baek, Sang Won;Yoon,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721-723
    • /
    • 2020
  • 부분 공간 군집화는 고차원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특징들을 선별 및 추출하여 저차원의 부분 공간에서 군집화 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딥러닝 활용한 부분 공간 군집화 연구들은 AutoEncoder을 기반으로 의미있는 특징을 선별하는 것이 아닌 특징 맵의 크기를 증가시켜서 네트워크의 표현 능력에 중점을 둔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utoEncdoer 네트워크에 Channel Attention 모델을 활용하여 Encoder와 Decoder에서 부분 공간 군집화를 위한 특징을 강조하는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네트워크는 고차원의 이미지에서 부분 공간 군집화를 위해 강조된 특징 맵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해서 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Prediction of Number of Movie Audience Using Feature Minimization and Data Selection (특징 최소화와 데이터 선별을 활용한 영화 관객수 예측)

  • Yang, Youngbo;Yu, Heo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443-446
    • /
    • 2019
  •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계학습 알고리즘들 중 딥러닝 알고리즘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분류와 예측에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고 있다. 딥러닝 알고리즘의 적용에 따른 많은 장단점들이 있지만, 단점은 분석에 사용되는 특징들이 너무 많다는 것과 분석 모델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알고리즘도 여러 가지를 적용하다 보니 분석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이다. 이런 단점들은 업무를 파악하면 특징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필요로 하는 정보만 선별해서 대표적인 딥러닝 알고리즘 하나에 분석을 하게 되면 분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 실험은 [1], [2]에서 연구한 영화 관객수 예측 모델을 4개의 특징으로 최소화하고 선별된 데이터를 인공신경망 알고리즘 하나로 예측 모델을 생성하였을 때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해 낼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실험결과는 최종 관객수를 1명 단위까지 정확하게 예측하지는 못했지만 비슷한 수준의 관객수 정보를 예측하였다. 학문적인 접근으로 보았을 때 예측 정확도가 높지 않으면 사용이 불가능한 모델이라고 판단할 수 있지만, 기업 입장으로 접근해 보았을 때 예측 정보가 [1]. [2] 연구 결과에 비해 부족한 수준은 아니다. 총 소요된 시간은 기획 3일, 데이터 수집 및 모델 개발 5일, 분석 시간 10분으로 개발 시간 단축, 업무 효율성 향상,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