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성 선도

검색결과 8,602건 처리시간 0.04초

중부고속도로 평탄성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Roughness of Joungbu Expressway)

  • 김성호;서영찬;조윤호;박경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31-140
    • /
    • 2001
  • 무근 콘크리트 포장(JCP)과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CRCP)간의 우열 논쟁은 추후의 공용성 비교를 위해 중부고속도로(1987년 개통)를 두가지 포장형식으로 절반씩 시공하기에 이르렀다. 개통후 13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두 포장의 공용성을 직접 비교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는 두 포장을 비교하기 위한 기본적 연구로서, 우선 고속도로 기능의 핵심이 피는 평탄성(IRI)을 중부고속도로 전구간(상행선 주행차로)에 대해 자동포장상태조사장비(ARIA)를 이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중부고속도로 평탄성을 포장 형태별(CRCP, JCP, 부분적 Asphalt)로 비교 분석한 결과, CRCP, JCP, Asphalt의 순서로 우수한 평탄성을 나타내었고, 교량 및 터널 접속부에서는 IRI(Internation Roughness Index)가 5이상으로서 개선의 여지를 가지고 있었다. '99년 한국도로공사에서 실시한 중부고속도로 포장표면 결함조사 자료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JCP의 경우는 균열과 IRI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파손들은 뚜렷한 관계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또한, 미국 LTPP(Long Term Pavement Performance) 자료중 JCP 구간인 GPS-3과 CRCP 구간인 GPS-5 자료를 바탕으로 평탄성 측면을 비교한 결과 중부고속도로가 선진국 콘크리트 포장에 뒤떨어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토공부에서의 평탄성 저하 구간의 가장 큰 원인은 지하통로 및 배수로 통과 등이었으며, 지하통로가 있는 CRCP 및 JCP 구간을 비교한 결과, CRCP가 역시 좋은 평탄성을 보여주었다.

  • PDF

에너지 저감과 업무 효율성을 위한 LED 조명환경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LED Lighting Environments for Energy Saving and Work Effectiveness)

  • 김형선;임재현;이기선;김길희;정희창;김진호
    • 감성과학
    • /
    • 제18권2호
    • /
    • pp.45-5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LED 광원에 대하여 재실자의 업무 효율성과 에너지 저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LED 광원의 특성인 펄 스 폭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와 조도(lux)를 제어하여 총 9가지의 다양한 조명환경을 구성하였다. LED 조명의 펄스변조 비율은 각각 R:G:B=1:1:1, R:G:B=4:1:5, R:G:B=8:7:7으로 하였으며, 조도는 각각 400 lx, 700 lx, 1000 lx 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내환경은 온도 $20{\sim}24^{\circ}C$, 습도 50~60%, 착의량 1 clo 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주어진 9개의 조명환경에서 업무 효율성과 에너지 소비에 대해 분석하였다. 업무 효율성 분석을 위해 오류검색수정 작업을 실시하였으며, 에너지 소비 분석을 위해 각 조명환경에서 누적 소비전력을 측정하였다. 제안한 조명환경을 통해 실험한 결과, 업무 효율성은 400 lx 보다 700 lx 이상에서 정확도 및 소요시간의 효율이 좋았으며, 소요시간의 경우 제안한 펄스변조 R:G:B=8:7:7 에서 가장 좋은 효율을 나타냈다. 또한, 각각의 조도에 대한 소비전력은 펄스변조 R:G:B=8:7:7 > RGB=1:1:1 > R:G:B=4:1:5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펄스 폭 변조 효과가 업무효율성 및 에너지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동(北東) 적도(赤道) 태평양(太平洋)(KONOD-1) 망간 단괴(団塊)의 은물조성(銀物組成), 화학분석(化學成分)과 성인(成因) (Mineralogy, Geochemistry, and Formation of Ferromanganese Nodules from the KONOD-1 Site,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 강정극;한상준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0-122
    • /
    • 1988
  • 해양연구소는 한국 해양학사상 처음으로 1983년 12월 북태평양의 클라리온-클리퍼톤균열대 (Clarion and Clipperton Fracture Zones) 사이에서 망간단괴와 망간각을 채취하였으며, 이때 사용된 해양조사선은 하와이대학의 KANA KEOKI호였다. 본 연구는 KONOD-1 지역에서 채취된 망간단괴와 망간각의 광물조성과 유용금속성분을 분석, 경호하였으며, 태평양 심해저 평원에서 보고된 망간만괴와 비교하였다. 한편 광물 및 금속함량을 기초하여 금속원소의 공급원과 망간단괴가 형성되는 원리를 해석하였다. 연구지역 망간단괴는 망간산화물로 토도로카이트(todorokite)와 ${\delta}$-$MnO_2$로 그리고 망간각은 ${\delta}$-$MnO_2$로 조성되어 있다. 주요 금속성분의 평균함량은 Mn 21.4%, Fe 6.2%, Ni 0.9%, Cu 0.7%, 그리고 Co 0.2% 이며, 이 값은 클라리온과 클리퍼톤 균열대 지역에서 규질연니를 표층퇴적물로 하고 있는 심해저평원 망간만괴에서 보고된 값보다 적다. 그러나 망간단괴중 높은 Mn/Fe비 (평균 3.9, 최고 5.9)와 높은 Cu/Ni비 (평균 0.8, 최고 1.0)는 북태평양에서 속성작용으로 형성된 망간단괴와 일치한다. KONOD-1 지역 망간단괴의 화학적 특징은 두 종류로 대분되며, 각각의 특성은 망간단괴가 형성된 퇴적환경을 암시한다. 강한 속성작용의 망간단괴는 심해저평원지역 규질연니의 현생 퇴적층위에서 형성되고 있으며 약한 속성작용의 망간단괴는 심해저 구릉이 분포하는 지형, 즉 퇴적층이 균일하지 못한 환경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 PDF

$C_4F_8/H_2$ 헬리콘 플라즈마를 이용한 산화막 식각시 형성된 잔류막 손상층이 후속 실리사이드 형성 및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 김현수;이원정;윤종구;염근영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1998년도 제14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79-179
    • /
    • 1998
  • 실리콘 집적회로 제조시 sub-micron 의 contact 형성 공정은 질연막 형성 후 이의 식각 및 세정, c contact 실리사이드, 획산방지막, 배선 금속층의 형성 과정올 거치게 된다. 본 연구팀에서는 C.F야f2 헬리 콘 플라즈마훌 이용한 고선택비 contact 산화막 식각공정시 형성된 잔류막충과 오염 손상올 관찰하고 산소 플라즈마 처리와 후속 열처리에 따른 이들의 제거 정도를 관찰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본 연구메서는 식각 및 후처리에 따라 잔류하는 잔류막과 손상층이 후속 공정인 contact 실리사이드 형 섬에 미치는 영향올 관찰하였다. C C.F바f2 웰리콘 풀라즈마률 이용한 식각시 공정 변수로는 수소가스 첨가, bias voltage 와 과식각 시간 의 효과를 관찰하였으며 다른 조건은 일정하게 하였다 .. Contact 실리사이드로는 Ti, Co-싫리사이드를 선 택하였으며 Piranha cleaning, 산소 플라즈마 처리, 산소 풀라즈마+600 'C annealing으로 각각 후처리된 시 편을 후처리하지 않은 시펀돌과 함께 실리사이드 형성용‘시펀으로 이용하였다 각각 일정 조건에서 동 일 두께의 실리사이드훌 형성시킨 후 4-point probe룰 이용하여 면저황올 측정하였다 후처리하지 않은 시편의 경무 실리사이드 형성은 아주 시펀의 일부분에서만 형성되었으며 후속 세정 및 얼처리훌 황에 따라 실리사이드의 면저항은 감소하여 식각 과정을 거치지 않은 깨끗한 실리콘 웨이퍼위에 실리사이드 를 형성시킨 값(control 값)에 접근하였다. 실리사이드의 면저항값은 식각시 노훌된 실리콘 표면 위에 형 성된 손상충보다는 잔류막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수소 가스가 첨가된 식각 가스로 식각한 시편으로 형 성한 실리사이드의 면저항값이 손상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관찰된 수소훌 첨가하지 않은 식각 가 스로 식각한 시펀 위에 형성된 실리사이드의 면저황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리사이드의 전기적 륙성에 미치는 손상층의 영향올 좀더 면밀히 관찰하고자 bare 실리콘 wafer 에 잔류막이 거의 없이 손상층을 유발시키는 식각 조건들 (100% HBr, 100%H2, 100%Ar, Cl싸fz)에 대하여 실 리콘 식각을 수행한 후 Co-실리사이드률 형성하여 이의 면저황을 측정한 걸과 100% Ar 가스로 식각된 시편을 이용하여 형성한 실리사이드의 면저항은 control 에 기까운 면저항값올 지니고 따라서 손상층이 실리사이드 형섬메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훌 통해 손상층이 실리사이드의 형성이나 전기적 톡섬에 미치는 영황은 잔류막층 에 의한 영향보다 적다는 것을 알 수 았으며 잔류막층의 두께보다는 성분이나 걸합상태, 특히 식각 및 후처리 후 잔류하는 탄소 싱분과 C-Si 결함에 큰 영향올 받는 것올 알 수 있었다.

  • PDF

농산 부산물인 밤껍질을 이용한 버섯균의 배양 (Cultivation of Several Mushrooms Using Chestnut Peels as an Agricultural By-product)

  • 이상선;이정우;홍성운;조남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78-86
    • /
    • 1999
  • 농산 부산물인 밤껍질을 이용하여 버섯균의 배양 및 재배실험을 통하여 버섯재배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으며, 특히 밤껍질을 이용한 느타리 및 표고버섯 재배를 중심으로 재배특성을 고찰하였다. 밤껍질의 내피는 외피 비하여 영양이 많은 관계로 곰팡이에 의하여 많이 오염되었으나, 균사의 생장은 좋았다. 밤껍질외피는 내피에 비하여 리그닌 함량이 높았으며, 균사의 성장은 불량하였는데, 이는 버섯생장에 필요한 영양성분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느타리와 노루궁뎅이 버섯은 밤껍질의 내피에서 잘 성장하였고, 자실체도 잘 형성되었다. 표고의 경우는 균사의 성장은 잘 되었으나, 자실체 형성은 좋지 않았다. 밤껍질외피에서 균사성장이 불량한것은 mineral 성분의 부족이 원인인 것으로 생각되며, 톱밥, 미강 및 mineral 등 다른 기질 첨가로 버섯재배가 가능하였다. 기질에서 버섯균의 성장을 $CO_2$ 생산량으로 조사하였는바 표고와 느타리의 성장은 기질에 따라 다소 다른 면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밤껍질내피는 그대로 버섯재배에 사용할 수 있었으며, 밤껍질외피에도 적절한 영양원을 첨가한다면 버섯균사 배양 및 재배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탄소섬유 표면에의 고분자 전착과 복합재료 물성 (II) - MVEMA 및 EMA 계면상을 갖는 탄소섬유 복합재료 - (Electrodeposition onto the Surface of Carbon Fiber and Its Application to Composites (II) - CFRC with MVEMA and EMA Interphase -)

  • 김민영;김지홍;배종우;김원호;황병선;최영선
    • 공업화학
    • /
    • 제10권3호
    • /
    • pp.336-342
    • /
    • 1999
  •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계면강도 증가를 위하여 탄소섬유의 표면처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기존의 상업적인 표면처리의 경우 탄소 섬유 표면 산화처리 후 수분산성 에폭시계 유기화합물을 코팅 (사이징처리)하여 탄소섬유에 에폭시 기지와의 상용성과 취급 용이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재료로 제조된 탄소섬유 복합재료는 높은 층간 전단 강도를 나타내나 충격강도는 다소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 표면 산화 처리 후 기존의 사이징 처리 대신에 반응성과 유연성이 있는 계면상 (interphase)을 도입하여 복합재료의 층간전단강도와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탄소섬유의 전기전도성을 이용하여 이온화가능하고 연성을 가진 고분자인 MVEMA (poly (methyl vinyl ether-co-maIeic anhydride))와 EMA (poly (ethylene-co-maleic anhydride))를 수용액상에서 탄소섬유 표면에 전착 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착에 의해 MVEMA 또는 EMA가 $0.1{\sim}0.2{\mu}m$ 두께로 얇게 코팅된 탄소섬유, 상용의 탄소섬유, 사이징처리를 하지 않은 탄소섬유로 복합재료를 제조하여 물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계면상의 두께가 얇을수록 층간전단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충격강도는 감소하였는데, 계면상의 최적두께는 $0.1{\mu}m$ 정도였다. MVEMA 계면상을 도입한 경우가 상업적으로 표면처리 한 경우보다 층간전단강도의 경우 약 20% 정도 증가하였고 Izod 충격강도의 경우 약 50% 정도 증가하였다. MVEMA 계면상을 도입한 경우 복합재료의 흡습률이 높았다.

  • PDF

콩나물 부패균 Pseudomonas sp. SN239 동정과 콩나물 부패병 내병성 계통 선발 (Identifications of a Sprout-Rot Pathogen Pseudomonas Species SN239 and Selection Resistant Soybean Line)

  • 임종수;도금숙;이동선;강상구;서상곤;박의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771-1774
    • /
    • 2008
  • 콩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오래 전부터 재배하여 온 채소로서 그 기호성이 매우 높으며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나 일부 열악한 재배환경으로 콩나물의 부패문제가 자주 발생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중의 부패된 콩나물로부터 다양한 병원균을 분리함과 동시에 재래콩 유전자원으로부터 시중의 콩나물 부패병에 강한 품종을 탐색하고 선발된 내병성 계통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콩나물 부패균들 중 병원성이 강한 콩나물 부패균인 Pseudomonas sp. SN239을 분리하고 16S rRNA 염기서열을 동정한 결과 P. putita, P. plecoglossicida, P. monteilii 및 P. mevalonii와 근연관계를 보였으나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았으므로 Pseudomonas sp. SN239는 새로이 동정된 콩나물 부패균으로 여겨진다. 또한 재래콩 194계통에 콩나물 부패병균 Pseudomonas sp. SN239을 접종하여 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이병성 계통은 심하게 부패되었으나 한국 고유계통 YNPCS3-19는 병원성이 없었으며 또한 지속적으로 생육하였다. 그러므로 부패균 저항성 계통 YNPCS3-19는 부패균 저항성 품종 육성에도 활용 가치가 크다고 판단된다.

전호(Anthriscus sylvestris Hoffm)로부터 전립선 암세포 저해물질인 deoxypodophyllotoxin 의 탐색 및 분리 (Screening and Purification of an Anti-Prostate Cancer Compound, Deoxypodophyllotoxin, from Anthriscus sylvestris Hoffm)

  • 조효진;유선녕;김광연;손재학;오현철;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4
    • /
    • 2009
  • 전립선암은 현대 남성들에게 걸리기 쉬운 질병으로 나이가 들수록 발병의 위험이 증가하는 질환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립선암 치료법들은 치료영역이 제한적이고 재발할 가능성이 높아 근본적인 치료법으로는 사용되지는 못하므로 새로운 전립선암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00 여 가지의 한약재 methanol 추출물을 이용하여 MTT 방법으로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 세포에 대한 항증식 효과를 탐색하였으며 그 결과, A. sylvestris가 가장 강한 항증식 활성을 보였다. A. sylvestris의 methanol 추출물로부터 저해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100% methanol에서 2-3일 추출하고 난 뒤, ethyl acetate로 추출하고 silica gel, reverse phase-18, Sephadex LH-20 등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최종적으로 활성분획을 HPLC로 분리하고 $4^{\circ}C$에서 methanal 용액에서 입방체 형태의 결정을 얻었으며 NMR 분광법과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deoxypodophyllotoxin 으로 동정되었다. 순수 분리된 deoxypodophyllotoxin은 전립선암의 세포주 PC-3 세포에서 처리 농도와 처리 시간 의존적인 항증식 효과를 보였다.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선정 책의 현황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the Books Selected in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s in the U.S.A.)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71-194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에서 선정된 책들의 계량적 특성에 나타난 성장과 변화의 현황을 이해하는 것이다. 1998년부터 2013년 6월까지 15년간 미국의회도서관 도서센터 웹사이트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주별 및 작가별 리스트에 등록된 2,220개 프로그램 선정 책 1,037종을 중심으로 연도별 선정 분포와 변동 추이를 살펴보았다. 선정 책들의 연도별 프로그램 분포, 선호된 책의 연도별 추이, 'Seattle Reads'와 One Book, One Chicago 같은 선도적 '한 책' 프로젝트들이 책 선정에 미친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주요한 발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037종 중 2개 이상 '한 책' 프로그램 선정 책은 278종(26.8%)이며, 단 1개 프로그램 선정 책은 759종(73.2%)이다; 둘째, 최다 선정 책은 To Kill a Mockingbird (84개 프로그램), Fahrenheit 451 (53개), The Kite Runner (50개)로 나타났다; 셋째, '한 책' 독서운동의 확산에 따라 개별 '한 책' 프로그램의 독자적 책 선정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넷째, 'Seattle Reads'와 'One Book, One Chicago' 선정 책들의 영향은 점차 축소하는 경향이다.

저장온도에 따른 고추장의 품질변화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Kochujang(Red Pepper Soybean Paste))

  • 신동빈;박우문;이옥숙;구민선;정건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0-304
    • /
    • 1994
  • 고추장의 유통기간 중 품질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숙성 완료된 고추장을 $13^{\circ}C$, $27^{\circ}C$ and $37^{\circ}C$ 에 저장하면서 품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 조단백질, 캡사이신함량은 저장 중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나, 아미노태질소, 표면색도,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암모니아태질소, 산도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증감현상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더욱 뚜렷하여 저장 온도가 고추장의 품질변화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총균수는 저장온도 및 기간의 증가에 따라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며, 진균류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관능검사와의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 아미노태질소의 변화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아미노태 질소값의 변화율은 1차 반응식으로 해석되었음, 반응상수로부터 계산된 $Q_{10}$값은 2.98이었다. 또한, Arrhenius equation을 이용하여 활성화에너지를 구한 결과 15.84 Kcal/mole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